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한스타일 공공건축물 공급 방안 연구 / A Study on Policy Measures for Provision of the Han-Style Public Buildings
저자명 이강민 ; 옥채원
발행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수록사항 연구보고서(한옥), 2011 n.04 (2011-12)
페이지 시작페이지(1) 총페이지(382)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한스타일 공공건축물 ; 공공한옥 ; 신한옥 ; 한옥풍건축 ; 가이드라인
요약1 제1장. 서론. 이 연구는 한옥 건축 문화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으로서 공공건축물의 한옥화에 주목하여 보급방안과 관리방안을 모색한 연구이다. 최근 정부에서는 공공용도의 건물을 한옥으로 보급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지만 체계화되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 진행중이거나 완료된 한스타일 공공건축물 건립사업의 다양한 양상을 살핌으로서 공공 한옥 건축물의 한계와 지속 가능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며, 정부의 사업 지원방식 및 지원금에 대한 기준 마련 및 지속적 관리를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한스타일 공공건축물의 보급 절차를 제도적으로 체계화하고 한스타일 공공건축물의 법적 분류기준 및 범주별 정부 지원책을 마련하며, 한스타일 공공건축물의 품질과 품격을 제고하기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제2장 한스타일 공공건축의 개념과 범주. 연구의 제목으로 쓰인 한스타일은 우리 문화의 원류로서 대표성과 상징성을 띠고 있으나 자생력이 부족하여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우리 고유문화를 생활화, 산업화, 세계화하여 세계적인 문화명품으로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런데 지원대상인 한옥의 정의는 기둥 및 보가 목구조방식이고 한식지붕틀로 된 구조로서 한식기와, 볏짚, 목재, 흙 등 자연재료로 마감된 우리나라 전통양식이 반영된 건축물 및 그 부속건축물로서 매우 한정된 범위만을 포함한다. 그러나 현재 건축되고 있는 건축물은 현대건축물 내부의 인테리어를 한옥식으로 꾸미거나 외부 마당을 조성하는 등 광범위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에 대한 명확한 개념정의가 필요하였기에 그 전체를 포괄하는 용어로 한스타일 건축을 채택하였으며, 이러한 양상을 ‘현대적 편의성’과 ‘전통에의 충실도’를 기준으로 구분하였다. 그 결과 한옥풍 건축, 신한옥, 정통한옥, 문화재한옥으로 구분하였다. 전근대한옥과 근대한옥을 포함하는 정통한옥은 유지 및 관리의 대상으로 보존을 위한 정책대상이 된다. 현대의 신공법을 적용한 신한옥은 적극적인 육성의 대상으로 이 연구의 주요대상으로 삼는다. 마지막으로 한국 고유의 건축요소 혹은 모티브를 반영한 현대건축인 한옥풍 건축은 직접적인 지원대상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광범위한 차원에서 한옥문화의 진흥을 위해 참조할만한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평가했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한스타일 건축으로 지어지는 공공건축 중 공공(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이 주관이 되어 발주하고 공공의 예산으로 지어지는 시설 및 공간 환경으로 공공건축물의 범위를 한정하며, 시민대중이 직접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성을 가진 시설을 연구 대상으로 범위를 한정하였다. 제3장 한스타일 공공건축물의 조성현황. 신문과 뉴스상에 보도된 한스타일 건축물 중 사업 추진 주체가 공공이며 현재 사용되고 있거나 준공을 앞둔 60건의 건축물 조성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들 한스타일 공공건축물의 지역적 분포를 보면, 전체 60건 중 55%인 33건이 전라도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라남도 지역만으로는 26건으로, 타지역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조성률을 보이고 있다. 전라 남도(43%)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조성률을 보이는 지역은 전라북도와 서울(각각 12%)이고 경기도와 경상북도가 각각 6건(10%)으로 그 뒤를 잇고 있다. 한편 시기별 조성현황의 특성을 보면, 한스타일 육성정책이 발표된 2007년 이후로 진행된 사업이 전체 60건중 49건으로 전체 사업 건수의 82%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또 한스타일 공공건축물사업은 재외공관을 제외하면 모두 지자체에 의해 주도되고 있으며 중앙 정부는 지원금과 보조금의 형태로 지방 정부의 사업 일부를 지원하고 권장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있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68%에 해당하는 41건이 신한옥이며, 그 다음은 한옥풍 건축으로 15%에 해당한다. 한실과 정통한옥은 각각 5건으로 낮은 조성률을 보인다. 이어서 정통한옥, 신한옥, 한실 등 건축유형에 따라 대표사례를 정밀하게 분석하였다. 먼저 정통한옥의 사례는 혜화동 주민센터 리노베이션 사업을 살펴보았다. 혜화동 주민센터는 1940년에 건축된 한옥을 사들여 주민센터로 리노베이션한 사례이다. 그러나 한옥과 어울리지 않는 현대식 창호 및 내부 마감을 전통에 충실하게 고치고, 보다 주민들이 장시간 이용할 수 있는 문화시설로 용도를 변경하기 위해 제2차 리노베이션이 진행중이다. 신한옥은 본 연구에서 가장 주목하고 있는 건축유형으로서 총 7개의 사례를 검토했다. 국회 한옥 사랑채는 그 상징적 의미에 걸맞게 크고 당당하게 지어졌다. 비싼 건축비가 단점으로 지적될 수도 있지만, 목조공간이 지닐 수 있는 가장 큰 무주공간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모범이 될 만하다. 안동 군자마을 회관은 지역 한옥의 특징을 잘 파악해서 특별한 신기술 없이도 세련되고 합리적인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점이 훌륭하다. 구로구 어린이도서관은 지자체의 적극적인 노력에 의해 많은 예산을 확보하고 지어진 건물로서 2층 한옥을 실험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을 수용하는 시도가 성공적이라는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남산국악당은 현대건축과 신한옥을 결합해서 미학적 정취와 현대적 용도를 해결했다. 커다란 공연장을 지하로 내려보내고 지상에는 단정한 한옥을 지어 주변 남산 한옥마을의 경관에 일조했다. 지하의 채광을 위해 정원을 썬큰으로 구성하고 전통 화계를 조성한 점도 새롭다. 고산 윤선도 유물전시관은 ㄷ자 한옥의 마당을 아트리움으로 구성하고 지하공간을 만들어 마당의 공간감을 키운 것이 새로운 시도이다. 한옥의 정취를 간직하면서 부분적으로 현대적 기술과 공간을 삽입시킨 기법이 뛰어나다. F1 한식육교는 자동차 경주장의 도로를 가로지르는 모습으로 지어졌다. 장스팬을 해결하기 위해 집성목을 사용하고 목재의 결합에 볼트를 이용하는 등 현대 목조의 기술을 적극 활용했지만 전통한옥의 품격을 유지하고 있는 점이 평가된다. 완도 삼림 박물관은 15세기 주심포 양식을 적극 채용하는 등 문화재급 한옥의 위용을 표현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전시설비 등 현대적 기능과 조화를 이루지 못했다는 점이 지적된다. 한옥풍 건축은 현대 구조로 건축되었지만 한옥의 외형으로 꾸민 건물로서 전남축산 기술연구소가 대표적이다. 연구실 등을 수용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철골조로 건물을 조성한 다음 목재로 철골을 감싸 한옥의 모습을 만들었다. 2층 구조의 어색함을 감쇄시키기 위해 아래층은 성벽의 이미지로 꾸몄고, 2층을 마치 누각처럼 보이게 했다. 기타 차고 등을 행랑의 모습으로 조성하고, 철제 난간을 목조 계자각 난간처럼 만드는 등 세부적인 디자인에 신경을 썼다. 한실의 사례로는 산본도서관 한옥공간 리모델링과 안산 관산도서관 어린이 자료실 리모델링을 들었다. 두 곳 모두 문화관광체육부의 지원을 받아 어린이 자료실을 한옥풍 인테리어로 꾸민 곳이다. 어린이들과 학부모의 좋은 평가와는 달리 한옥부재의 마감이 미흡하고 내부에 들인 가구의 재질과 형태가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점이 아쉽다. 이와 같은 한옥들은 모두 주민들이 쉽게 방문하고 활용할 수 있는 공공시설물로 지어진 사례들로서 신문과 매스컴을 통해 널리 소개되고 있으며 이용자의 만족도도 대단히 높다. 사례들을 구체적으로 소개한 것은 이들 건축물의 사업추진과정을 살펴 한옥 공공건축물의 활발한 건축을 유도하기 위한 참고자료로 삼고, 아울러 미흡한 부분을 참고하여 품질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제4장 한스타일 공공건축 관련 정책 및 산업 현황. 지금까지의 한스타일 공공건축 관련 정책은 범정부적으로 추진하는 한스타일 육성종합계획(2007~2011), 문화체육관광부 주도의 유교문화권 관광개발사업(2000~2010)과 한옥공간 활성화 사업, 국토해양부에서 주관하는 한옥건축 육성정책(2009)과 한옥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2009), 외교통상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글로벌 코리아 추진계획(2009) 등이 대표적이다. 또 서울시의 한옥선언(2008)과 전라남도 행복마을 조성사업은 지자체에서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대표적인 정책으로 참고할만하다. 이들 정책에 의해 추진되고 있는 한스타일 공공건축 조성사업은 일반적인 공공건축사업의 진행단계와 마찬가지로 기획단계, 계획단계, 시공단계, 유지관리단계로 이루어지는데, 한스타일의 특징을 살리고 디자인 품질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기획단계가 특히 중요하다. 서울시에서는 2000년 북촌테스크포스팀을 시발로 2009년 한옥문화과가 창설되는 등 지속적으로 한옥건축에 관한 전담조직을 운영해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조직적인 기획이 가능하다. 전라남도의 경우에는 한옥주택을 담당하는 행복마을과와는 별도로 공공사업의 경우 전남개발공사를 통해 시행하고 있어서 노하우가 축적된 상태이다. 한옥문화진흥의 초기단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옥건축 시범사업은 대체로 공공건축물에 집중되어 있다. 대표적인 사업으로 국토해양부 한옥건축 지원사업을 들 수 있는데, 국토해양부는 사업공모, 평가·예산지원 등을 담당하고 지자체는 한옥 사업계획수립, 사업시행, 사업결과 보고를 담당하며, 심사위원이 지자체가 제출한 사업계획서를 바탕으로 계획, 사업시행, 운영·관리, 예산집행으로 나누어 서면평가를 진행하여 선정한다. 유사한 사업으로 문화관광체육부의 한옥공간 활성화 시범사업이 있는데, 주로 어린이도서관 리모델링을 지원했다. 한스타일 공공건축물 시공에 영향을 주는 산업현황에는 자재와 재료비, 인력과 인건비, 공사진행과정에서 담당자들 간의 역할분담 내역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도출한 문제점들은 한스타일 건축 산업기반 미비, 한스타일 건축 기술기반 미비, 한스타일 공공건축 추진체계의 전문성 미비의 범주로 구분되었으며 각각의 해결방안을 제시했다. 제5장 한스타일 공공건축물 지원 및 관리 방안. 한스타일 공공건축물 지원 및 관리방안은 크게 촉진방안, 지원방안, 품질관리방안, 법제도 개선방안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들 방안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검토한 후 실현가능성이 높은 것들만을 추출했으며, 이에 대한 개괄적인 실천로드맵까지를 제시하고자 했다. 촉진방안은 한스타일 공공건축물이 기능할 수 있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표준설계도서 및 기술을 개발하고 보급하여 이를 촉진시키며 각종 교육기회와 포상기회를 만들어 한옥문화를 장려하는 방안이다. 효과가 좋은 프로그램으로 우선 주민생활 지원시설을 선택하였으며, 이 시설들은 주민들이 쉽게 접근하고 찾을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확산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주민참여형 한옥정자는 계획·시공으로부터 유지관리까지 전 과정에서 주민이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한옥의 장점을 체험하고 애향심을 고취할 수 있으며, 한옥 시공실습 교육매뉴얼을 통해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어린이 한스타일 체험시설은 이미 몇몇 곳에서 효용이 검증된 프로그램으로 교육과학기술부 교육환경개선사업과 연계하여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지방행정연수원 교육과정에 한스타일 건축기획 및 관리과정을 추가하여 건축담당 공무원의 한옥에 대한 이해도를 증진시키고 정기적인 한옥포럼 및 포상을 통해 대국민 홍보를 담당하는 것도 필요한 사안이다. 지원방안은 크게 예산지원, 자재지원, 기술지원 부분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먼저 예산지원 부분은 가장 효과가 즉각적으로 나타나는 지점이지만 투입할 수 있는 규모가 한정되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여기서는 특히 2012년 국토해양부의 한옥건축 지원사업의 범위와 지원액을 산정하는 공식을 도출했다. 부족한 예산을 키우기 위한 방법은 연계가능한 프로그램의 복합화를 통해 여러 부처의 예산을 받는 방법과 한 가지 프로그램이지만 여러 공모사업에 지원하는 방법을 찾아볼 수 있다. 산림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국산재 이용 활성화 정책에 발맞추어 한옥 공공건축물에 국산 목재를 저렴하게 지원하는 방법도 고려해 볼만 하다. 특히, 간벌재 등 지금까지 한옥 건축에 많이 사용되지 않았던 목재를 활용하는 새로운 시도가 가능한 점도 주목해볼 수 있다. 이 밖에 민간업체의 기술개발비 지원이나 국토해양부에서 추진중인 한옥기술개발 사업의 성과를 무상으로 지원하여 한옥 공공건축물을 신기술 개발의 테스트베드로 이용하는 방안도 긍정적으로 검토해볼만하다. 품질관리방안은 한옥 공공건축물의 품격을 보장하고 사회적 모범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제시하는 운영방안이 된다. 사업진행과정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전담조직을 설치하고, 설계지침서의 내용을 한옥에 맞게 보완하며, 시공업체 선정기준을 강화하는 등 기본적인 체계정비뿐만 아니라 발주방식을 개선하는 방안도 모색해볼 수 있다. 또 한옥의 특성상 일반건축에 비해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유지보수비 항목이 실질적으로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추후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일을 예방하기 위한 기준도 제시하였다. 법제도 개선부분은 한옥 공공건축물을 건축하는데 있어서 장애가 되는 요소들을 검토하고 이를 개선하며, 장기적으로 한옥 공공건축물을 장려할 수 있는 법안을 검토하는 부분이다. 제도적으로 가장 먼저 해결해야할 사안은 한스타일 건축의 표준품셈 개발이다. 현재 한옥기술개발에서 진행 중인 표준시방서 개발 연구는 국내외 현대건축·목조건축·전통목조건축 조사분석, 신기술을 활용한 관리시스템 적용 연구 등의 문헌조사 분석과 타세부 연구분야와의 연계를 통한 표준시방서를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표준품셈 개발에 박차를 가해야한다. 이밖에 방화지구 내 내화구조 기준이라든지 대규모 한옥건물 신축시 건축선 조항 등이 한옥 건축에 장애가 되고 있는 부분으로 개선방안을 모색했다. 마지막으로 모든 공공건축물을 원칙적으로 목조로 건축하는 것을 법령화한 일본의 사례처럼 장기적인 관점에서 공공건축물에 한옥의 비중이 늘어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는 일도 중요하다. 제6장 한스타일 공공건축물 가이드라인. 보고서의 마지막 부분은 한스타일 공공건축물의 기획단계,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에서 활용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가이드라인의 기본목표는 한옥 특유의 건축적, 공간적 요소의 현대화 방향에 대한 공통의 이해기반 마련, 한스타일 건축의 최소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디자인 지침 마련, 담당 공무원들을 위한 한옥 품질관리 지침 제공으로 요약된다. 한스타일 공공건축 디자인 가이드라인은 한옥공간을 현대적으로 계승한 한스타일 공공건축의 품격과 최소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지침으로서, 신한옥을 주요 적용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한실과 한식경관의 조성에도 참고가 될 수 있도록 했다. 디자인 가이드라인은 한스타일 공공건축 설계 공모를 위한 설계지침으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설계사 선정 이후 기본설계 진행시 자문회의 안건으로도 활용될 수 있도록 마련한 지침이다. 한스타일 공공건축 품질관리 가이드라인은 전통 구법에 준하여 신축되거나 개보수된 한스타일 건축물의 완성도와 품질상태를 검사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마련한 지침으로서, 신한옥을 주요 적용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정통한옥과, 한실, 한식경관의 조성에도 참고가 될 수 있도록 했다. 품질관리 가이드라인은 활용 시기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준공 가이드라인은 한옥 시공중 주요 공정이 끝날 때마다 책임 감리자 혹은 감독관이 시공 완성도를 검사하는 기준으로 활용되며, 관리 가이드라인은 사후 한옥의 품질 상태를 점검하고 필요시 조치를 취하기 위한 기준으로 활용한다. 한스타일 공공건축은 독립적으로 활성화될 수 없다. 현재 한옥 산업이 지닌 모든 문제를 고스란히 지니고 있으며, 이에 더해 공공건축의 사업체계가 갖는 불합리한 단점들도 더해져 있는 상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옥문화의 진흥을 선도하고 바람직한 공공건축물의 모범으로서 제시될 한옥 공공건축물에 대한 사회적 기대가 큰 것은 사실이다.
요약2 This study investigates policy measures for the provision of Han-style public buildings as a way to promote Hanok architecture. Han-style is a brand of Korean tradition that is unique and has potential to be promoted with supports by the government. As Han-style public buildings belong to both Hanok and public buildings, this study starts with clarifying the range of Han-style buildings. Generally, Hanok is defined as wood-framed house made of natural materials and covered with Korean traditional roof. However, as Hanok evolves into diverse types, this definition is too limited to cover the whole trends. In this study, Han-style architecture ranges the whole types of Hanok and modern buildings with unique characteristics of Hanok. On the basis of two factors-'convenience for modern life' and 'closeness to the tradition', Han style architecture is categorized into four types ; 'Cultural property', 'Traditional Hanok', 'New-hanok', 'Hanok-style building', 'Han-sil'. 'Traditional Hanok' means modern and premodern buildings which need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olicies. 'New-Hanok' refers to contemporary Hanok which has evolved into diverse ways. This type is the main subject of promotion policy. 'Hanok-style buildings' are buildings designed with traditional motif. Although this is not the subject of promotion policy, it is worth being referred in terms of its convenience for the implementation. Lastly, 'Han-sil' means Hanok space that is partially implemented in contemporary buildings. In terms of public buildings, this study limits the scope of Han-style public buildings to facilities and space environments which are ordered b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built with public budget, and opened to the public. On the basis of supportive results from a survey on Han-style public buildings by AURIC, the provision of Han-style facility is expected to result in influential promotion of Hanok among the public. Based on the criteria on Han-style public buildings, 60 completed or almost constructed projects are selected from mass media reports since 2000. The anaylsis shows that, 'New-Hanok' is the leading type among current Han-style public buildings, and Jeolla-do is the most active province promoting Hanok public buildings. Based on the statistical survey on current trends of Han-style public buildings, the following 12 projects are selected and analyzed as representative ones in building types, building programs, design strategy, and locality. Hyewha dong community center is an example of remodeled 'Traditional Hanok'. The second remodeling of restoring Hanok space, 'Maru' and 'Ondol-room' is currently under the construction . The seven examples of 'New-hanok' range from traditional wood structure to mixed structure of concrete and wood. Despite the fact that projects such as Sarang-Jae and Gunja village community center are constructed by carpenters in traditional way, it is notable that space organizations of them were designed to meet modern programs. Guro-gu Hanok Library is also a traditional wood structure building. But it is designed as two-stories Hanok that is rare and creating diverse spaces. It is highly evaluated with its modern programs and diverse transformations of traditional spaces such as 'madang' and 'darak'. Namsan Traditional theater in Seoul and Yun Seondo Museum in Haenam are mixed structure buildings. The underground space with sunken garden and atrium receiving skylight suggests a remarkable solution for maintaining aesthetic values of Hanok's human scale, meeting contemporary program needs by providing bright underground spaces which interact with outdoor spaces. F1 bridge is a long span wood truss traversing auto racing tracks, using steel connectors. It is notable that this modern wood structure displays a traditional appearance. Wan-do forest museum adopted a 15th century wood structural style to present a magnificent appearance, however, it failed in making the interior Hanok space suitable for modern museum programs and unique in its traditional style. Compared to the previous two types of Han-style public buildings, 'Hanok-style building' and 'Han-sil' are easy to be constructed and cost less than other two types. Jeolla Nam-do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Hanok-style building'. By finishing steel columns and beams with wood, and designing the elevation ration traditional, this two-stories building looks like an Hanok on castle wall. Two projects of Hansil-Children's reading rooms in Sanbon library and Gwansan library are highly valued as satisfying facilities to the neighborhood. In terms of performing process, the flaws revealed from the analysis on twelve projects above would be a reference and a basis for design and management guideline for Han-style public buildings. Along with the analysis on the 12 projects above, it is necessary to inspect current policies and administrative process of Hanok public building projects. Representative current policies and programs by central government are the followings; Intergrated plan for Han-style promotion as a pan-government task (2007~2011), Confucious Tourism development task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CST) (2000~2010) a task for the vitalization of Hanok space (2000~2010), a policy for the promotion of Hanok by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MLTM) (2009), system improvements for Hanok (2009), a plan to promote Global Korea by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MFAT) (2009). Similar Hanok promotion policies by local governments are Seoul Hanok manifesto (2008) and Happy village task in Jeolla-namdo. The performing process of Han-style public buildings follows the same phases of general public buildings ; planning, designing, construction, management. Among them, planning is the most important phase deciding the character and quality of Hanok. Thus, the planning role of organizations for Hanok architecture such as 'Bukchon Task Force Team', 'Department of Hanok in Seoul' and 'Division of Happy village' in Jeolla-do is very crucial to the future of Han-style public buildings. As programs of Hanok promotion policy, two demonstrative pilot projects for Han-style public buildings were performed by MLTM and MCST. In both projects, each department played limited role in offering, valuing, budgeting, and supporting projects. As practical performer of projects, local governmen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submitted reports on the plan, schedule, management of building quality, operation of budgets. Even though work flow and management plan suggested by local governments are insufficient to warrant high-quality Hanok, Hanok facilities and Hanok spaces implemented in public buildings are evaluated to have created positive impacts on neighborhoods. In addition to systematic performance of Hanok task, another prerequisite for boosting Hanok industry is overcoming obstacles to high-quality Hanok construction. The deficient supply of high-quality timber resources, high labor costs for carpenters, and disorganized work flow of Hanok constructions, especially when the structure is mixed structure of traditional wood structure and modern concrete or steel structure, should be solved first. In this sense, new policy measures supporting Hanok industry is important to promote Han-style public buildings. From the analysis above, this study suggests four kinds of policy measures for promoting Han-style public buildings; stimulus measures, supporting measures, management measure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Stimulus measures consist of four programs. First, Han-style space can be reintroduced in the community facilities to help neighborhood experience Hanok space in their routine life. Secondly, Jeong-ja(Korean pergola) construction program by the neighborhood can be a good way to educate people. By participating in the whole process of planning, desig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the neighborhood can learn Hanok throughly. An educational guideline book for Hanok construction by the local government would be helpful for this program. Thirdly, Han-style programs for children can be connected with projects for improving educational facilitie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MEST). By doing this, Hanok space can be introduced trough diverse facilities for children. Lastly, informational campaign on Hanok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training programs for local government officials who would be in charge of architectural works for the province. Supporting measures are funding and material supplying programs. First, funding budget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measures. But the efforts to raise fund should be made in a diverse way as the fund itself is limited. Secondly, domestic timber supplying system for Hanok can be constructed. By connecting this program with that of 'Korea Forest Service', architectural resources can be supplied in low costs, and new demands for domestic timbers that has not been widely used for Hanok can be created. Thirdly, funding current Hanok R&D by MLTM can be considered as a way for developing Han-style public building technologies. Management measures aim to ensure the dignity of Han-style public building spaces. Providing special organizations for Han-style public buildings, design and management guidelines, and reinforcing the standards of qualifications for the construction companies can be considered as detailed measures. Additionally, high maintenance fee of Hanok needs to be took into account. The last one is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By inspecting impediment factors, possible institutional improvements should be suggested for long-lasting promotion of Han-style public buildings. Standards for fireproof construction and building line fall under this case. Above all, the most urgent issue is the development of Architectural Standard Estimating system of Han-style public buildings. For this, current R&D of Architectural standard specifications for Hanok need to be spurred. In the last part of this study, guidelines for Han-style building design and management are suggested. They have three purposes ; being a basis for understanding Hanok's unique architectural elements and its evolution, providing a design guaranteeing the minimum quality of Han-style architecture, and providing management guidelines for government officials' convenience. Han-style public building Design guideline provides criteria on the uniqueness of Hanok space. This goes for 'New-Hanok' type and partially applied to other types. This can be used not only as a guideline for designers, but also as agendas for advisory committee at planning and design phases. Han-style Management guideline aims to provide management standards for examining and managing building condition of New Hanok or remodeled traditional Hanok. This comprises of two types of time-based guidelines with different uses. One is used to examine the completeness of each construction phase by the construction supervisors or architectural officials. Another is used to inspect the condition of Hanok periodically after the construction by architectural officials. To conclude, Han-style public buildings cannot be promoted independently. It carries all the complex problems of current Hanok industry. Moreover, the defective administrative process of public building tasks are obstacles to new policy measures for Han-style public buildings. However, Han-style public buildings are worthy of being studied because they have potentials to play leading roles in promoting Hanok culture and to suggest desirable alternative models for public buildings.
소장처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자료] 한옥의 설계와 시공기법
김도경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6(통권 61호) (20081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한옥활성화를 위한 신한옥 모델개발 연구(Ⅰ)
이강민 ; 이민경 ; 황준호 - 연구보고서(한옥) : 2012 n.03 (2012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논문] 한옥 설계의 최근 경향 연구
이주옥 ; 한필원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1 n.1(통권 80호) (2012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친환경 건축물의 개념 및 계획 방법
윤종호 - 건축환경설비(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지) : v.1 n.2 (200710)
[특집] 현대건축(現代建築)과 한옥(韓屋)의 결합(結合) 가능성
김용미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53 n.09 (20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