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중소도시재생을 위한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 활용방안 /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Utilization towards Urban Regener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저자명 차주영 ; 임강륜
발행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수록사항 연구보고서(기본), 2011 n.08 (2011-12)
페이지 시작페이지(1) 총페이지(363)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Public Architecture ; Public Space ;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 Utilization ; Urban Regeneration
요약1 1. 연구의 구성. 본 연구는 인구감소, 산업쇠퇴, 물리적 환경의 노후화 등 도시쇠퇴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중소도시를 활성화하기 위해 장소중심의 도심재생 수단으로써 공공건축과 공공공간을 활용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는 구체적인 정책적 대안과 지방자치단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전략을 도출하기 위해 첫째, 국내 도시재생 및 공공건축·공공공간과 관련한 정책, 법제도, 사업추진 현황을 검토하였으며,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을 매개로 한 지방정부의 도시재생 사업현황을 조사하였다. 둘째,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을 활용한 도시재생전략의 의미와 필요성을 검증하기 위해 영국과 일본의 도시재생정책의 변화과정과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을 활용하여 도시재생사업을 성공시킨 리버풀, 카나자와, 이이다 시 사례를 통해 도시재생의 성과를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셋째, 국내 중소도시의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 활용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인구 30만이하 도시 중 인구수, 주요 도시산업, 지역입지별로 유형화하여 7개의 중소도시를 선정하고, 각 도시의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 관련 공간구조 및 인구분포 특성과 각 시설의 공간별·시기별·규모별 분포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도심지내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의 입지와 규모, 주변 지역으로부터의 접근성, 공원·녹지 네트워크 체계 등 활용실태를 살펴보았다. 관련계획 및 재정계획, 사업계획 등 추진 중이고 예정인 사업에 대한 계획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현황조사나 분석을 통해 주요 결과물로써 중소도시재생을 위한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 활용의 기본방향과 지자체에서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을 활용한 도시재생전략수립 시 참고할 수 있는 도시재생 프레임워크, 그리고 중앙정부 차원에서 중소도시 도심지의 재생을 지원하기 위한 관련 제도 개선방안 및 이의 중장기적 실행방안을 제안하였다. 2. 장소중심의 도심재생 수단으로써 공공건축과 공공공간 활용의 필요성. 물리·경제·사회적 재생을 지향하는 장소만들기 중심의 도시재생으로 인식을 전환하고 도시재생에서 사람?경제?장소를 상호 연관된 요인으로 보고 접근하는 ‘장소만들기’ 차원에서 공공건축과 공공공간은 커뮤니티를 활성화하는 중요한 매개체로 ‘장소만들기’의 주요 수단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공공건축과 공공공간은 도시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거점으로 사람들이 ‘장소성’을 인식하는 데 주요한 요인으로도 작용한다. 나아가 공공의 투자로 주변지역에 경제적인 파급효과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지역의 경제를 활성화하는 촉매로서 공공건축과 공공공간은 국내외 중심시가지재생에 있어 핵심적인 사업으로 활용되고 있다. 영국과 일본의 경우 공공건축과 공공공간사업이 도시재생의 핵심 사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특히 중심시가지재생에 있어 공간적이고 상징적인 거점으로서 활용될 뿐만아니라 간접적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된 바 있다. 리버풀 시의 경우 새롭게 개선된 공공영역들이 리버풀시의 중심적인 공공영역으로서 기능하여, 부동산 임대시장의 활성화와 편의시설의 확대, 고용시장 활성화, 그리고 주거인구의 증가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도심지내 거주인구가 5년간 30% 이상 증가하였다. 카나자와시의 경우, 대규모의 시민예술공간으로 조성된 카나자와 시민예술촌은 지난 10년간 240만명의 이용자가 방문하였으며, 경제파급효과가 300억엔을 초과하였다. 이처럼 공공건축과 공공공간은 ‘장소만들기’의 거점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물리?사회적 재생을 넘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수단으로써 도시재생의 촉매역할을 담당한다. 3. 공공건축과 공공공간을 활용한 국내 중소도시 재생의 한계. 도시재생과 관련한 중앙정부의 정책과 여러 지자체의 시책을 조사한 결과, 국내의 도시재생 정책은 지자체가 주도하고 중앙정부는 지자체를 지원하는 형태로 점차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도시재생 관련 제도와 정책은 아직까지 대도시의 쇠퇴한 지역을 정비하거나 낙후된 농산어촌을 지원하는 정책으로 이분화 되어 있어, 쇠퇴하는 중소도시의 여건에 맞는 제도적 지원체계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시와 관련한 기존의 제도는 도시 확장과 개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통합적인 도시재생전략을 수립하고 사업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이 미흡한 상황이다. 기존의 도시계획 및 관리관련 제도는 인구수에 기반을 두어 기반시설을 확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인구의 증감이 없거나 점차 쇠퇴하고 있는 중소도시에 맞는 새로운 사업을 추진하거나 도시재생과 관련된 예산을 추가적으로 책정하기 어려운 구조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최근 지자체에서 자발적으로 지역의 도시재생과 관련한 전략계획의 수립이 증가하고 있으나, 비법정계획으로 수립된 계획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한편 중앙정부의 도시재생 관련 지원사업과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 조성 관련 시범사업들을 살펴보면 도시재생관련 중앙정부 사업의 경우, 물리적 환경정비와 관련된 재생사업의 비중이 높은 반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를 독려하고 있지만, 제한된 시간 안에 예산추진 등에 대한 가시적 성과위주로 진행되어 도시재생 측면에서 얼마만큼의 효과를 얻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이 미흡하다.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과 관련한 중앙정부 시범사업의 경우, 개별사업단위 위주로 단발적으로 추진되는 경우가 많고, 도시재생 차원에서의 종합적인 고려가 미흡하다. 또한 각 담당부서별로 사업을 개별적으로 추진함에 따라 관련사업간 연계성이 저조하고, 지속적인 관리운영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여 실효성을 담보하지 못하고 있다. 공공건축과 공공공간 조성 관련 제도의 경우에는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 조성 관련 기준들이 각 시설별 기능의 확장과 도시의 확장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공공시설에 대한 설치기준의 근간이 되는 「도시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도심지 내에 공공건축, 특히 공공청사 등의 설치를 제한하고 있어 도심지의 쇠퇴를 가속화하고 있다. 또한 공공시설을 관리하는 주체가 분리되어 있고 공간정보가 통합적으로 관리되고 있지 않아 활용되지 않는 공공시설 등 지역의 자산을 재활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4. 국내 중소도시의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 활용실태. 강릉, 군산, 논산, 거제, 밀양, 태백, 나주 등 인구 30만 이하 7개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 관련 활용실태를 조사·분석한 결과, 인구밀도, 지역사회구성원, 지형여건 등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대체적으로 전체 도시차원에서 기초생활시설, 생활복지시설, 교육시설은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반면 여가시설은 지역특성에 따라 다르고, 일반적으로 도심지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기별 조성실태를 살펴보면 1995년 이후 도심지보다 도시외곽지역에 시설들이 집중적으로 조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중소도시의 동지역은 대부분 공간구조적으로 원도심과 신도심으로 구분되는데, 동지역의 공공건축과 공공공간 조성현황을 살펴보면, 시청 등 대규모 기초생활시설과 공원 등 대다수의 공공공간이 신도심이나 신주택지 위주로 입지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규모의 문화?체육시설 역시 신도심이나 도심외곽에 조성된 경우가 많아 실생활과는 활성면에서 괴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구도심과 신도심의 도시기반시설은 불균형적으로 조성되어 있고, 특히 구도심에는 공공공간 및 기초생활시설이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관련 계획, 사업, 예산, 담당부서 등의 조사를 통한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 조성 현황을 살펴보면 모든 시설을 공간적으로 아우르는 통합적인 계획이 부재한 상황에서 단발적으로 시설이 조성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공공건축과 공공공간 관련 사업들에 대한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계획이 거의 없고, 이들 사업을 연계하여 종합적으로 기획하고 관리하는 담당부서도 거의 없다. 한편 대부분의 사업은 공공주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민참여 또는 제3섹터의 참여는 형식적이거나 거의 부재한 상황이다. 지역별로 보면 도심지 내보다는 도심외곽에 시설 조성계획과 예산이 집중되어 있고, 관광사업과 대규모 시설사업 계획이 많은데, 공공건축물의 경우 지역주민보다는 외부인 유치를 위한 사업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프로그램이나 지속적인 유지관리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고 공공공간은 대규모 공원 조성이 대부분으로 실생활과 괴리가 있다. 또한 단일기능 사업 위주로 도심지 내 공간적 여건을 고려한 복합적 활용이나 지역자산을 활용한 계획이 미흡하다. 이는 시설의 활용실태에 대한 정보 부재, 그리고 잠재력 있는 시설에 대한 정보 부족과 DB구축 미흡, 유지·관리 관련 체계 부족 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중소도시는 대도시에 비해 재정자립도가 낮고 도시재생을 위한 예산확보가 어려운 실정이다. 대부분의 도시에서는 공공비용의 투입만 고려하고 있고, 민간자본의 활용이 미흡하다. 또한 시설물에 대한 지속적인 유지와 관리를 위한 예산확보나 관련 사업의 수익성 창출과 재활용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5. 도심재생을 위한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 활용의 기본방향. 도시재생에서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하는 지방정부는 도시재생에 대한 이해와 목표를 명확히 설정해야 하며, 도시의 비전을 마련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중장기전략 하에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 관련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중앙정부 차원에서는 중소도시에 대한 지원기준을 마련하고, 도시재생 전략 하에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 활용의 기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가 도시재생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참고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의 틀을 제시하고, 중앙정부 차원에서 중소도시의 재생을 위해 필요한 제도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는데, 이에 앞서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을 활용하여 도시재생을 구현하기 위한 기본방향으로서 다음의 7가지 사항을 제시하였다. 첫째, 지역자산 및 사회적 공간으로서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에 대한 인식 변환이 필요하다. 공공건축과 공공공간은 단순히 기능적인 시설과 물리적인 공간의 의미를 넘어 지역주민의 소통을 활성화하고 지역의 이미지를 제고함으로써 지역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둘째, 물리적인 환경개선과 경제 활성화, 소통과 커뮤니티를 활성화할 수 있는 다층적이고 상호 연계된 전략 하에 지역 여건에 맞는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에 대한 활용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쇠퇴하는 중소도시의 도심지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컴팩트하고 편리한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역사적으로 도시 형성에 기여한 지역의 자산과 문화자원을 발굴하고 기존의 공간구조를 활용하여 도시의 이미지를 강화하는 한편, 이를 산업적 가치로 승화시켜야 한다. 넷째, 미래자산으로서 공공건축과 공공공간에 대한 복합적이고 다양한 활용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한번 조성된 공공건축과 공공공간은 지역의 중요한 자산이며, 역사적인 가치를 지니는 동시에 동시대의 사람들이 활용하는 생활공간이다. 따라서 공공건축과 공공공간을 조성할 때는 도시공간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입지를 결정하고, 주변시설물과의 공간적, 프로그램적 연계를 고려하여 조성하여야 한다. 무엇보다 각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존의 공공건축이나 공공공간을 재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 번째, 주변시설 및 프로그램과의 연계를 위한 통합계획의 수립과 이외 효율적 활용을 위한 유지?관리방안을 마련하여 시설의 지속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효율적인 공간 활용과 사업추진을 위해서는 시설과 시설, 시설과 도시공간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통합계획의 수립이 중요하며, 지역의 수요와 특성을 고려한 시설의 설치와 유사시설 및 관련 프로그램의 연계가 필요하다. 또한 통합적인 계획의 실현을 위해서는 중장기계획과 사업의 단계별 추진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여섯 번째, 효율적인 사업추진을 위한 실행력과 자족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행정부서간의 긴밀한 협의체계 구축과 각종 공공기관 및 민간업체, 시민 단체들과의 협의를 이끌어내 조정하는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공공공간과 공공건축을 조성하는 데 있어 주민의 참여를 고양시키고 주민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는 방안을 꾸준히 마련해나가야 한다. 6.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을 매개로한 중소도시재생 프레임워크.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을 매개로 한 중소도시재생 프레임워크는 지자체 차원에서 주도적으로 중소도시재생전략을 수립하고 물리적인 공간계획을 수립할 때 참고하여야 할 기본방향과 공공건축과 공공공간 등 공공의 자원을 활용할 때 적용해야 하는 기본원칙을 제시한 것으로, 각 지자체에서 도시재생과 관련한 업무를 담당하는 실무진이 활용할 수 있는 자료이다. 이는 기존의 쇠퇴한 중소도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물리적·경제적·사회적으로 재생하고자 하는 국내외의 도시재생 사례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기본방향과 원칙들을 종합한 것이다. 따라서 프레임워크는 각 지자체에서 도시재생을 이해하고 전략을 짤 때 고려하여야 할 사항들에 대한 체크리스트라 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실천방안은 지자체별 상황과 여건에 따라 적합한 방식으로 재정립하여야 한다. 도시재생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명확한 목표설정 아래, 구체적인 계획과 실행체계가 갖추어졌을 때 비로소 성공적인 도시재생이 가능하다. 따라서 프레임워크의 구성은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는 데, 첫 번째 부분에서는 도심재생을 위해 물리적인 시설을 활용함에 있어 전반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는 기본사항들을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 활용의 전제조건으로 정리하였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도시재생전략 마련과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 관련 통합계획 수립에 있어 고려하고 적용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였으며, 세 번째 부분에서는 조직구성과 예산을 포함한 실행체계 마련에 필요한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7.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을 매개로한 중소도시재생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중소도시재생을 위해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 활용방안을 위해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제도 개선방안은 크게 5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도심지내 공공건축과 공공공간의 효율적이고 유연한 활용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도시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을 비롯한 관련 기준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 공공건축과 공공공간은 지역자산으로 인식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공간정보체계의 관리가 미흡하다. 따라서 지역자산으로 공공건축과 공공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건축 및 시설에 대한 이력관리 및 통합적인 관리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도심지 내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복합적인 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지방 중소도시에 대한 지원범위를 확대하고 지원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다섯 째, 도시재생 종합계획 수립근거 마련 및 자율적 사업추진 등 중소도시 특성에 맞는 도시재생사업 추진을 지원할 수 있는 다각도의 개선책이 필요하다. 단기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제도개선 방안은 「도시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개정, 지역 자산의 활용에 대한 이력관리, 운영·관리를 포함한 종합적인 지원과 사업의 지속성 증대방안 마련 등이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복합적인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 활용 방안 마련, 공간정보체계의 통합적 관리체계 구축, 타사업과 연계할 수 있는 재정활용방안, 포괄보조금제도에서 배제된 중소도시 도심지 활성화 지원 기준 보완, 중소도시재생을 위한 신규지원사업 마련, 도시재생 관련 종합계획수립 근거 확보, 지자체의 여건을 고려한 자율성 확보 방안 확대 등이 있다. 장기적으로는 민간건축물 내 공공시설 유치 시 인센티브 부여 방안 검토, 도시재생사업 이익의 환원 및 민간사업 활용 방안증진, 사업의 실효성 담보를 위한 평가체계 마련 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중소도시 재생을 위해 공공건축과 공공공간을 활용하기 위해 개선해야 할 과제들을 총망라하여 정리하는 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향후 이와 관련한 연구들에서 본 연구에서 제시안 방안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실천안의 제안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무엇보다 중소도시 내 지역자산의 활용, 특히 공공공지 등 공공용지와 잉여부지, 유휴시설 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활용방안과 지원기준의 마련이 필요하다.
요약2 People's awareness on urban regeneration is shifting towards one that centers on 'place making,' which pursues physical, economic and social regeneration. 'Place making' considers people, economy, and place as interrelated factors for urban generation. In this vein,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are a crucial medium for urban regeneration in that people use them a lot and that communities are activated by them. In a word, they are major tools for 'place making.' Additionally,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are a symbolic stronghold representing the identity of a city. They also functionas major factors that make people recognize 'placeness.' Furthermore,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play a key catalytic role in revitalizing regional economy; they cause economic impact on neighboring areas through public investment. Because of this, creation of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is used as a central project for urban center regeneration both at home and abroad. Under this backdrop, the study intends to present methods of using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as a tool for place making, aiming to revitalize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of the nation where phenomena of urban decay are deepening such as population reduction, industrial decay, and deterioration of physical environment.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the study intends to draw out specific policy alternatives and strategies that can be adopted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To this end, first of all, the study analyzes policies and legal systems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as well as the current status of the promotion of related projects in the nation. It investigates the current situa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via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that are pushed ahead by local governments, along with the limitations in the utilization. Second, the study draws out the implications of urban regeneration policies of the U.K. and Japan. It also examines the achievement in urban regeneration by Liverpool, Kanazawa, and Iida City, which successfully implemented urban regeneration policies based on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This is to verify the significance and need for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based on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Third, with the intent to draw out methods of utilizing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that can be adopted to local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he study selects seven out of the cities with a population of less than 300 thousand, after considering population size, major urban industries and location of the cities. Then, it analyzes the spac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distribution of each city, focusing on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It also analyzes the facilities in the cit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by space, period and size. Finally, the study explores the current state of the utilization that has a variety of aspects as follows: location and size of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their neighboring areas and the accessibility, park and green space network system, relevant plans,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the budget, and current status of the distribution. Based on the analysis, the research presents, as its major findings, first, directions to using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towards urban regeneration for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second, an urban regeneration framework that can be referred to when establishing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based on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and third, measures for the central government to improve related systems that may contribute to urban center regeneration for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of the nation, along with suggestions for a mid to long-term implementation of the measures.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n policies b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on urban regeneration show that increasingly local governments take the lead with the central government providing support for them. However, systems and policies of the nation on urban regeneration are still divided into two categories as follows improving decayed parts of metropolitan cities and supporting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that remain underdeveloped. What this means is that it lacks a system for institutional support that suits the conditions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decaying. In addition. currently there is a lack of institutional ground needed to establish integrated strategies for urban regeneration and ensure consistency in business. As for pilot projects by the central government that are related to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many of them are an isolated project and carried out primarily on an individual project basis. Therefore, there lacks an overall consideration from the urban regeneration perspective. Additionally, as projects are undertaken individually by the department concerned, they are little connected to each other. Due to the lack of consideration for consistent management and operation, it fails to ensur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s. As for systems related to the formulation of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related criteria are focused on urban expansion. This makes it difficult to reuse local assets such as public facilities that are no more in use. According to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on the current state of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utilization in the seven citie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facility distribution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ocal government. Second, public architecture is evenly distributed among the cities. And third, densely populated urban centers have little public architecture in all the cities investigated. In addition, basic living facilities of a large scale such as city hall, and most of the public spaces including public parks are also distributed primarily in urban centers and housing complex that are newly formulated. In other words, urban infrastructure is unbalanced in distribution between old and new parts of a city. In particular, the old part lacks public spaces and basic living facilities. As such, the old part of a city where housing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are concentrated lacks public spaces for daily use. The use of public architecture is insufficient despite of its wide distribution in this part. Next, the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formulation based on the investigation on related plans, projects, budget and departments in charge. The results reveal that there is no integrated plan and therefore facilities are built in an isolated manner. Furthermore, there lacks offices to take overall responsibility for planning and managing related projects. Lastly, most of the projects are implemented by the public, with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the third sector perfunctory or almost lacking. Plans and budget for facility creation are concentrated on urban outskirts rather than central parts of a city. Projects are primarily for tourism and for construction of large facilities, leaving a gap between the facilities and residents' actual life. Projects of a single function are the main concern, with little consideration given for spaces available within urban centers and for multi-purpose use of the facilities. The use of local assets is insufficient as well. The framework for regener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via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presents directions that should be referred to when local governments want to take the lead in establishing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and plans for physical space. It also provides principles to be applied when using public resources including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In brief, the framework is a manual to be referred to by those in charge of urban regeneration-related tasks in each local government. The framework puts together problems arising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hat are currently on the decline, along with directions and principles commonly shared among local and overseas urban regeneration cases that pursue physical, economic and social regeneration of the cities. Accordingly, the framework can be understood as a checklist of items to be considered when each local government understands urban regeneration and formulates the strategies based on a collection of case studies. In this sense, for specific implementation plans, each government should reconstruct the framework and implement it in proper ways according to its own situations and conditions. The framework is largely composed of three parts as follows: the first part presents basic items to be generally applied upon using physical facilities towards urban regeneration as preconditions for the use of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The second part provides items to be considered and applied when preparing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and establishing integrated plans for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The third part suggests items needed to prepare an implementation system including composition of organizations and budget. Aiming to provide methods to use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towards regener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he research suggests measures to improve related systems. They ar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related criteria so as to ensure effective and flexible use of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within the urban center. Second, currently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are not recognized as local assets, and management of the spatial information system for them is insufficient. Therefore, it is needed to manage the history of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and provide an integrated system for management so that they can be used as local assets. Third, it is important to promote multi-purpose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towards an effective use of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located in the urban center. Fourth, it is crucial to expand support for local small and medium-cities, providing the support criteria. Lastly, it is required to present multi-dimensional improvement measures in order to support the promotion of autonomous projects for urban regeneration, which are suit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covers and puts together almost entire tasks to be addressed to use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towards regener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order to ensure effectiveness of the use of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it is considered that more concrete measures of implementation should be suggested in follow-up studies based on the measures suggested in the research. Most of all, it is crucial to prepare more specific measures to use public spaces including public land, surplus area and idle facilities, along with the support criteria.
소장처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근대건축물 활용을 통한 지역활성화 방안 연구
권영상 ; 심경미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5 (200912)
[논문]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최강림 ; 이승환 - 국토계획 : v.44 n.2(통권 169호) (200904)
도시 생활밀착형 공공공간 조성 방안 및 매뉴얼 개발 연구
이상민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11 n.07 (2011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근린 재생을 위한 도시 내 유휴공간 활용 정책방안 연구
임유경 ; 임현성 - 연구보고서(기본) : 2012 n.03 (201210)
사람 중심 가로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 연구
임유경(Lim, Yookyoung) ; 성은영(Seong, Eunyoung) ; 임강륜(Lim, Kang Ryoon) - 연구보고서(기본) : 2015 No.06 (201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