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마감재를 통한 공간감성 표현에 관한 연구 / 감성어휘 평가와 요인분석을 통해 / A Study on Expression of Space Emotion by Finishing Materials - According to Evaluation of Emotional Vocabulary and Factor Analysis -
저자명 서지은 ; 박의정
발행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21 n.1(통권 90호) (2012-02)
페이지 시작페이지(177) 총페이지(9)
ISSN 12297992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상업공간 ; 공간감성 ; 마감재 ; 표현//Commercial space ; Space emotion ; Finishing material ; Expression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as the basic data for design method in commercial space. So, we analyzed whether any emotion was induced by finishing materials in the commercial space. And we was to suggest expression methods of finish materials to induce in the emotional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we could know that the emotional design is needed to enhance satisfaction of consumers. The role of finishing material is very important in emotional expression in the commercial space. Second, we extracted the adjectives vocabulary(14 pairs) to evaluate the space emotion. we could educe the four kinds of space emotion by Factor Analysis. In addition, we could arrange the emotional words to represent each space type(Decoration : 5 pairs, Expand : 4 pairs, Limitation : 3 pairs, Hierarchy : 2 pairs). Third, to use finishing materials and wall is very effective to induce the emotion in the emotional space. To use the color is good among the elements of finishing materials. Fourth, We could find that the center of the types of emotional space was induced with the boundary and the decoration. If we use contrasting colors and accent colors in the commercial space, we can induce the center and the boundary together. And if we use colorful or unusual patterns, we can induce the center and the decoration together. Fifth, To induce the expand, we should finish with one color in space. And To induce the center, we should finish with one type of the color or pattern and then we should partially use the contrast color and special pattern. the case of boundary, it is good method to part emphasize by color, texture and materials. And we can induce the decoration with materials and patterns.
소장처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마감재와 조명의 관계에 의한 공간감성 변화 분석 연구
서지은(Seo, Ji-Eun) ; 이곡숙(LeeGok-Soo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9 n.1 (201301)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공간이미지와 감성어휘에 따른 마감재 표현방법 비교 연구
서지은 ; 이곡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1 n.3(통권 92호) (201206)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상업공간에서 마감재 표현에 의한 시각적촉감 연구
이곡숙(Lee Gok-Sook) ; 서지은(Seo Ji-E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7 n.9 (201109)
미디어 파사드 영상 자극에 대한 뇌파 반응 특성
김종하(Kim, Jong-Ha) ; 김상희(Kim, Sang-Hee) ; 이정호(Lee, Jeong-Ho) ; 김주연(Kim, Ju-Ye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30 n.9 (201409)
치유적 환경을 위한 공간디자인 연구경향에 관한 연구
박수경 ; 문정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0 n.4(통권 87호) (20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