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블록형 집합주택의 주거성능 평가 및 제도개선 방안 연구 / 의정부 녹양지구와 은평뉴타운 2지구의 계획분석 및 거주만족도 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f building performance evaluation and system improvement of perimeter block housing
저자명 하지영 ; 임유경
발행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수록사항 연구보고서(정책), 2011 n.06 (2011-12)
페이지 시작페이지(1) 총페이지(289)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블록형 집합주택 ; 주거성능 평가 ; 녹양지구 ; 은평뉴타운 ; Perimeter Block housing ; Building performance evaluation ; Nokyang District ; Eunpyeong New Town
요약1 새로운 도시주택 대안으로서의 블록형 집합주택의 가능성. 최근 아파트 일변도의 획일적인 주거환경, 대규모 단지식 개발이 야기하는 도시 맥락의 단절, 폐쇄적인 커뮤니티 형성 등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면서 새로운 주거유형을 모색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증가하고 있다. 블록형 집합주택은 도시를 구성하는 기본적 공간구조인 도시블록에 순응하는 형태로 계획되어 도시 가로와 밀접한 관계를 가질 수 있고, 내부적으로는 위요된 중정을 중심으로 커뮤니티가 형성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단지화되고 있는 도시주거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서의 가능성을 가진다. 의정부 녹양 지구와 은평뉴타운에서 시도된 블록형 집합주택은 새로운 주거유형 모색을 위한 실험적 사례라고 볼 수 있다. 블록형 집합주택은 전통적으로 블록 위주로 도시조직이 발달한 유럽을 중심으로 진화해 왔다. 과연 우리나라에서도 블록형 집합주택은 새로운 주거유형으로서의 가능성을 갖고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실제 사례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해 블록형 집합주택이 도시맥락 존중, 커뮤니티 회복, 주거유형 다양화 등의 측면에서 가지는 의미와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블록형 집합주택의 개념과 필요성. 2장에서는 문헌 검토를 통해 블록형 집합주택이 가지는 본질적인 의미와 가치를 정리하였으며, 국내 도입 배경과 보급 현황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블록형 집합주택’은 ‘가로로 둘러싸인 주거블록에 단독 혹은 복수의 주거동이 일정한 높이로 가로에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블록 내부에 중정을 포함하는 도시집합주택’을 의미한다. 블록형 집합주택은 도시환경측면, 공동생활 측면, 거주만족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의미와 가치를 갖는다. 첫째, 블록형 집합주택은 기존의 도시조직을 유지하면서 입지하므로 도시환경 측면에서 도시공간과 도시조직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 결과 주변지역과 조화를 이루면서 일체감 있는 경관을 형성할 수 있다. 둘째, 블록형 집합주택은 가로에 연접하여 건축되므로 주거의 입면은 도시 공공공간을 정의하는 공공적 성격의 가로면을 이루며, 내부로는 위요된 중정 공간이 형성되어 주민 공동의 생활공간이 된다. 공동생활의 측면에서 블록형 집합주택은 단지 내·외의 커뮤니티를 활성화하는 데에 기여한다. 마지막으로 거주환경 측면에서 블록형 집합주택은 주거유형 선택의 다양성을 부여할 뿐 아니라, 공적 커뮤니티와 사적 프라이버시가 균형을 이루는 삶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구성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 공동주택 계획의 역사를 되짚어 볼 때, 폐쇄적이고 획일적인 단지화에 대한 대안으로 도시조직과의 연계, 가로의 생활공간화, 공동생활공간 등의 계획 개념이 지속적으로 탐구되어 왔다. 블록형 집합주택은 세 가지 계획 개념을 동시에 아우르는 집합주택 형식으로 볼 수 있으나, 이제까지 우리 사회에서 그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심도 있는 평가와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블록형 집합주택 사례에 대한 주거성능평가를 통해 주거환경의 변화를 모색하는 현 시점에 있어서 블록형 집합주택이 가지는 가능성과 한계, 향후 발전방향과 제도개선 방안을 검토하였다. 블록형 집합주택의 주거성능 평가와 제도분석의 틀. 3장에서는 2장에서 정리한 블록형 집합주택의 의미와 가치에 기초하여 주거성능 평가와 제도분석을 위한 틀을 설정하였다. 블록형 집합주택의 주거성능 평가는 크게 계획현황 분석과 거주만족도 조사로 구성된다. 블록형 집합주택의 주거성능 평가의 지표는 도시조직 및 공간의 연속성, 도시경관의 일체성, 도시공동체 삶의 회복 및 조성, 주거선택의 다양성 확보, 거주의 쾌적성 확보로 설정하였다. 계획현황 분석과 거주만족도 조사에서는 이들 지표를 구체화하여 세부 지표를 설정하여 적용하였다. 계획현황 분석은 도시·단지적 측면, 건축적 측면, 공동생활 측면에서 분석하고, 거주만족도 조사에서는 주거단지, 주거동, 중정공간, 단위세대에서의 만족도를 파악하였다. 주거성능 평가를 위해 설정한 지표는 블록형 집합주택 관련 제도분석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였는데, 각 지표와 관련하여 계획상 문제점을 도출하고 문제를 유발하는 제도 요인을 분석하였다. 블록형 집합주택 주거성능 평가. 블록형 집합주택을 시도한 최초의 시도인 녹양지구에 대한 계획현황 분석 결과, 블록들이 도시 구조의 일부로 작동하기 보다는 전체 단지 내부에 계획되어 블록형 집합주택의 본질적 특성을 제한적으로 구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녹양지구의 사례대상 블록은 완충녹지에 의해 도시계획도로와 분리되어 있으며, 단지 내부 생활가로에 면한 블록 형태를 취한다. 따라서 이 생활가로를 따라 주거동이 연속되었으며, 생활가로변 주거동 하부에 근린생활시설과 부대복리시설 등이 설치되었다. 녹양지구 거주자들은 주거단지의 도시적·건축적 양상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이며, 특히 공동생활 측면에서 중정 공간이 기여하는 정도를 높게 평가하였다. 또한 주민들은 위요형 단지배치, 가로에 연속적인 주거동 경관 등에 대해 주민들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녹양지구 거주만족도 조사를 통해 생활가로와 주거동을 연계하여 계획함으로써 도시의 활력 제고의 효과가 있으며, 생활가로와 중정공간이 커뮤니티 형성에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녹양지구의 블록형 집합주택이 단지의 일부로 계획된 것에 비해, 은평뉴타운의 블록형 집합주택은 보다 도시적 차원에서 치밀하게 계획되어 도시조직의 일부를 이룬다고 볼 수 있다. 은평 뉴타운의 생활가로는 공적 공간인 도시계획도로이며, 이 도로에 면해 블록형 집합주택들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조화로운 가로 경관을 이룬다. 은평뉴타운 거주자들은 단지 배치 및 가로경관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이며, 특히 가로환경의 쾌적함과 이용의 편리성 측면을 높게 평가했다. 그러나 녹양지구 거주자들이 중정공간과 생활가로를 커뮤니티 형성의 매개 공간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에 비해 은평뉴타운 거주자들은 커뮤니티 형성에의 기여 정도를 낮게 평가하였다. 또한 차량 소음이나 프라이버시 침해문제로 인해 생활가로에 면한 세대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거주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은평뉴타운의 거주만족도 조사 결과는 블록형 집합주택이 가로의 활력을 증진시키고 경관을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에 대해서는 주민들이 대부분 만족하고 있으나 소음이나 프라이버시 침해 등을 문제 요인으로 지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블록형 집합주택이 보다 일반화되고 확산되기 위해서는 거주환경 측면에서의 문제 요인들에 대한 해결이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블록형 집합주택 적용을 위한 현행 법제도 개선방안. 6장에서는 새로운 주거유형으로서의 블록형 집합주택의 가능성과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도시가로 및 블록과 관계를 갖는 집합주택을 실제로 적용하는 데에 제약이 되는 법제도 요인을 분석하여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행 법제도의 문제 및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규모 단지중심 개발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현행 법제도 하에서는 소규모 블록단위의 개발에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블록 특성을 고려한 3차원적 토지이용의 토대를 마련함과 동시에 소규모 블록단위 개발이 용이하도록 제도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현행 건축법 및 지구단위계획은 일률적인 주거동 배치를 유도하므로 향후 블록 간의 연계성을 높이고 주동배치를 다양화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건축법상의 인동거리기준 등은 고층과 중·저층이 어우러진 연속적인 클러스터 배치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므로 인동거리 기준을 보다 탄력적이고 유연하게 적용할 것이 요구되며, 특히 일부 지자체 조례 및 설계지침 상의 주동 길이와 방향에 대한 규제에 대한 재고가 요구된다. 넷째, 완충녹지 규정과 가로로부터의 이격거리기준 등은 주거가 가로와 밀접하게 연계되는 데에 걸림돌이 되므로, 도로와의 직접 대응을 방해하는 건축한계선, 높이제한, 완충녹지 등을 보다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일부 관련 규정 및 지침에서는 부대복리시설의 위치와 면적을 과도하게 제한하여 주거와 부대복리시설을 복합적으로 계획하는 데에 제약이 되므로 이에 대한 유연한 적용이 필요하다. 여섯째,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건폐율 규정은 중정 내부의 저층부 공간구성과 시설 설치 등을 제한하므로, 내부 중정에 대한 입체적 공간계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건폐율 규정을 완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단위세대 베이수 제한, 발코니 규정 등은 단위 세대의 평면 구성을 획일화하여 다양한 주호 평면이 조합되어야 하는 블록형 집합주택 계획을 원천적으로 봉쇄하는 요인이 되므로, 다양한 평면계획을 위해서는 제도 개선과 관행의 수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현행 제도 분석 결과, 블록형 집합주택을 실현하는 데에 걸림돌이 되는 것은 현행 건축법과 주택법 뿐 아니라, 지자체 조례와 지침, 그리고 사업의 효율성만을 추구하는 사회적 관행이라고 판단된다. 블록형 집합주택의 보급 확산을 위해서는 주거지의 단지화를 조장하는 규제 사항들을 개선하고 다양한 인센티브 방안을 마련할 것이 요구된다. 연구 성과와 향후 과제. 본 연구에서는 블록형 집합주택의 실현 사례인 녹양지구와 은평뉴타운에 대한 주거성능평가를 통해 블록형 집합주택이 가진 가능성과 한계를 파악하였다. 계획현황 분석과 거주만족도 조사 결과 블록형 집합주택은 도시환경적 측면, 공동생활 측면에서 기존의 대규모 단지식 개발의 폐쇄성과 획일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거주쾌적성 측면에서 소음과 프라이버시 등의 문제는 단위 세대가 필연적으로 가로 또는 중정에 면하게 되는 블록형 집합주택의 한계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블록형 집합주택이 가지는 여러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사회·경제적 여건상 대규모 단지식 개발이 한계를 드러내고, 기성 주거지의 재생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는 현 시점에서 블록형 집합주택은 도시와 상생하는 새로운 주거유형으로써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블록형 집합주택의 보급확산을 위한 향후 과제는 아래와 같다. 계획적인 측면에서는 도시 맥락을 존중하는 한도 내에서 블록 구성 방식, 집합의 논리, 단위 세대의 공간구성 등에 대한 다양한 형태적 실험이 필요할 것이다. 정책적인 측면에서는 획일적인 공급 위주가 아니라 입체적인 공간계획이 가능한 소규모 단위의 개발을 활성화할 것이 요구된다. 제도적인 측면에서는 주거지의 단지화와 유형의 획일화를 조장하는 규제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며, 전문가들이 적극적으로 새로운 주거유형을 탐구하고 모색해 나가도록 하는 다양한 인센티브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블록형 집합주택은 삶의 터전인 주거 공간임과 동시에 도시의 부분을 이룬다. 따라서 블록형 집합주택에 대한 향후 논의는 도시계획 및 도시·건축설계의 기본 개념과 방식을 정립하는 과정의 일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협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요약2 Perimeter block housing as the alternative of new urban housing. Recently more research is being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the solution for the new housing type in response to the increasing criticism of uniform residential environment made up by apartment houses, separated urban context caused by large scale block development, and closed community formation. Perimeter block housing could be the solution to change the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 in complex in that it can be closely related to the streets due to its adapted form to the urban block as the basic spatial structure, and internally it can create community around the surrounded courtyard. Perimeter block housings in Uijeongbu Nokyang district and Eunpyeong New Town can be regarded as the experimental example looking for the new housing types. Traditionally, perimeter block housing has been developed in Europe where blocks have formed the urban tissues. Can the perimeter block housing become the candidate for new housing types in Korea? In this study, the meaning and feasibility of perimeter block housing is reviewed in aspects of consideration of urban context, recovery of community, and diversity of housing types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of cases. Concept and needs of perimeter block housing. In chapter 2, a literature review of the essential meaning and value of perimeter block housing is carried out, and the background and its status in Korea are reviewed. ‘Perimeter block housing’ is defined as ‘a single or plural urban collective housings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street and containing inner courtyard within a residential block surrounded by streets’. Perimeter block housing can be evaluated in terms of urban environment, community life, and resident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as follows. First, perimeter block housing has merits in that it can ensure the continuity of urban space and urban tissue in urban environmental aspect because it is located conserving the existing urban tissue. As a result, integrated landscape can be formed in accordance with its neighbors. Second, the elevation of residential building forms the public street facade defining the urban public space, and the surrounded inner courtyard creating space for public life of the residents, as perimeter block housings are built along the streets. I the respect of community life, perimeter block housing contributes to facilitating the community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block. Finally, in terms of resident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perimeter block housing is the spatial configuration way enabling not only diversity of choice in housing types, but also balanced life between public community and personal privacy. Through the history of collective housings in Korea, research about planning concepts such as linkage with urban tissue, streets for daily life, and community space has been conducted in order to find the alternative for the closed and monolithic district. Perimeter block housing can be regarded as the appropriate candidate including three concepts, but its potential and limits are to be evaluated and analyzed in depth. Therefore, in this study, potential, limits, future development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schemes of perimeter block housing are reviewed through the building performance evaluation of case study at this stage of searching for the change of residential environment. Framework for building performance evaluation and institutional analysis of perimeter block housing. In chapter 3, the Framework for building performance evaluation and institutional analysis of perimeter block housing is set based on the meaning and value of perimeter block housing reviewed in chapter 2. Building performance of perimeter block housing is conducted in two stages, analysis of planning and survey of resident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Evaluation indices for building performance of perimeter block housing are as follows; continuity of urban tissue and space, integrity of landscape, recovery and creation of community, diversity of choice in housing types, and comfort of dwelling. These indices are more specified and applied in analysis of planning and of survey of resident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Current planning is analyzed in terms of city-complex level, architecture, and community, and resident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is surveyed in terms of satisfaction of residential block, apartment building, courtyard space, and individual unit. The same indices for building performance evaluation are applied to the analysis of regulations for the perimeter block housing and analyze problems in planning and system in reference to those indices. Building performance evaluation of perimeter block hous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Nokyang district planning, the first case of perimeter block housing, it is confirmed that residential block partially realizes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perimeter block housing, confined inside the block rather than functioning as the part of urban structure. Perimeter block housings in Nokyang district function as block housing only on the side of the internal neighborhood street, separated from city planning roads by the buffer green. That is, apartment buildings are planned along the internal neighborhood street with neighborhood facilities and service facilities on the lower part of apartment buildings. Local residents in Nokyang district seem highly pleased with the urban and architectural condition and especially set a high value on courtyard space’s role in terms of community life. That is, people seem highly satisfied with enclosed district plan, and continuous building facade along the street. Through the survey of resident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it is confirmed that planning connecting neighborhood street and apartment building enhances the vitality of the city, and neighborhood street and courtyard space contributes to creating community. While perimeter block housings in Nokyang district are planned as part of the complex, those in Eunpyeong New Town are tightly planned at the urban scale and seem to become the part of urban tissue. Neighborhood streets in Eunpyeong New Town are city planning roads as public space and they forms harmonious street facade by continuous arrangement of perimeter block housings along the streets. Thus, though the sense of district seems to dissolve here to some degree, spatial configuration method except central neighborhood street still follows an existing practice. Local residents in Eunpyeong New Town district 2 seem highly pleased with building arrangement and streetscape, and especially set a high value on comfort of street environment and convenience in its use. While residents in Nokyang district regard courtyard space and neighborhood street as the intermediate space for the community formation, residents in Eunpyeong New Town think little of its contribution. In addition, due to vehicle noise and invasion of privacy issues,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of residents living along the neighborhood streets is low. According to the survey of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of Uijeongbu Nokyang District and Eunpyeong New Town District 2, while most residents appreciate the role of perimeter block housing in enhancing the vitality of streets and improving streetscape, they criticize noise and invasion of privacy in common. Thus, though the building arrangement and introduction of new housing types applying the concept of ‘street’ and ‘block’ is verified, the problems in residential environment must be solved in order to make perimeter block housings popular. Improvement scheme of the current legal system for the application of perimeter block housing. In chapter 6, though the analysis of current legal system, improvement scheme is suggested in order to remove the restrictions of applying perimeter block housings related to the streets and block despite its potential. The problem and improvement scheme of current legal system is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of small block is restricted under the current legal system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large complex. Therefore, the institution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prepare the base for three dimensional land us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ct and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small block. Second, as the current building codes and District Unit planning are chief factors in uniform building arrangement, it is necessary to work on countermeasures to connect blocks closely and diversify building arrangement. Third, as the building distance in building codes is main cause of the failure in continuous cluster arrangement with the mixture of high rise buildings and low-medium ones, it is required to apply the rules controlling building distance more flexibly and especially to reconsider the restrictions on the building length and orientation in some local governments’ ordinances and design guidelines. Fourth, as the regulation about buffer green and separating distance from the street prevents apartment building and street from being closely connected, some regulations disturbing the direct relation, such as building limit line, height limit and buffer green, should be improved for more flexible application. Fifth, some building codes and guidelines are required to be flexibly applied because limited location and excessive area for service facilities disturbs integrated development of housings and service facilities. Sixth, as building coverage regulation in National Land Planning and Use Law restricts the space program and facilities layout in lower part of around courtyard area, regulations should be relaxed for three-dimensional space planning in courtyard area. Finally, current regulations and practices are required to be revised for various plan designs, as regulations such as the limits on the number of bays in each unit, guidelines for balcony cause the standardized plan design in perimeter block housing planning which requires the combination of various unit plans. Analysis of current legal system in this research reveals that obstacles against the implementation of perimeter block housing are not only the current building codes and housing act, but also local government ordinance, guidelines, and current practice pursuing only business efficiency. In order to encourage perimeter block housing to spread, it is required to revise the restrictions causing the residential complex and to arrange various incentives. Research results and tasks. In this study,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perimeter block housing are identified through the building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realized case in Nokyang district and Eunpyeong New Town. Through analysis of planning and survey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it is confirmed that perimeter block housing can be the solution for the problem of closed structure and monolithic form in current development of large complex in terms of urban environment and community life. Problems in residential comfort such as noise and invasion of privacy are the limits of perimeter block housing inevitably facing the streets or courtyard. Despite of some problems, perimeter block housing is considered as the potential housing types at this stage of facing limits of large complex development due to the socio-economic situation and growing social needs for the renewal of existing residential area. Future tasks to spread perimeter block housing are as follows. In terms of planning, various types on block layout, logic of configuration, spatial composition of unit plan should be tested. In terms of policy, small scale development should be facilitated for three-dimensional space planning rather than focusing on uniform supply. In terms of institution, some restrictions encouraging residential complex and monolithic types should be revised, and various incentives should be arranged in order to enable professionals to actively carry out research for new housing types. Perimeter block housing is a part of city as well as living space for livelihood. More discuss about perimeter block housing should be made as the part of the process for setting up the basic concept and methodology of urban planning and architectural design. For this purpose, the cooperation of public and private sectors is indispensable.
소장처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특집] 친환경 건축물의 개념 및 계획 방법
윤종호 - 건축환경설비(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지) : v.1 n.2 (200710)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2 (200902)
[논문] 역사적 건축물 보존에서 지구단위계획의 역할과 과제
이범훈(Rhee, Bum-Hun) ; 김기호(Kim, Ki-Ho) - 국토계획 : Vol.50 No.7(통권 217호) (201511)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저탄소 시대의 친환경건축물 기술/사례
조욱희 - (사)한국그린빌딩협의회 창립 10주년 기념대회 : (20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