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안동문화권내 일체형 뜰집의 평면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lanar Characteristics of the Square-shaped Dduel-Jip in Andong Cultural Areas
저자명 김미나(Kim Mi-Na) ; 김경희(Kim, Kyung-Hee) ; 유재우(Yoo Jae-Woo)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8 n.02 (2012-02)
페이지 시작페이지(43) 총페이지(10)
ISSN 12269093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역사
주제어 안동문화권 ; 뜰집 ; 서울·중부형 뜰집 ; 영남형 뜰집 ; 날개형 뜰집//Andong Cultural Areas ; Seoul·Joongbu Typed Ddeul-Jip ; Youngnam Typed Ddeul-Jip ; A Winged Type Ddeul-Jip
요약2 This study has an importance on the extract of characteristics of the Ddeul-Jip in Andong cultural areas by comparing each type. Duel-Jip is a folk house type which is for the upper class, Yangban. There are two types in Ddeul-Jip. One is a Seoul? Joongbu type and the other is a Youngnam type. That is about 77.2% and this is 22.8%, because it is based on the fact that in Andong areas, there were many Yangban class who had moved from Seoul. In the Seoul?Joongbu typ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meet the width of Anmadang with that of Andaechung. And 3×3 type Anmadang is more than any other type. On the other hand, in the Youngnam type, Anbang and Andaechung meet Anmadang. So, 4×3 type Anmadang is common. At the view of appearance of Ddeul-Jip, there are two types, a basic type and a wing type. The wing type is divided into two wings type, one wing type and an independent wing type. In the Seoul?Joongbu type, the wing type is much more than the basic type, on the other hand, in the Youngnam type, the basic type is far more than the wing type.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안동문화권 ㅁ자형 뜰집의 시대적 평면특성
신치후(Shin Chi-Hoo) ; 김성우(Kim Sung-W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11 (201011)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논문] 백제계 및 신라계 가구식 기단과 계단의 시기별 변화특성
남창근 ; 김태영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1 n.1(통권 80호) (201202)
傳統 重層木造建築物의 構造解析에 관한 硏究
남병선(Nam Byung-Sun) ; 신웅주(Shin Woong-Ju) ; 박강철(Park Kang-Chul)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5 (201005)
조선후기 선자연 치목기법에 관한 연구
김왕직(Kim Wang-J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5 (201005)
전통 목구조 팔작지붕 추녀부재의 구조적 보강 특성에 관한 연구
조철희(Cho Cheol-Hee) ; 신용석(Shin Yong-Seok) ; 조윤희(Cho Youn-Hee) ; 노성열(No Seong-Ryeol) ; 김정섭(Kim Jeong-Sup)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26 n.03 (201003)
[논문] 안동문화권 ㅁ자형 뜰집 평면구성의 지역적 특성
신치후 ; 김성우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5(통권 72호) (201010)
조선시대 주택 꺾음부의 유형에 관한 연구
김정현(Kim Jeong-Hyun) ; 김하나(Kim Ha-Na) ; 전봉희(Jeon Bong-He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6 (200906)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朝鮮時代 重層木造建築의 轉角部 架構法의 형식과 구조적 특성
이은수(Lee Eun-Soo) ; 홍병화(Hong Byung-Hwa) ; 김성우(Kim Sung-W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12 (20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