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사용자 중심 이론에 기반한 보육시설 공간환경디자인 방향설정 연구 / A Study on the Directions for Space Environmental Design of Child Care Facilities based on the User Centered Theories
저자명 조준배 ; 최상헌
발행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수록사항 연구보고서(정책), 2010 n.4 (2010-06)
페이지 시작페이지(1) 총페이지(106)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사용자 중심 이론 ; 보육시설 ; 공간환경디자인 ; 방향설정 ; User Centered Theory ; Child Care Facility ; Space Environmental Design Guideline
요약1 제1장 서론. 그동안 선진국의 전형적 현상이었던 “저출산 고령화 사회”의 현상이 최근 우리나라 사회의 중요한 이슈로 뜨겁게 논의되고 있다. 젊은 신혼부부들은 교육비 부담 등 생활의 어려움 때문에 아이를 많이 낳지 않으려 하고, 발전된 의학기술 및 건강정보 등으로 인하여 노인들은 과거 어느 때 보다 오랜 수명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노동인구의 감소로 이어져 앞으로 우리나라 경제에 상당히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 보육시설의 현황을 보면, 그동안 보육시설의 수량적 증가에 집중한 결과, 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은 질적으로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경숙,2006) 또한 영아 보육법 등 법적 기준으로는 실제적인 보육활동이 이루어질 수 없어 현재 설계기준은 형식적인 장치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전반적으로 보육시설의 시설적 측면에서 법적인 공간만을 최소한으로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었고, 물리적인 측면에서 아동의 양육과 교육을 도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지 못하며, 특히 실의 구성이 너무 부족하여 연령에 따른 반의 구분이나 반의 수가 제한적이고 기능에 의한 실의 분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정지영,2006) 이상의 내용을 통하여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공립 보육시설을 대상으로, 시설의 공간환경디자인의 질적 개선을 위하여 그 공간의 주 사용자들인 영유아, 보호자, 보육교사 등과 관련된 이론적 선행 연구들을 조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육시설 현장을 방문하여 문제점들을 도출한다. 그리고 앞으로 기대되는 질적 성장시 참고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이론에 기반한 공간환경디자인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제2장 보육시설 공간환경디자인 및 사용자 중심 이론적 고찰. 일반적으로 환경이라 함은 물리적 환경, 인적 환경, 시간적 환경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지만 이곳에서는 공간 환경디자인에 초점을 맞추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의 공간환경디자인은 물리적으로 건축물 매스를 중심으로 외부공간과 내부공간이 이루는 총합적 공간환경디자인을 말한다. 물론 공간환경이라 해서 단순히 물리적인 공간과 공간 내부에 있는 교재·교구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영아들이 생활하면서 의미를 부여하는 모든 환경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보육시설 공간 및 활동 영역의 조직과 효과적인 활용 뿐 아니라 영아의 보육 경험에 포함되는 모든 자료의 적합한 배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공간환경디자인’이란 ‘공간환경(Built Environment)’과 ‘디자인(Design)’이 합하여진 어휘로 ‘좋은 공간환경 만들기’라는 의미라고 해석해 볼 수 있다. 시설이라 함은 보육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활용되는 물리적 조건으로서 건물, 실외 놀이터, 동물 사육장, 정원, 현관, 복도, 보육실, 교사실, 취사실, 화장실, 교재·교구실, 유희실, 상담실, 식당 등 외형적 구조와 관련된 것을 말한다. 설비는 시설에 부속된 모든 부분으로서 보육실 내의 낮은 책상, 가구, 화장실 내의 변기나 세면대 등 보육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물적 요소의 총체를 말한다. 이외에 교재·교구와 자료란 영아의 보육경험이나 활동의 목적으로 구비 또는 제시한 것으로서 보육실 내의 모든 보육활동 자료와 책, 비디오와 오디오 자료들과 화장실 내의 수건, 화장지 등의 소모품, 식당 내의 수저, 식판 등을 모두 포함한다. 보육시설의 환경은 일상생활을 하는 공간과 놀이를 통한 학습을 하는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상생활을 위한 환경은 개인장, 수유 및 식사 공간, 낮잠 및 휴식공간의 영역을 의미하고, 놀이를 위한 환경은 실내와 실외의 놀이 영역을 의미한다.‘사용자 중심 이론‘은 ’인간의 물리적, 생리적, 심리적 특성이 공간속에서 상관 관계적으로 발생하는 이론‘으로 물리적 특성은 유니버설디자인, 생리적 특성은 감성디자인, 심리적 특성은 환경심리행태 이론으로 관계지어 설명할 수 있다. 1) 유니버설 디자인. 일반적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이란 가능한 최대한의 사용자 요구를 만족시키는 환경디자인이나 제품디자인을 말하며, 제품이나 환경을 보다 많은 사람들이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모든 사람들을 위한 생활을 쾌적하게 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무장애 디자인(Barrier-Free Design)에서 출발한 유니버설 디자인은 현재 장애인, 노인을 위한 디자인이라는 개념을 넘어 다양한 능력과 인간의 전체 생애주기를 수용하는 디자인이라는 개념으로까지 발전되었다. 이러한 개념의 발전은 장애나 자유롭지 못한 신체적 능력을 특수한 상황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사람마다 누구나 가지고 있는 개별적 특성 즉, 개성으로 보는 시각에 기인한다. 모든 사람은 다양한 신체크기와 능력을 가지며 그러한 다양성은 나이에 따라, 상황에 따라 변하는 것이므로 사람들의 다양한 개성을 있는 그대로 포용해 주어야 한다. 2) 감성디자인. 일반적으로 감성디자인의 의미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나 감성을 물리적인 디자인 요소로 번역해 구체적으로 설계하는 기술’이다. 인간은 어떤 대상으로부터 시각, 청각, 후각, 미각 등의 오감에 따른 자극을 받아 감성을 생성시키고 이를 언어나 어휘 등으로 표현함에 있어서 이미 존재하는 조형이나 소리와 같은 외부에 존재하는 대상으로부터 자극을 받을 뿐 아니라 옛 고향과 같이 과거에 대한 회상을 하면서도 감성의 변화가 생기듯 스스로 자신의 내부에 존재하는 대상으로부터도 심리적 감성을 불러 일으키는 자극을 받게 된다. 감성이란 인간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심리적 작용으로 정서적 반응, 생리적 변화에서 표현적 행동으로 이어지는 기분이나 감정이며 나아가 사고의 한 동적 양상이다. 좁은 뜻으로는 정서와 동의어이나 넓은 의미로는 비 인지적 내적 상태를 모두 포괄한다. 즉 감성은 감각을 매개로 하여 인간과 어떤 대상이 환경과의 접촉에서 이루어지며 이는 감성 자체가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을 내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렇듯 감성디자인의 중심에는 인간이 있다. 그래서 그것은 ‘인간 중심적 디자인(Human-centered Design)의 한 표본이다. 인간은 기계와 달리 균질적이고 반복적이지도 않으며 그의 감성과 행동양식은 매우 복잡하고 예측하기 어렵다. 감성사회에서 공간환경은 기본적 욕구충족을 위한 물리적 대상으로서보다는 그곳이 가지는 성격에 의해 정의된다. 이러한 기호적 성격에 의해 공간환경은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의 매개체가 되고 의미를 만들고 교환하는 생산적 장(場)이 된다. 3) 환경심리행태이론. 환경의 사전적 정의를 살펴보면, “생활체를 둘러싸고 있는 일체의 사물, 유기체에 직접, 간접으로 영향을 주는 모든 것(Environment)"라고 정의되어 있다. 이를 다시 말하면, ”지구상에 살고 있는 모든 생명체를 둘러싸고, 그 생명체에게 어떤 방식으로든 조금이라도 영향을 미치는 모든 것이 환경“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한편 환경심리학은 인간 행태와 환경과의 관계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자연 및 인조환경을 포함하는 물리적 환경과 인간의 개인적, 사회적 행태사이의 이론적, 실험적, 관계성을 연구하는 응용심리학의 한 분야로 여러 학자들의 다른 시각을 살펴보면, “환경심리학은 인간 행태 및 경험과 인조환경의 경험적 이론적 관계성을 정립하고자 하는 노력이다.”(Proshansky, 1976), "환경심리학은 인간 행태와 물리적 환경의 관계성에 관련되는 학문이다.“(Heimstra & McFarling, 1978)라고 정의하고 있다.3) 환경심리학은 보다 포괄적인 특성을 포함하기 위해 환경심리행태학 혹은 환경행태학이라고 불리우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용어의 변화는 환경심리행태학이 심리학이라는 한 분야에서 국한되기 보다는 다양한 학문의 교류 속에 독립적 학문으로서 정착해 나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특히 환경심리행태학은 공학 및 심리학적 접근을 통하여 환경디자인의 중요한 분야인 건축 및 실내디자인의 분야에 필수적 학문 영역이 되는 것이다. 제3장 사용자 중심 이론에 기반한 보육시설 공간환경디자인 분석의 틀. 1. 사용자 중심 이론의 공간적 적용원리 고찰. 사용자 중심 이론으로서 인간의 물리적, 생리적, 심리적 특성에 기반한 이론들로서 유니버설디자인, 감성디자인, 환경심리행태 디자인의 공간적 적용원리를 살펴보면 각각 다음과 같다. 1) 유니버설디자인의 공간적 적용 원리. 유니버설 디자인의 발달에 선두적인 역할을 해온 유니버설 디자인센터(Center for Universal Design)의 메이스(Mace)는 처음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4가지 원리를 제시하였다. 여기에는 기능적 지원성이 높은 디자인(Supportive Design), 수용 가능한 디자인(Adaptable Design), 접근 가능한 디자인(Accessible Design), 안전을 지향하는 디자인(Safety-Oriented Design)이 포함된다. 이러한 4가지 원리가 공간디자인이나 제품디자인 등 현실적 상황에 적용된다. 2) 감성디자인의 공간적 적용 원리. 인간은 자극에 대해 오감을 통하여 감지하고 심리적으로 판단하게 되는데 감성이란 이러한 과정의 전반적인 때로는 직관적은 능력을 말한다. 따라서 감성은 오감의 자극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며 본 연구에서는 보육시설에 적용가능한 감성디자인의 원리를 미각을 제외한 4개의 감각에 따라 정리하였다. 시각적 요소와 관련된 감성디자인 원리는 연속적 시각체험, 이미지와시각적 상징, 탈 스케일, 장면화 등으로, 촉각적 요소와 관련된 감성디자인 원리는비일상적 체험유도, 청각적 및 후각적 요소와 관련한 감성디자인 요소는 조건 반사적 공간체험 등으로, 이러한 원리가 공간에 현실적 상황으로 적용된다. 3) 환경심리행태 디자인의 공간적 적용 원리. 공간은 공간의 목적성에 적합한 인간의 행위를 유발시키며 이러한 행위 유발이 공간에 대한 심상으로 정착되어진다. 이것은 인간이 자기 정위를 확인하고 존재의 주체성을 갖게 해준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행태심리는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프라이버시(Privacy), 개인적 공간(Personal Space), 영역성(Territoriality), 혼잡도(Crowding)으로, 그에 따른 실생활에서의 공간이용행태를 적용한다. 2. 보육시설 공간환경디자인의 구성요소 고찰. 앞서 언급하였듯이 보육시설의 공간환경디자인의 구성은 보육시설의 건축물 자체를 포함하여 그 외부적 공간과 내부적 공간의 3가지 영역으로 구성된다. 3가지 영역 속에서 사용자들이 요구되는 활동시 관여되는 사용자 중심이론, 즉 유니버설디자인, 감성디자인, 환경심리행태디자인에서 중시하는 요소들과 관련지어 고찰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적 공간 영역은 사용자들이 외부로부터 진입할 때의 영역으로서 진입부에 해당되며 접근시에 시각적 인지 용이성이 요구된다.(감성디자인 원리 요소) 또한 도보가 아닌 자동차로 접근시 주차장으로부터 시설입구까지의 안전한 접근성(유니버설디자인 원리 요소)도 주요한 사항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건축물 파사드로, 파사드는 시각적으로 “보육시설 다운” 형태이미지로 사용자들에게 지각되어야 한다. 세부적으로는 건축물의 형태, 사용된 재료, 색채, 싸인물 디자인 등 여러 가지 요소들이 총합적으로 합하여져 하나의 전체적인 건물이미지를 표현하게 된다.(감성디자인 원리 요소) 다음 건축물의 내부공간 영역은 보육시설의 가장 중요한 공간 영역으로서 사용자 중심 이론의 디자인 원리가 모두 적용되는 공간이다. 먼저 내부공간은 고정적 요소로서 바닥, 벽, 천정으로 이루어지는 독립적 방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내부공간을 이루는 유동적 요소로서 사용자인 영유아와 보육교사들 또는 보호자 들을 위한 가구, 기물, 놀이기구 들이 있다. 한편 이러한 고정적 요소와 유동적 요소들에 생명감을 주는 심미적 요소로서 자연광 및 인공광의 조명적 요소들과 색채, 재료, 패턴 등의 요소들이 실내를 구성하고 있다. 3. 분석의 틀. 사용자 중심 이론에 근거한 보육시설 공간환경디자인 분석의 틀은 다음과 같다. 제4장 국내 국공립 보육시설 공간환경디자인 현황조사 및 문제점 분석. 1. 조사대상의 선정 및 범위. 보육시설의 현황조사를 위하여 비록 수적으로는 적으나 여러 조건에서 수요자가 선호하는 국가 혹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국공립 보육시설 중 서울지역에 산재되어 있는 시설물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대상 보육시설은 관악, 동작구 지역의 국공립 시설물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지역선정의 이유는 첫째, 우리나라 서울지역 국공립 보육시설의 현황분석에 있어 서울의 여러 지역 중 사회적으로 편견을 가질 수 있는 특정한 지역(예 : 강남, 서초, 송파 등)을 제외한 지역을 대상으로 선택함으로써 객관적 대표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둘째, 연구자가 접근하기 쉽고, 또한 주변의 상황파악이 비교적 용이한 지역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수용인원이 중규모인 시설들 중 무작위로 5개 대상시설을 선정하였다. 또한 보육시설의 운영 프로그램의 특성상, 주 사용 공간인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의 병행사용으로 인하여 내부공간, 건축물 파사드, 그리고 외부공간으로 범위를 한정하였다. 2. 조사의 방법. 사용자 중심 이론에 기반한 보육시설 공간환경디자인 분석의 틀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국공립 보육시설을 현장 방문, 현황 및 문제점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준비된 체크리스트 자료에 의해 현장 사용자 관찰, 사진촬영, 면담 및 조사 분석하였다. 현장조사 시 공간을 사용하는 주 사용자로서 시설의 원장이나 직원, 보호자 등과 면담조사하고 사진촬영 및 대화녹음을 통하여 기록 하였다. 이러한 조사 내용을 근거로 각각의 이론적 구성요소들의 내용(유니버설디자인, 감성디자인, 환경심리행태디자인)과 시설 공간환경과의 관계 속에서 ‘적합, 보통, 부적합’의 판단을 하였다. 보육시설의 현황조사를 위하여 비록 수적으로는 적으나 여러 조건에서 수요자가 선호하는 국가 혹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국공립 보육시설 중 서울지역에 산재되어 있는 시설물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대상 보육시설을 관악, 동작구 지역의 국공립 시설물들을 대상으로 하여 중규모의 시설들 5곳을 선정하였으며, 또한 보육시설의 운영 프로그램의 특성 상, 주 사용 공간인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의 병행사용으로 인하여 내부공간, 건축물 외관, 그리고 외부공간으로 범위를 한정하였다. 3. 분석의 종합. 4장 본문에서 분석한 내용을 공간환경디자인별로 종합하여 외부공간, 건물 파사드, 내부공간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외부공간. 외부공간의 경우 유니버설 디자인 원리에서는 안전성이 더욱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 나타났고, 이는 바닥 마감재의 재질이나 진입부의 위치 등이 고려되어야 할 세부적 사항으로 조사되었다. 감성디자인 원리로는 연속적인 시각체험이나 탈 스케일, 여러 가지 촉감적이나 시각적 요소를 두어 비일상적 체험을 유도하고, 환경심리행태 디자인 원리로는 영역성이 더욱 고려되어 보육시설 만의 영역성과 놀이공간의 영역성이 확보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2) 건물 파사드. 건물 파사드의 경우 감성디자인 원리가 고려되어져야 하는데, 이 역시 탈 스케일과 비일상적 체험유도가 가장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규모의 확대나 축소로 공간감을 주어 탈 스케일적 사항을 더욱 고려하도록 하고, 마감재료를 다양하게 구성하여 비일상적 체험유도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3) 내부공간. 내부공간의 경우 영유아와 보육교사가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손잡이 등을 설치하여 기능적 지원성을 더욱 확보하도록 하고, 감성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와 이미지와 시각적 상징 원리에 기반하여 여러 가지 상징적, 은유적 모티브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공간환경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휴식공간이나 부모대기 및 참관공간을 확보하여 환경심리행태 디자인의 프라이버시나 개인적 공간, 영역성이 더욱 확보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문제점을 인식하고 개선방향을 5장에서 제안하였다. 제5장 사용자 중심 이론에 기반한 보육시설 공간환경디자인 방향 제시. 1. 전제적 사항. 1) 전제적 사항은 인간인 사용자의 물리적, 생리적, 심리적 특성에 따라 공간에 적용되는 사항으로서 3가지로 구분한다. 2. 기본적 방향. 1) 입지, 위치에 따른 별도의 공간환경디자인 지침. 도심과 전원, 농촌 등의 입지에 따라 조건이 달라진다. 즉 도심은 전원이나 농촌에 비하여 대지 확보가 어려우므로 고층 혹은 다층의 디자인 지침이 필요하고, 농촌의 경우는 넓은 대지에 1~2층 규모의 낮은 층수가 예상된다. 한편 위치는 접근이 용이하며 또한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2) 운영주체, 시설유형, 장애아 여부에 따른 별도의 공간환경디자인 지침. 국공립, 사립, 장애아 전문 혹은 통합에 따라 조건이 달라진다. 특히 시설의 다양한 유형에 따른 요구조건이 다르므로 이에 따른 디자인 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3) 시설의 규모 및 면적에 따른 차별화된 공간환경디자인 지침. 수용 가능 인원 대, 중, 소규모의 구분에 따라 직원 및 공간구성 조건이 달라진다. 3. 공간환경디자인 방향 제시. 건물의 외부공간, 건물 매스 및 파사드, 건물 내부공간의 3개 영역에 대한 총체적이고 유기적인 사용자 중심이론에 근거한 공간환경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외부공간 - 공간환경디자인 제안. ① 진입부 : 유니버설디자인의 ‘안전성’원리에 기반하여 계단과 함께 램프를 설치하고, 미끄러운 재료 사용을 금지하도록 제안한다. ② 놀이터 : 감성디자인의 ‘촉각요소 - 비일상적 체험 유도’ 원리에 기반한 다양한 놀이요소 설치로 질적으로 높은 놀이영역 확보를 제안한다. 2) 건축물 파사드 - 공간환경디자인 제안. ① 파사드 : 감성디자인의 ‘시각요소 - 이미지와 시각적 상징, 탈 스케일, 장면화’ 원리에 기반한 “보육시설 다운” 외관 형태 및 색채이미지 부여를 제안한다. 3) 내부공간 - 공간환경디자인. ① 매개공간 : 현관, 복도 등 공간은 유니버설디자인의 ‘접근성’원리에 기반하여 문턱 등 방해요소들을 제거하도록 제안한다. 아울러 감성디자인의 ‘시각적 요소 - 연속적 시각체험’등으로 공간의 연속성과 리듬감을 부여하도록 제안한다. ② 보육공간 : 유니버설디자인의 ‘기능적 지원성’원리에 기반하여 영유아와 보육교사가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손잡이 등 설치, ‘수용성’원리에 입각하여 보육실의 칸막이를 가변적으로 사용, 강당기능을 할 수 있는 공간 확보할 것을 제안한다. 감성디자인의 ‘시각적 요소 -이미지와 시각적 상징’원리에 기반하여 여러 가지 상징적, 은유적 모티브 사용으로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공간 환경을 제안한다. 또한 환경심리행태디자인의 ‘프라이버시’, ‘영역성’ 원리에 기반하여 영유아와 보육교사 모두 서로 “나만의 공간”인 독립적 공간을 확보 할 것을 제안한다. ③ 위생공간 : 유니버설디자인의 ‘접근성’, ‘안전성’ 원리에 기반하여 배변조절이 부족한 영유아를 위하여 보육실과의 거리가 멀지 않도록 밀접 유지할 것을 제안하며, 바닥재료도 미끄럼이 방지되는 것으로 선택할 것을 제안한다. ④ 기타공간 : 환경심리행태디자인의 ‘프라이버시’, ‘개인적 공간’,‘영역성’ 원리에 기반한 휴식공간, 부모대기 및 참관공간 확보를 제안한다. 제6장 결론. 우리나라는 현재 “저출산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앞으로 심각한 노동인구의 감소를 예상하며,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 방안의 하나로 여성의 고용기회를 늘리는 방안을 선택하고, 여기에는 직장을 가진 여성들이 가장 절박하게 필요로 하는 영유아 보육시설의 양적 확충과 질적 개선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정책은 국가의 미래적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해결하고 나가야할 중요한 과제인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 영유아 보육시설의 공간환경디자인의 질적 개선을 위하여 그 공간 및 공간의 주 사용자들인 영유아, 보호자, 보육교사 등과 관련된 이론적 선행 문헌연구들을 고찰하고, 현장을 방문하여 면담 및 관찰을 통하여 문제점들을 정리하고, 해외의 우수한 사례를 통하여 그 특성을 고찰한 후, 앞으로 기대되는 질적 성장 시 참고할 수 있는 공간환경디자인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제적 사항으로, 1) 사용자의 물리적, 생리적, 심리적 특성에 따른 유니버설디자인 원리, 감성디자인 원리, 환경심리행태디자인 원리 및 공간에의 적용이론을 파악한다. 2) 사용자별 고려사항으로는 영유아, 보육교사, 보호자의 특성과 그에 따른 공간 적용요소를 파악한다. 둘째, 기본적 방향으로, 1) 입지 및 위치, 2) 운영주체, 시설유형, 장애아 여부, 3) 시설의 규모 및 면적에 따라 차별화된 공간환경디자인 방향을 제안한다. 셋째, 공간환경디자인 방향 제안으로, 1) 건물의 외부공간에서, 진입부에서는 유니버설디자인 원리를, 옥외 놀이터에서는 감성디자인 원리의 적용을 제안한다. 2) 건물 파사드에서, 감성디자인 원리의 적용을 제안한다. 3) 건물의 내부공간에서, 매개공간에서는 유니버설디자인과 감성디자인 원리의 적용을, 보육공간에서는 유니버설디자인, 감성디자인, 환경심리행태디자인의 원리의 적용을 제안한다. 아울러 위생공간에서는 유니버설디자인 원리 적용을, 기타 공간인 휴식공간, 부모대기 및 참관공간 등에서는 환경심리행태디자인의 원리를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이상을 통하여 사용자 중심 이론에 기반한 국내 영유아 보육시설의 공간환경디자인 방향 설정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본 연구는 세부적인 디자인지침에 대한 연구에 앞서, 질적인 공간환경디자인을 확보하기 위해 공간을 사용하는 주인공으로서의 사용자 중심에 관련된 이론과 이론에 기반한 원리들의 공간에의 적용, 현장 조사 및 검증 과정을 통하여 그 커다란 방향을 연구하였다. 앞으로의 연구는 본 연구에서 설정한 방향에 근거하여, 특정한 지역의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공간환경디자인 지침이 연구됨으로서, 장차 영유아의 젊은 어머니들을 포함하여 시설의 운영자들에게도 신뢰도가 높은 영유아 보육시설이 건축되기를 기대한다.
요약2 1.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research. Recently the issue of "Low birth and Aging Society" which was the typical phenomen in developed country, is hotly debated in Korea. Young couples are afraid to be pregnancy because of the growing education expences and other economic reasons. And the elderly has been lived much longer ever than before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the medical technology and the new health information. These phenomen affects the decrease of labor population, and expects nagative effects on the domestic economy. Therefore in the short future, female labor power is essential and their child care facilities are definitely needed in the aspects of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the space environmental design guidelines for the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in korea through ; study about the user centered theories and space environmental design of child care faciliteis, to deduce framework of space environmental design of child care facilities based on the user centered theories, to investigate and analyse of fact and problems of domestic national and public chile care facilities, and finally to propose the space environmental design guidelines for child care facilities based on the user centered theories and made conclusion. 2. Study about the User Centered Theories and Space Environmental Design of Child Care Faciliteis. The space environment of child care facilities are composed of the space environment for general life and the space for study through play. The space environment for general life needs for individual storage cabinet, space for breast-feeding and meal, naping and rest. And the space environment for study through play means the zoning for inside and outside space. "The user centered theories are ba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nvironmental space and the characteristeristics of humanbeings ;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human body, emotional human sensitivity, phsychological human mind. And the physical human body and space based on the theories of universal design, the emotional human sensitivity based on the theories of emotional design, and the phsychological human mind based on the theories of environmental behavior and human phychology. 3. Framework of Space Environmental Design of Child Care Facilities based on the User Centered Theories. The framework of space environmental design of child care facilities based on the user centered theories composed of two basic studies. First, study about the application principles of user centered theories. Secondly, study about the components of space environmental design of child care facilities. First, study about the application principles of user centered theories composed of ; 1) the application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 Supportive Design, Adaptable Design, Accessible Design, Safety-orinted Design. 2) the application principles of emotional design ; Visual Sensuous Elements, Tactile Sensuous Elements, Auditory and Alfactory Sensuous Elements. 3) the application principles of environmental and human behavioral design ; Privacy, Personal Space, Territoriality, Crowding. Second, study about the components of space environmental design of child care facilities are ; 1) outdoor space. access area, outdoor play area. 2) building facade. the form of building, materials, colors and signage design. 3) indoor space. fixed elements, movable elements, aesthetic elements. Through the above mentioned theories and space elements, I deduced the framework for my research.(refer to chart). 4.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Facts and Problems of Domestic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To investigate and analyse the facts and problems of domestic national and publicchild care facilities, I chose 5 facilities which are located dongjak-ku and Kwanak-ku, where are not special place such as Sucho, Gangnam, Songpa-ku. Based on the framework, I made charts and visit the 5 facilities. I made interview with the users, who are facility principals, staffs, parents and child guides. And took pictures about the problems and issues. Based on those materials, I evaluate the elements in the realtion of human characteristics and space facilities. 5. Proposal 0f Space Environmental Design Guidelines for Child Care Facilities based on the User Centered Theories. The proposal of space environmental design guidelines for child care facilities based on the user centered theories are s follows ; 1) Premise Factors. Premise factors are universal design, emotional design, phsychological and human behavioral design based on the 3 characteristics of humanbeings. 2) Basic Direction. (1) distinguished design guideline for site location. The condition will be different whether city, suburban, or rural area. (2) distinguished design guideline for the central operating, facility type, existence of disabled person. National, public, private wlill be different. (3) distinguished design guideline for the difference of the size and volume of the building. 3) Proposal direction for the space environmental design guidelines. The design guidelines for the outdoor space, building facade and the indoor space of the buildings are as follows ; (1) Outdoor Space. ①Approach area : Suggest on the stairs with ramp, limit on the slippery material refered to the "Safety-Oriented" principle based on the universal design. ② Play area : Suggest on the various play elements refered to the "tactile" principle based on the emotional design. (2) Building Facade : ① Facade : Suggest on the "Child care facility like" formal and color image refered to the "Visual sensuous elements" principal based on emotional design. (3) Interior Space : ① Transitional Space : Suggest on the elimination of the thresholds of the rooms refered to the "Accessible"principle based on the universal design. ② Care Facilities : Suggest on the door handles adaptable to both adults and child refered to "Supportive" principle based on the universal design. Movable partition for auditorium function refered to "Adaptable" principle based on the universal design. Use of various symbolic and metaphorical motif refered to "Visual Elements-Image & visual symbol" principle based on the emotional design. Keep the private space for both children and teachers refered to "Privacy, Territoriality" principles based on the phchology and human behavior design. ③ Sanitation Space : Suggest on the "keep the close distance between care rooms and sanitation space" and use non-slippery floor materials refered to "Accessible, Safety-Oriented" principle based on the universal design. ④ Other Space : Suggest on the rest area, waiting and observation room refered to "Prevacy, Personal space, Territoriality" principles based on the phchology and human behavior design. 6. Conclusion. The issue of "Low birth and Aging Society" in Korea made the serious decrease of labor population, and expects nagative effects on the domestic economy. so, in the short future, female labor power is essential and their child care facilities are definitely needed in the aspects of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research conclusions are as follows ; First, as premise factors, universal design, emotional design, phsychological and human behavioral design based on the 3 characteristics of humanbeings. Second, as basic Direction : (1) distinguished design guideline for site location. (2) distinguished design guideline for the central operating, facility type, existence of disabled person. (3) distinguished design guideline for the difference of the size and volume of the building. Third, proposal direction for the space environmental design guidelines. (1) Outdoor Space : Universal design for approach area, emotional design for play area. (2) Building Facade : Emotional design for facade. (3) Interior Space : Universal Design and emotional design for transitional space, Universal Design, emotional design, phchological and human behavior design for care facilities, Universal design for sanitation space, phchological and human behavior design for other spaces.
소장처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미래사회에 대응하는 학교건축 계획방향에 대한 기초연구
송병준 ; 주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0 n.1(통권 84호) (20110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건축개념으로서 기능의 의미에 관한 연구
서현(Seo 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6 (200906)
그리드체계의 변형을 통한 형태생성프로세스 연구
한상길 ; 이공희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22호 (200806)
투상도법을 이용한 건축디자인의 형태생성에 관한 연구
박현수(Park Hyeon-Soo) ; 심은주(Shim Eun-Ju)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6 (200406)
[특집] 친환경 건축물의 개념 및 계획 방법
윤종호 - 건축환경설비(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지) : v.1 n.2 (20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