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수변도시 재생에 대응하는 수변경관 조성방안 연구 / A study on ways of urban design for waterfront cityscape in response to urban regeneration
저자명 권영상 ; 조상규
발행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수록사항 연구보고서(기본), 2011 n.05 (2011-12)
페이지 시작페이지(1) 총페이지(384)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수변도시 ; 도시재생 ; 수변경관 ; 경관계획 ; 녹색성장 ; waterfront town ; urban regeneration ; waterfront landscape ; landscape plan ; green growth
요약1 제1장. 서론.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위한 국토·도시정책이 진행 중이며, 국내에서도 녹색성장정책이 모든 정책의 주요 목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4대강 살리기 사업에 이어서 지천 살리기 사업, 동서남해안권 종합개발구상, 새만금종합개발구상, 기존 항만 재생사업 등의 정책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우리국토의 지형적 특성 상 대부분의 도시가 하천이나 해안 주변에 물류·생산·주거공간 등을 형성하며 발전해왔으며, 이들 수변공간에 형성된 도시들은 오랜 역사만큼이나 기존의 시가지 쇠퇴가 시작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재생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지만 우리 수변공간의 도시경관에 있어서 대표적인 문제점으로 천편일률적인 아파트경관과 방치되어 있는 공간에 대해 계속해서 지적되어왔으며, 시대적 요구로서 수변도시 재생의 기회가 왔으나, 사업성 위주로 도시재생 사업이 진행되고, 재생수요가 높을수록 과도한 개발압력에 따라 결과적으로 수변경관이 오히려 악화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 진행되고 있는 정책에서는 4대강 살리기 사업과 같이 미개발지에 대한 친수구역 조성 위주로 추진되고 있으며, 기존 도시의 재생과정에서 수변공간에 대한 활용과 경관조성방향에 대한 검토와 논의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수변도시재생사례 검토를 통해 수변경관 조성의 현황 및 문제점,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수변도시 재생에 대응하는 수변경관 조성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실제 두개의 사례대상지에 적용함으로써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제2장. 이론적 고찰. 본 연구에서는 수변도시의 재생유형을 재생방법에 따라 기존의 도시구조 및 인프라, 토지이용을 활용하는 유형과 전면적으로 재편하면서 재개발하는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기존 도시구조를 활용하는 수변도시재생의 경우 기존의 도시구조와 기능을 유지하면서 점진적 재생과정을 거친다는 측면에서 전면적인 개발압력이 부족하거나 하천 및 해안 정비과정에서 수변공간의 재생이 이루어지는 사례를 들 수 있다. 기존 도시구조를 전면적으로 재개발하는 수변도시재생의 경우 기반시설이 부족하거나 정주환경이 전반적으로 악화되어있어 안전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부동산 가치에 있어 재개발수요가 더 높은 경우 또는 도시의 기능이 재편되어 현재의 경제활동이나 정주여건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등이 해당된다. 한편, 수변도시의 재생수요를 수변도시낙후도와 관련시켜 볼 때, 도시공간이 낙후된 경우는 수변도시재생수요가 발생하고, 경관관리 정도가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시의 낙후도(재생필요성)와 경관관리 정도는 반비례 관계를 나타낸다고 정리될 수 있다. 그렇지만, 실제로는 개발압력이 높은 도시재생사업의 경우 과도한 개발이익 추구로 인해 도시재생사업은 진행되지만, 용적률 상승과 이에 따른 수변경관훼손이 발생한다. 이에 비해 도시낙후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서 도시재생사업의 필요성이 낮은 경우 경관관리 정도가 열악하지만, 자생적인 도시재생사업이 이루어지지는 못하기 때문에 수변경관의 개선정책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들 각각의 유형에 따른 수변경관조성전략이 필요하다 하겠다. 제3장. 국내 수변도시재생 현황 및 문제점. 국내 수변도시재생사례에 대한 현황분석에 있어 기존 도시구조 활용형의 경우 서울 합정전략정비지구와 대전 유성시장재정비촉진지구를 선정하였고, 전면재개발형의 경우 부산 북항재개발지구와 서울 개포택지개발지구를 선정하였다. 각 사례별로 도시재생과정에서의 공간계획 특징과 이와 연계한 수변경관 조성전략에 대해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도출해낸 수변경관 조성을 위한 정책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변공간의 재생유형에 따라 경관계획의 범위 및 내용이 달라지므로 재생유형별 경관계획 수립이 요구되며, 다양한 사례에 기초하여 재생유형별 경관계획의 기본방향 및 디자인 전략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통경축 및 조망점, 스카이라인 계획 등의 거시적 눈높이에서 접근한 비슷한 경관계획에서 벗어나 수변을 마주하는 경험자 눈높이의 변화(고·저), 접근 수단에 따른 속도감(자동차·자전거·보행), 거리에 따른 경관(근·중·원경) 등 다양한 접근방식을 반영한 경관계획 수립이 요구된다. 셋째, 현재의 시각적 형상에 국한된 경관계획에서 벗어나 수변경관이 지닌 특이성이라고 할 수 있는 후각 및 촉각·공감각적인 다양한 경관요소와 흥미로운 경험이 가능하도록 스토리를 개발하고, 이에 기초한 경관계획을 수립하는 등 사고의 전환이 요구된다. 넷째, 도시재생사업의 운영체계 상 계획안이 변경되는 가능성이 높은 우리의 실정을 반영하여 보다 구체적인 경관계획 내용을 개발하고, 경관계획 적용에 우선순위(규제, 제한, 유도 등)를 두어 계획안 변경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는 등 실효성 있는 경관계획 수립이 요구된다. 다섯째, 수변공간에 관련한 이해관계자간의 소통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의견 불일치와 대립, 용적률 상향조정 요구 등에 따른 계획안 변경으로 발생하는 수변경관 훼손 등의 문제점이 나타나는 우리의 실정을 반영하여 수변공간의 공공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며,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이해관계자간의 의견이 합일된 상태에서 계획안을 수립하고, 이를 계속해서 피드백 함으로써 함께 만들어가는 수변경관조성 및 수변도시재생이 이뤄지도록 변화가 요구된다. 제4장. 수변도시 경관조성사례 및 시사점. 국내 수변도시사례와 같은 유형을 적용하여 국외의 수변도시재생사례를 분류하고, 각 유형별 사례도시 2곳을 선정하여 우리나라의 수변도시 경관조성에 직접적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 도시구조 활용형으로는 일본의 카나자와(Kanazawa)와 스페인의 빌바오(Bilbao)를 선정하였고, 전면재개발형으로는 호주 시드니(Sydney)의 달링하버(Darling Harbour)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Amsterdam)의 이스턴도크랜드(Eastern Dockland)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해낸 국내 적용가능한 시사점을 도시구조·건축물·공공시설물·오픈스페이스 및 기타 등의 요소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시구조적 측면에서는 도시재생 및 도시계획사업을 하천정비와 연계하여 진행함으로써 지역 재생뿐 아니라 수변환경을 정비한 점, 지역의 역사·자연·문화자원을 최대한 보존함으로써 장소성을 살리면서 도시를 재생한 점, 수변과 시설물을 밀접 배치함으로써 수변으로의 접근성을 높이는 동시에 일상적 삶의 경험이 펼쳐지는 활력 있는 수변경관을 창출한 점, 저층부와 상층부의 용도복합 토지이용을 통해 수변의 이용성과 접근성을 높이고 수변공간 재생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유도한 점을 주목할 수 있다. 건축물에 있어서는 수변에 산책로 및 공원 등 공공공간 및 공공건축물·문화시설을 배치하고 수변 배후에 호텔 등의 숙박시설을 이격 배치하는 등 수변을 공공을 위한 공간으로 우선하여 계획한 점, 역사적 가치를 지닌 건축물 존치하고 용도 전환하여 활용함으로써 장소성을 유지하도록 계획한 점, 수변 인접지역에 저층 건축물을 배치하고 엄격하게 높이를 규제함으로서 어느 구역에서든 수변 조망이 가능하도록 계획한 점, 수변 일대 건축물 외관뿐 아니라 지붕·담장·문 등 건축물 구성요소까지 계획적으로 관리한 점, 유명 건축가의 참여를 통해 창조적 건축물을 디자인하고 수변 랜드마크로 조성한 점 등을 주목할 수 있다. 공공시설물에 있어서는 수변 일대 공공시설물의 디자인 및 설치행위에 대해 엄격하게 관리한 점, 유명 건축가의 참여를 통해 공공시설물 디자인하여 랜드마크를 조성한 점, 수변 조망을 극대화하도록 공공시설물을 디자인하고 설치한 점 등을 주목할 수 있다. 오픈스페이스에 있어서는 수변공간에 공원 및 녹지를 조성하고 도심과 연계하여 접근성을 확보한 점, 수변의 녹지공간과 주거의 녹지공간을 연계함으로써 수변을 따라 유기적인 녹지공간을 조성하고, 일상생활이 펼쳐지는 공간으로 활용되도록 한 점 등을 주목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주민이 주도하여 수변경관을 관리함으로써 수변공간 및 경관에 대한 주인의식을 부여함으로써 지속가능하게 수변경관을 관리한 점 등을 주목할 수 있다. 제5장. 수변도시 녹색재생을 위한 경관조성방안. 본 연구의 결론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앞에서 고찰한 이론에 바탕하고, 국내외 수변도시재생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도출한 정책과제 및 시사점을 토대로 수변도시 녹색재생을 위한 경관조성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 수변도시재생정책 전반에 걸쳐서 가장 상위단계의 정책모형으로서 녹색-도시-재생-경관 연계모형(Green-GRUWS)을 제시하며, 이는 도시구조와 도시재생, 도시경관이 선순환구조를 이루고 이의 연결고리로 수변공간을 활용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두 번째로 이러한 수변도시재생전략 중 한축을 담당하게 되는 수변경관조성의 기본방향으로는 참여주체의 연계측면(I, Integrated Governance), 디자인측면(D, Design Oriented), 환경측면(E, Eco Friendly), 활용도측면(A, Accessibility) 등 네 가지 측면에서의 기본방향(IDEAS 전략)을 도출하였다. 세 번째로 이 두 가지 모형이 결합된 모형으로서 수변도시재생-경관조성전략을 도출하였으며, 이는 수변공간을 중심으로 한 공공공간의 구성측면(S, Safe, Sustainability), 토지이용측면(O, Open Use), 도시구조측면(F, Free Access Design), 건축물 및 공공시설물측면(T, Timeless Cityscape Design)에서 각각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에서 정리한 수변경관 조성의 기본방향 및 디자인 전략을 인천 내항재개발지구 및 한화지구에 실제 적용함으로써 실효성 있고 실제 적용가능한 수변경관조성의 대안을 마련하였다.
요약2 Chapter 1. Introduction. Due to global response to climate change, green growth policy is being main purpose of all policies also in Korea. As a result, following the Four-River restoration project, policy projects such as branch restoration project,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of the southern coast area and Saemangeum, and restoration project of existing harbor are currently underway. In addition, due to geographical nature of the country, most of the cities, around rivers and coasts, have evolved by forming spaces for trade, production and living, and these cities which were formed in waterfront, according as existing old city areas start to decline as much as their old history, are expected to make demand for regeneration consistently. Monotonous landscape of apartments and abandoned waterfront have been pointed out as typical problems in our urban landscape, and there came a chance to regenerate waterfront town as the demand of the times. Howeve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used to proceed with a focus on business value, and according to excessive development pressure, the demand for regeneration made waterfront landscape even worse. Current policies such as the Four-River restoration project are mainly focused on making water friendly space in undeveloped area, but there still needs more consideration and discussion utilizing waterfront area in the process of regenerating existing town, and direction for creating landscape . Hence, this study drew current state, problem and implication of forming waterfront landscape by examining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regenerating waterfront town, and, based on these researches, it suggested "ways of forming waterfront landscape in response to waterfront town regeneration". In addition, by applying the ways to 2 real sites, this study set a goal to propose a specific and realistic solution. Chapter 2. Theoretical review. This study divides regeneration of waterfront town into 2 types by the way of regeneration: type of using existing urban structure, infra and land use, and type of redeveloping with overall reorganization. The former type using existing urban structure, in the sense that it goes through gradual regeneration process while it maintains existing urban structure and function, takes place when overall development pressure is insufficient, or river and coast are in the course of repair. And the latter type applies when safety concern arises due to the insufficiency of infra structure or overall deterioration of settlement environment, or the demand for redevelopment is more higher in terms of property value, or the urban structure is not appropriate to current economic activity and living condition due to reorganization of its functionality. Meanwhile, when the demand for waterfront town regeneration is related to underdevelopment level of the town, in case of underdevelopment of urban space, the demand for regeneration arises and the level of landscape management is unsatisfactory. Thus, it can be summarized that the level of urban underdevelopment(demand for regeneration) and level of landscape management are in inverse proportion to each other. But indeed,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 with high development demand, the project goes on due to its excessive pursuit for profit, but it increases floor area ratio(FAR) and thus, damages waterfront landscape. Comparably, when the necessity of urban regeneration is low due to relatively low level of underdevelopment, owing that in spite of poor landscape management level, self-motivated urban regeneration can not be achieved, it's not easy to implement the improvement policy for waterfront landscape. Therefore, the strategy for making waterfront landscape by each type is required. Chapter 3. Current state of waterfront town regeneration in the country and its problem. In domestic urban cases for analyzing current state, Hapjeong strategic development district in Seoul and Yuseong market redevelopment promotion area were selected as a type of using existing urban structure, and Busan north port redevelopment district and Gaepo development area in Seoul as a type of overall redevelopment. By each type,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about features of space planning in the process of urban regeneration, and strategy for making waterfront landscape related to planning features. And from these researches, policy issues to create waterfront landscape are drawn as follows. First, as the scope and the contents of landscape plan differ by regeneration types, a landscape plan is required to be made according to those types, and basic direction and design strategy by the types should be made on a basis of diverse cases. Second, apart from similar landscape plans which start from broad perspective such as view axis, viewpoint, skyline plan, etc, a landscape plan is required to be made by adapting various approaches including changes of observer's eye level looking at waterfront(high/low), sensation of speed by access(vehicle, bicycle, walk), landscape by distance(close, middle, distant view). Third, besides current landscape plan limited to visual shape, there needs to be a change in a way of thinking, including developing a story to make it available to have and experience various landscape elements like sense of smell, touch and synesthesia, which could be the features of waterfront landscape, and establishing landscape plan based on the story. Fourth, considering current circumstances where it is highly possible for plans to be changed in operating system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t is required to establish landscape plan with effectiveness such as developing more specific plan, and, with the priority in applying to the plan(regulation, restriction, induction), preparing for alternatives to changes of the plan. Fifth, by reflecting current circumstances of the disagreement and conflict within the persons concerned with waterfront area due to lack of communication, and of the damage in waterfront landscape by changes in the plan such as the demand for increasing floor area ratio, it is required to make a public effort to have social consensus about publicity of waterfront area, and to have a change to achieve waterfront landscape and its regeneration together by making plan with the opinions within the related persons agreed through continuous conversation, and having a continuous feedback of this procedure. Chapter 4. Examples of landscape formation in waterfront town and their implications. Hereupon, using same types applied to domestic cases, regeneration cases in foreign countries were classified and 2 case cities by each type were selected to draw direct implication in landscape formation in waterfront town of Korea. Thus, Kanazawa, Japan, and Bilbao, Spain were chosen and analyzed as a type of using existing urban structure, and Darling Harbour, Sydney, Australia, and Eastern Dockland, Amsterdam, Netherlands as a type of overall regeneration. Drawn from those researches, applicable implications in domestic area are summarized by elements such as urban structure, building, public facility, open space and others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urban structure, there are several remarkable points : a point that urban regeneration and urban planning projects are combined with river improvement not only to regenerate region but also to improve waterfront environment, a point that regeneration maintains historical,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s of the region as much as possible, a point that waterfront and facilities are located closely to increase access to waterfront while active waterfront landscape is created with experiences of ordinary lives, a point that usability and accessibility to waterfront area is enhanced through land use with mixed use of lower and upper level, and a point that economy at the region is induced to be vitalized by regenerating waterfront. In buildings, there are several points to draw attention : a point that waterfront takes a priority of being planned as a place for public, in a sense that public space, building and cultural facility such as promenade and park are located in waterfront, while accommodations including hotel are behind it at a distance, a point that buildings are planned to keep the sense of place by maintaining historic building and changing its use to utilize it, a point that by arranging low-rise buildings around waterfront and by controlling building height strictly, a view toward waterfront is available from everywhere, a point that not only the exterior of buildings around waterfront, but also the elements such as roof, wall and door are managed deliberately, and a point that with participation of renowned architect, creative building is designed and made as a waterfront landmark. In public facility, it was remarkable to manage design and its installation around waterfront strictly, to create landmark by designing public facility with renowned architects, and to design and install the facility to maximize view around waterfront. In open space, it was noted that the access to waterfront was enhanced by creating park and green space around it and connecting it to downtown, and that , by connecting green space of waterfront and residential area, an organic green space was created and used as a space for everyday life. In addition, it was noticeable that inhabitants maintained waterfront sustainably by playing a leading role in managing waterfront landscape with the ownership for landscape and space of waterfront. Chapter 5. Ways to form landscape for green regeneration of waterfront town This chapter draws conclusion proposing ways of making landscape for green regeneration of waterfront town, based on theories considered earlier in this thesis, and policy tasks and implications from analysis of waterfront town regeneration cases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First, as a policy model at most highest level through overall regeneration policy of waterfront town, Green-Urban-Regeneration-Landscape linked model(Green-GRUWS) is suggested, and it means to have virtuous cycle of urban structure, urban regeneration and urban landscape, and to utilize waterfront with its link. Second, basic direction for making waterfront landscape, which functions as one axis among those regeneration strategies, comes up with directions in 4 aspects(IDEAS strategy): aspect of connection of participants(I, Integrated Governance), aspect of design(D, Design Oriented), aspect of environment(E, Eco Friendly), aspect of accessibility(A, Accessibility). In the next place, as a model with those two models combined, a strategy of waterfront town regeneration-landscape creation is made, and it was proposed respectively in terms of construction of public space focusing on waterfront(S, Safe, Sustainability), land use(O, Open Use), urban structure(F, Free Access Design) and building and public facility(T, Timeless Cityscape Design). Lastly, by applying basic direction and design strategy of forming waterfront landscape in practice to Incheon inner harbour redevelopment district and Hanhwa district, a realistic and applicable alternative of making waterfront landscape has been established.
소장처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수변공간 활성화를 위한 도시계획 및 설계방향
권영상 ; 조민선 - 연구보고서(기본) : 2010 n.5 (20101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논문] 역사적 건축물 보존에서 지구단위계획의 역할과 과제
이범훈(Rhee, Bum-Hun) ; 김기호(Kim, Ki-Ho) - 국토계획 : Vol.50 No.7(통권 217호) (201511)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하펜시티 수변공간의 도시디자인 수법에 관한 연구
이범훈 ; 김경배 -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911)
[논문]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최강림 ; 이승환 - 국토계획 : v.44 n.2(통권 169호) (200904)
수변공간 문화재생의 계획적 특징에 관한 연구
김영환(Kim Young-Hwa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