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도시공간조직에 대응하는 주거지 정비방안 연구 / Study on the Residential Renewal to respond to Urban Spatial Tissue
저자명 오주형 ; 김은희 ; 서수정
발행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수록사항 연구보고서(기본), 2011 n.04 (2011-12)
페이지 시작페이지(1) 총페이지(242)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도시공간조직 ; 주거지 정비 ; 정비현황진단 ; urban spatial tissue ; residential renewal ; diagnosis of current situation of renewal
요약1 제1장 서론. 오랫동안 존재해온 도시의 공간조직은 문화자산으로서의 가치를 가지고 있는 도시형태이다. 단순히 물리적인 형상으로서의 가치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곳에서는 거주민들의 다양한 삶과, 로컬의 경제체제가 스며들어 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서로 이미지를 공유하여 공통된 기억이 존재하는 장소이다. 이러한 도시조직이 파괴된다는 것은 그 지역의 역사성 및 장소의 상실이자 사회경제적인 메커니즘이 붕괴되는 것을 의미하며 고향에 대한 기억이 상실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가치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대부분의 주택정비사업은 전면철거재개발로 진행되고 새로운 아파트 숲의 조직이식으로 인하여 기성시가지에서 볼 수 있었던 유기적인 연결체계와 다양한 선택권이 가능하던 주거환경의 다양성이 상실되었다. 또한 주변과의 기능적 형태적 소통을 거부하는 폐쇄적이고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대규모 단지중심의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중층고밀의 다양한 중소규모 가구단위들로 구성된 주거지 정비방안의 실천수단으로서 정비계획의 기본방향 제시를 기본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주변지역과의 연계성 구축을 위한 가로구성체계 및 도시경관적인 대응방식, 도시구조를 유지하면서 중소규모의 가구단위의 개발과 기반시설의 공공성을 확보 그리고 중층고밀로 구성되는 다양한 주거지 유형과 근린생활가로의 구현을 위한 실천대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연구의 세부적인 목적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기성시가지와 정비현황의 도시공간조직을 비교분석하고자 하는 대상지는 재정비 촉진지구 혹은 재개발 구역으로서 대규모 단지개발방식으로 진행되는 지역이다. 또한 다세대, 다가구 주택이 밀집하고 기존필지구조가 비교적 잘 보전된 지역으로서 2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선정된 지역이다. 정비모델제시를 위해 선정된 신정재정비촉진지구는 토지구획정리사업에 의하여 60년대 이후부터 80년대에 이르기까지 조성된 비교적 다양한 유형의 가구구조가 존재하고 4m이하의 도로와 과소필지가 밀집된 지역이다. 이와같은 특성으로 인하여 모델제시로 선택된 대상지는 본 연구에서 의도로 하는 중요 도시구조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고밀도에 대응하는 도시공간조직의 개편을 통하여 다양한 주거지의 공간유형을 재구성하기에 적합한 곳이다. 도시공간조직의 분석방법론인 가로구성체계, 가구(필지)구성체계, 건축물의 구성체계 그리고 이러한 구성체계들과 건축물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구체적인 실천대안을 모색하였다. 주거지 정비방안의 제시에서는 부분존치가 이루어지는 주택건설사업에서의 소단위 합필개발과 철거신축이 진행되는 재개발 사업에서의 가구단위 공동개발 가능성을 모색하였으며 기반시설공급의 경우 공공주도의 도시계획시설사업을 제안하였다. 기존연구와는 차별되는 점은 무엇보다도 도시공간조직에 대응하는 것에 대한 구체적인 규명을 시도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정비사례의 실증적인 비교분석과 현황진단을 통하여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재정비촉진지구를 대상으로 도시공간조직에 대응하는 정비모델과 원칙을 제시하였으며 이의 실현을 위한 제도적 개선점을 고찰하였다. 제2장 도시공간조직에 대응하는 주거지 정비의 개념. 도시공간조직에 대응하는 주거지 정비방안을 연구하는 이유에 대한 근거마련을 위하여 주변지역과의 연결방식과 조화의 파괴, 가로와의 대응관계 단절, 단지의 사유화, 토지이용 및 주거지유형의 획일화 그리고 사회경제적인 측면에서 낮은 원주민의 재정착률에 맞추어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도시공간조직에 대응한다는 것을 규명하기 위해는 우선 도시공간조직에 대한 이론 및 개념정의를 필요로 한다. 도시조직의 개념적 정의를 연계성, 연속성, 다양성에서 출발하여 주변지역과의 연계성, 도시의 역사적 연속성, 거주환경의 다양성으로 그 의미를 구체화 하였다. 또한 유럽에서 주로 진행하였던 도시공간조직의 형태를 이해할 수 있는 분석방법론, 도시맥락적 도시형태론 그리고 도시의 공간구조를 고려한 계획 접근방법론의 고찰을 통하여 실제 국내대상지의 비교분석과 현황진단에 활용할 수 있는 도시공간조직의 분석방법론과 대응방법론을 확립하였다. 도시공간조직을 동질의 구조적, 기능적 특징을 가진 도시의 공간구성단위에서 가로, 필지, 가구, 건축물의 구성체계로 정의하였으며 도시공간조직의 구성체계와 각 구성요소들의 관계구조 측면에서 정비계획의 분석항목을 도출하였다. 또한 도시공간조직의 세가지 대응의미로부터 도시의 유기적 연결성 확보, 도시경관과의 조화, 도시구조의 지속가능성, 장소가치의 보존, 주거지 유형의 다양성 구축, 근린생활가로의 활용성 확보로 더욱 세부적인 대응가치를 규정하였다. 궁극적으로 구체적인 도시공간조직에의 대응방법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계획조건에 대한 사례조사, 국내 사례대상지의 예비조사를 참조하였다. 대응방법을 주요공공시설과의 연결체계 구축, 중소규모의 가구단위로 분할, 주변 가로공간의 높이 및 건축선 유지, 중층 고밀형 주거지 형성, 주요 가로체계를 유지한 가구재구성. 필지구조 유지를 통한 가구단위 공동개발, 소단위 필지합필을 통한 가구 형성, 주거지유형의 다양화, 가로의 단계적 위계성, 가로 대응형 건축물의 다양화, 가로변 근린시설용도의 복합 등 16가지 대응방법으로 규명하였다. 이러한 개별 대응방법들을 토대로 정비모델제시 시 기본방향을 제시하였고 모델제시에서 대응방법 별 필요한 정비방안의 원칙을 세부적으로 규정하였다. 제3장 국내 주거지 정비사업의 추진현황 및 법제도. 단독주택지의 노후화에 따른 거주환경 개선, 도시기반시설의 부족으로 인한 국내 정비사업의 추진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주택재개발사업이 총 845개 구역, 재건축 구역이 479구역으로서 수도권과 대도시를 중심으로 시행 활성화되었고 점차 지방권역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주거지 정비사업과 관련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과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이 시행되기까지의 과정을 이해하였으며 두 법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세부관련 법제도는 도로, 도로와 건축물의 관계, 공원 및 녹지, 사전환경성 검토, 기반시설의 비용분담 등 정비기반시설 관련법을 고찰하였으며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 및 시행령에서 주거지 정비사업에서 요구되는 주택 규모 및 건설비율을 조사하였다. 특히, 소규모 가구단위들로 구성된 주거지의 계획을 통하여 도시계획도로가 구역내 혼용됨으로서 발생되는 문제점으로서 인동거리, 주동거리, 높이 규제 등의 건축법과 단지내 부대복리시설 규제를 담은 주택건설기준등에 관한 규정에 대한 법규를 고찰하였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의한 사업 별 특징을 조사하고 현행주거지 정비방식을 고찰함으로서 정비모델결과와 현 제도와의 비교검토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제4장 기성주거지 도시공간조직의 특성과 사례분석을 통한 주거지 정비사업의 문제점 진단. 기성주거지와 정비현황의 도시공간조직을 비교하고 정비현황에 대한 진단을 실시하기 위하여 세 곳의 사례 대상지를 선정하였다.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비정형적인 가로구성이 존재하는 이문 재정비 촉진지구, 토지구획사업에 의한 격자와 자연발생적인 구조가 혼합된 신정 재정비 촉진지구 그리고 격자형 중심의 안양시의 호원초교 주변 재개발 구역을 선정하였다. 사례분석 결과에서 보다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문헌조사를 통한 국내 기성주거지 도시공간조직의 일반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기성주거지 도시공간조직의 일반적 특성은 10m이하의 소로의 공공도로에 의해 형성된 가로구조와 약 3,000m2 이하의 소규모 가구단위들로 형성되었다. 또한 지형에 따라 가로대응 방식이 변화된다는 점이다. 가구는 진입방식, 필지집합방식에 따라 격자형, 일자형, T자형, 가지형, 부정형, 루프형, 골목형 등으로 분류되며 건축물의 시간적인 변화에 따라 분할, 합필 등의 변화과정을 겪는다. 기성주거지에서의 가로의 구성체계는 12m이하의 소로가 위계적으로 형성되었으며 6m도로가 여러 가구를 연결하는 주요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6m이상의 가로변을 따라 근린생활시설, 공공시설이 넓게 분포됨으로서 생활가로로서의 공공성과 건물과 밀착된 가로공간구조가 특징이다. 새로운 정비현황의 가로 구성체계를 보면 10m이하의 생활가로는 멸실되고 간선도로 중심의 도로망이 구현되었으며 가로변에 옹벽, 완충시설 등에 의해 가로와의 관계가 단절되었다. 기성주거지의 가구 및 필지형태는 평균 3,000m2에서 4,000m2의 가구규모를 나타내며 대, 중, 소의 가구 위계가 분명하고 격자형, 그물형 그리고 준가구 유형이 일반적이다. 정비현황에서는 최소 30,000m2이상의 대규모 택지로 개발되어 도시의 긴밀한 네트워크형성을 차단함으로서 인보구 중심의 긴밀한 연계가 안 되는 불합리한 기반시설 배치를 초래하였다. 높은 주동배치에 의하여 가로와 건축물간의 이격거리가 크며 주동 간에서도 높은 인동거리를 나타내며 15층 이상의 판상과 타워형 중심으로 개발되었다. 정비전후의 변화에 대한 비교분석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은 무엇보다 가로구성체계의 변화이다. 기존 생활가로가 전면철거 되었으며 고층위주의 사업성 실현과 기반시설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도시계획도로 설치는 최소화되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대규모 택지조성을 통하여 토지이용률과 사업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촉진구역내에서 기존의 가구와 필지의 구성체계는 상실되었으며 사업지정요건 충족을 위하여 인접가구 형태가 절단되는 상황도 벌어져 도시공간조직의 파괴가 심각하다. 또한 균질한 주택상품을 통한 분양리스크를 최소화하고 공사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지형, 가로 등 지역의 장소적 특성을 무시하였다. 가로변에 따라 형성되었던 생활가로의 특성은 촉진구역 별 조건에 따라 통일성 없게 배치되었으며 가로와 건축물의 밀착형은 볼 수가 없다. 또한 아파트 중심의 재개발 구역지정과 수익성위주의 개발로 인하여 단독, 다세대, 도시형생활주택, 근생주택 등 다양한 주거환경의 선택권이 상실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구역계 규모, 구역경계부 설정, 커뮤니티시설배치기준, 기반시설 설치기준 및 비용부담률, 높이 및 이격기준에 대한 개선과제를 설정하였다. 제5장 도시공간조직에 대응하는 주거지 정비모델. 앞에서 진행된 도시조직에 대한 이론 및 도시형태 분석방법론 등 도시공간조직에 대응하는 것에 대한 개념정의, 실증적인 사례조사 그리고 현황진단을 바탕으로 5장에서는 16가지 도시공간조직에 대응하는 방법을 토대로 정비모델을 제시하였다. 각 대응방법 별로 제시된 모델에서는 정비방안에 대한 원칙을 구체적으로 마련하였으며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정비모델에서는 기존의 부분존치지역을 토대로 주택개량, 건축인허가 그리고 주택건설사업이 가능한 구역,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의한 전면철거 신축이 가능한 재개발사업구역 그리고 공공주도의 기반시설공급을 위한 도시계획시설사업 구역 등 다양한 정비사업 방안을 제안하였다. 지역공동체의 보존을 위하여 사업구역 내에서 1만 5천m2이하의 중소규모의 가구들로 구성된 다수의 시행지구들로 분할하였으며 하나의 시행지구는 독립된 사업단위가 가능하도록 정비방안을 제시하였다. 2-3개의 시행지구가 정형화된 사업단위를 형성하면서 메인도로변부터 안쪽으로 점진적으로 개발함을 원칙으로 하였다. 기반시설의 설치조성에 있어서 공공성의 확보를 위하여 도로, 공원, 녹지 등은 공공이 매입하여 선투자하고 비용분담률에 따라 각 시행지구가 사업 시 분담함을 원칙으로 하였다. 구역의 경계설정은 동일한 주택유형의 밀집지역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를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양측에 전면철거구역이 존재할 경우 도로중심선을 구역경계로 설정하며 반대쪽에 존치관리구역이 설정될 경우 반대쪽 대지경계선까지를 포함하는 구역경계를 제안하였다. 6m이상의 가로는 도로선형을 가능한 유지하면서 확폭 혹은 보존하며 일부의 경우에만 원할한 교통체계의 확립을 위하여 개편함을 원칙으로 하였다. 도로확폭의 기준은 도로 양측이 전면철거재개발로 진행될 경우 도로중심선으로부터 양측으로 확폭하고 도로의 한쪽이 부분존치구역일 경우 전면철거재개발쪽으로 편측 확폭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정비모델에서는 6m에서 16.5m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도로위계를 설정하였으며 보행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보행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주요공공시설의 연결체계를 구축하였다. 도시계획시설사업에 의한 공공의 재정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6m와 9m 도로확폭의 경우 인도는 사업시행자가 조성함을 원칙으로 하였다. 또한 기반시설분담률이 평균을 초과하는 구역은 공공이 비용을 지원함으로서 생활권에 적합한 공공시설의 배치를 유도하였다. 기성시가지 소로체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폐도기준과 단지중심의 도로설치기준에 대한 재고가 요구되며 사업시행자 중심의 기반시설설치부담의무를 개정하여 시차원에서 기반시설 비용을 지원하여 공공성이 확보된 유기적 도로체계를 확보하도록 하였다. 정비모델 제시에서는 5,000m2에서 15,000m2 사이의 중소규모로 구성된 가구구성체계를 제안하였다. 대규모 사업단위로 설정된 구역단위 개발을 지양하고 시행지구단위의 중소규모 가구단위의 점진적 개발을 유도하였다. 부분존치구역에서 중규모 필지가 존재하는 가구단위개발에서는 필지구조를 유지하면서 맞벽건축으로 형성된 도시형 생활주택을 제안하고, 2-3개의 소단위 합필의 경우에는 연립주택과 다세대 주택을 계획하였다. 필지가 분할된 맞벽건축의 근린생활시설용지와 공동주택용지를 하나의 사업단위로 제안함으로서 기성시가지에서 존재하던 근린생활가로의 연속성을 고려하였다. 하지만 맞벽건축의 실현을 위해서는 주택법과 연계하여 제도적 보완이 요구된다. 도시 관리적 측면에서 지구단위계획수립대상을 필지단위의 세대수 기준에서 가구, 구역 단위로 설정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왜냐하면 난개발을 방지하고 공용시설과 근린생활시설의 효율적 배치를 유도할 필요성이 대두되기 때문이다.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중층고밀의 가로밀착형 주거지를 실현하기 위해선 도로사선제한에 대한 완화가 요구된다. 실질적인 채광조건을 고려하여 도로사선제한 적용 시 도로 끝이 아니라 건축물의 배치선에 의한 이격거리 설정을 제안하였으며 부분적으로 중층형에 타워형을 추가로 건설하는 경우 단지별 완화기준의 총량, 즉 일부 높이를 완화해주는 규제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중층고밀의 주거지 실현을 위해서 주동배치 시 실질적인 채광조건을 충족한다면 인동간격의 완화가능성도 검토 가능하다. 제6장 결론. 우리가 갖고 있는 기성시가지의 문화자산을 보존 혹은 유지하여 도시의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해선 기존 도시공간조직에 대한 존중과 연구는 더욱 확대되어야 한다. 또한 기존도시조직을 파괴하는 주거지 정비사업에 있어서 보다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무엇보다도 가로 및 공공시설에 대한 다양성과 공공성 확보를 위하여 사업의 공익성을 회복해야 하며 이의 실현을 위하여 시차원의 공공 지원체계와 민관협력체계가 확립되어야 한다. 소규모 사업단위의 주거지 정비의 실현을 위하여 구역단위에 의존하는 사업시행자 중심의 기반시설공급에서 벗어나 지구 전체차원의 가이드라인이 요구된다. 도시환경의 공익성 확보를 위하여 소규모 단위의 합필개발이 이루어지는 지역에서는 커뮤니티 시설의 체계적인 공급을 위한 계획적,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중층고밀의 가로밀착형의 다양한 주거지 유형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높이규제의무의 완화가 요구된다. 또한 주거지의 정비 및 개선이 요구되는 지역 별로 구역계에 의존하지 않는 공익성이 확보된 법정 공공시설계획과 비법정 도시조형계획이 요구된다.
요약2 Chapter 1. Introduction. Urban spatial tissue existing for a long time is the urban form having its values as the cultural asset. This contains not only the value of physical form but also common memory accumulated for ages, such as varied lives, local economic system, and the images which the residents have shared as time goes by. Destruction of urban spatial tissue means the loss of local history and place, the erosion of socioeconomic mechanism, and the loss of memory about the local residents’ hometown. Despite the loss of such values, most residential renewal projects underway have been carried out as land clearance redevelopment and the newly inserted layout of apartment buildings has got rid of diversity in housing environment of existing urban area, such as organic connection system and various opportunities. Most redevelopments have focused on large sized district, closed and unsuitable for the sites in terms of both function and form. On this background,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set for the purpose of introducing the basic direction of renewal planning as the implementing way of residential renewal for residential area consisting of small-and medium sized units with low-medium rise and high density. The detailed objective proposes a practical alternative securing street network system and urban morphologic responding method to improve the connectivity to the surrounding area; publicness of development of small and medium sized units and infrastructure; various housing types of medium rise and high density and neighborhood street. Case study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of urban spatial tissues between existing urban area and renewal area is carried out on renewal promoted district or redevelopment district where large sized district development is underway. The area is composed of concentrated multiplex housings and multi-family housings with well-preserved existing plot system and designated as the second residential zone. Specific action plan should seek considering analysis methodology of urban spatial tissue such as the system of street structure, plot structure, and configuration of the building layout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ystem and buildings. The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studies is the attempt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factors to urban spatial tissue in detail. Also empirical comparative analysis and diagnosis of current situation is made to find the cause and this leads the proposal of the practical renewal model and principles corresponding to the urban spatial tissue of renewal promoted district with the consideration of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the realization. Chapter 2: Concept of residential renewal corresponding to the urban spatial tissue. In order to provide the basis of residential renewal way corresponding to urban spatial tissue Problems are defined focused on such factors as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area and disturbed harmony, failed relationship with the streets, privatization of the residential district, uniform land use plan and residential types, and low resettlement rate of the original residents in terms of socio-economic viewpoint. In order to identify the correspondence to urban spatial tissue, it is required to define the theory and concept of urban spatial tissue. Conceptual definition of urban spatial tissue is specified from connectivity, continuity, diversity to connectivity to the surrounding area, continuity in urban history, and diversity of living conditions. Analysis and response methodology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al site is defined by considering analysis methodology for understanding urban spatial tissue, prevailing in Europe and urban morphology in terms of urban context, and approach methodology considering urban spatial tissue. According to the documentary survey, urban spatial tissue is defined as the composition system of street, plot, household and building at the level of urban spatial composition unit with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alysis factors are derived in terms of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This helps the meaning and value corresponding to urban spatial tissue be more specifically identified as securing urban organic connectivity, harmony with the urban landscape, sustainability of urban structure, conservation of the value of the place, diversity of housing types, ensuring the utilization of neighborhood street defined as meaning a more detailed response from the meaning of these corresponds to a plan to refine the case study was conducted on the conditions. Case study about the planning condition is carried out in order to specify the application methods. Seventeen application methods are identified; building up connection system with major public facilities, plotting for small-and medium-sized household units, maintaining the height of surrounding street space and the line of building frontage, creating low and medium rise residential area with high density, re-allocation of plots with the conserved main road network system, unit level co-development through the conserved plot structure, forming household through small sized lot merging, diversity in the housing types, hierarchy in road system, diversity in the roadside building type, and mixed use of roadside neighborhood facilities. Main directions for the renewal model is proposed based on those application methods, and more detailed principle is specified in model suggestion for each application method. Chapter 3: Current Status of the domestic residential renewal projects and related laws. Survey about current situation of domestic residential renewal projects aiming the improvement of aging living condition of detached housing area and insufficient infrastructure reveals that housing renewal projects are spreading from the metropolitan area and metropolis to the local districts. The implementation process is to be reviewed such as the law for the residential renewal project and related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maintenance, and special law for urban renewal promotion. Difference between two laws is analyzed by comparison. In particular, legal system is reviewed such as building codes controlling building distance, building length, and heigh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mixed layout of city planning road in the residential area with small sized units; regulations containing provisions for residential construction standards regulating welfare facilities within the complex. Chapter 4. Problem diagnosis of residential renewal projects through the case study of existing urban spatial tissue. Three sample sites are selected for the comparison of existing residential area and disagnosis of current situation of renewal. Imun renewal promoted district; unmeditated and atypical road network. Sinjeong renewal promoted district; mixed road system of grid network planned by land readjustment and unmeditated network. Anyang Howon renewal promoted district; grid network system. Documentary survey about the general features of urban spatial tissue in domestic existing residential area is carried out in order to ensure objectivity in case study. The problem found i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nge before and after the renewal is the altered street network system. Existing neighborhood street is entirely cleared and city planning road installation is minimal in order to increase the profit of the high-rise oriented project and to minimize the spending on the infrastructure. This aims to increase efficiency in land use and business value. Existing plot system in the redevelopment promoted district is totally lost and the destruction of urban spatial tissue is serious and in the worst case, adjacent unit is severed in order to meet business requirements for designation. Reg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terrain and streets are ignored in order to reduce the risk and construction costs through the homogeneous housing typ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adside neighborhood street are inconsistently design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promoted district and the type of buildings in close contact to the street is not to found. These problems lead some improvement issues in the size of a district, boundary condition of the district, standards for planning of community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 installation and cost sharing ratio, and height and setback controls. Chapter 5. Residential renewal model corresponding to the urban spatial. tissue In chapter 5, renewal models for sixteen urban spatial tissues are provided based on the concept definition, empirical case study, and diagnosis of current situation about the factors corresponding to the urban spatial tissue, such as theories about the urban tissue, and urban form analysis methodology. In order to ensure publicness in the infrastructure installation, in principle, road, park and greens are purchased and invested by the public institution first, and each implementation body shares the cost when the project i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cost sharing ratio. District boundary is set along the road surrounding the concentrated area of homogeneous housing types. Road system is designed with the hierarchy from 6m to 16.5m and main public facilities are connected along the pedestrian network for the pedestrian-friendly environment. Small and medium sized housing planning system ranging between 5000㎡ and 15,000㎡ is proposed and large sized district planning is to be improved. Neighborhood housing is suggested by planning both neighborhood facilities and collective housing in divided plots in the same project site. Relaxation of setback regulation from road width is required in order to realize diverse street-contact medium-rise high density housing types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s. Also the regulation controlling distance between buildings can be relaxed if practical day lighting condition is satisfying the regulation. Chapter 6. Conclusion In order to enhance the urban identity by conserving or keeping the cultural properties of existing urban area, mo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existing urban spatial tissue with proper respect. Also the residential renewal accompanied by existing urban tissue should be carried out very carefully. Most of all, public interest of a project should be recovered in order to secure the diversity and publicness of roads and public facilities. This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public support system and public-private partnership at city level. Instead of infrastructure supply relying on district-based project promoter-oriented, guideline covering the whole district facilitates the realization of small scale residential renewal projects. Even small scale merging lots developments require planning and financial support at the level of urban environmental publicness. Relaxation of building height regulation is required in order to realize diverse street-contact medium-rise high density housing types. Also it is required to make legal public facilities planning securing publicness not reliant on the site boundary and informal urban forma planning.
소장처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사람 중심 가로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 연구
임유경(Lim, Yookyoung) ; 성은영(Seong, Eunyoung) ; 임강륜(Lim, Kang Ryoon) - 연구보고서(기본) : 2015 No.06 (201510)
단독주택지 재생을 위한 주택 관리 및 정비 지원방안
서수정 ; 임강륜 - 연구보고서(기본) : 2010 n.3 (201012)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필지단위 주택정비 활성화 방안 연구
서수정 ; 성은영 - 연구보고서(정책) : 2011 n.05 (201110)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기성주거지 공간관리수요변화에 대응하는 정비방식 다양화 방안
서수정 ; 임유경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7 (200912)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2 (20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