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역세권 유형별 특성에 의한 서울시 도시개발관리 방향 연구 / 서울시 지하철 역세권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n the Urban Management Pollcy by the Types of Subway Station Areas: the Case of Seoul, Korea
저자명 김옥연 ; 이주형
발행사 토지주택연구원
수록사항 LHI Journal, v.2 n.4 (2011-10)
페이지 시작페이지(539) 총페이지(14)
ISSN 2093-8829
주제분류 시공(적산) / 계획및설계 / 구조
주제어 역세권 도시관리 방향 ; 역세권 유형화 ; 주택개발잠재력 평가 ; Subway Station Areas Urban Management ; Categorization of Subway Station Areas ; Indicators of Potential Housing Development measuremenet
요약1 역세권 주택공급시 현재 시행되고 있는 뉴타운 사업과 같이 동시다발적으로 구역지정되어 발생되는 도시문제를 최소화하고자, 서울시 도시내부에 분포하는 250개 역세권을 유형화하여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고, 유형별로 개발시기를 비롯한 도시개발관리 기준을 수립하여 차별적 도시관리 방안을 제안하였다. 역세권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객관적 지표로서 선행연구(AHP분석)에서 제시된 주택개발잠재력 지표를 활용하여 서울시 250개 역세권에 대하여 주택개발잠재력을 평가하였으며, 도출된 주택개발잠재력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역세권을 5개의 그룹으로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유형화 결과, 서울시 역세권은 주택개발압력과 주택개발수용력이 모두 저(低)로 나타나는 군집1과, 주택개발압력 중저(中低)·주태개발수용력 중저(中低)인 군집2, 주택개발압력 중(中)·주택개발수용력 고(高)인 군집3, 주택개발압력 고(高)·주택개발수용력 중고(中高)인 군집4, 주택개발압력 중고(中高)·주택개발수용력 저(低)인 군집5로 분류되었다. 이를 다시 역세권 특성별로 군집1은 외곽개발유보지역, 군집2는 내부개발유보지역, 군집3은 개발관리지역, 군집4는 개발촉진지역, 군집5는 개발억제지역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지역에 대하여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요약2 This research thesis measured potential housing development of 250 'subway station areas' around Seoul Metropolitain Region, with the use of added weighting and data of each indicator based on AHP.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ranking of the development of 'subway station areas' on the basis of measurement results of potential housing development along with the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subway station areas' in daily life zone. Cluster analysis-oriented analytic measurement results suggested that 'subway station areas' in Seoul Metropolitain Region can be grouped into five clusters: Cluster 1 and Cluster 2 were populated with 'reservation areas' for outside and inside urban development, respectively scoring low all in housing development pressure and capacity. Cluster 3 was populated with 'development maintenance areas', scoring low in housing development pressure but high all in housing development capacity. Cluster 4 was populated with 'development facilitation areas', scored high all in housing development pressure and capacity. Cluster 5 was populated with 'development control areas' scoring high in housing development pressure but low in housing development capacity.
소장처 토지주택연구원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역세권개발 실행력 제고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연구
이선우 ; 오종열 ; 이제선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3 n.6(통권 제54호) (201212)
[특집] 서울시 역세권개발 역사, 현황 그리고 전망
최창규 ; 구자훈 ; 이승일 ; 김태현 ; 성현곤 - 도시정보(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보지) : 통권 제367호 (201210)
역세권의 적정 공간범위 설정 방법론을 통한 지하철 이용수요와 역세권의 도시공간구조간의 연관성 분석
이연수 ; 손동욱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3 n.4(통권 제52호) (201208)
[논문] 토지이용 특성별 서울시 역세권의 범위설정에 관한 연구
김수연 ; 엄선용 ; 이명훈 - 국토계획 : v.48 n.1(통권 196호) (201302)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2 (200902)
[특집] 입체복합시설의 해외사례와 특성
최윤경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52 n.7 (200807)
[특집] 인구감소시대의 도시정책과제
권일 ; 김정연 ; 마상열 ; 송미령 ; 오용준 ; 이만형 ; 장경석 - 도시정보(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보지) : 통권 제346호 (201101)
역세권 고밀복합개발을 위한 관련 제도 비교 분석
김현진 ; 구자훈 -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일반인세션 (200904)
도심재생 측면에서 본 고속철도 역세권 개발(계획) 분석
이응현(Lee Eung-Hyun) ; 오덕성(Oh Deog-Se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6 (200806)
외국[고속]철도역세권 개발사례의 비교분석을 통한 계획적 의미에 관한 연구
김도년(Kim Do-Nyun) ; 양우현(Yang Yoo-Hyun) ; 정동섭(Jeong Dong-Seop)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1 n.8 (20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