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고령자 자립정도에 따른 헬스케어서비스 제공을 위한 공동주택 계획요소 분석연구 / Analysis of Apartment Design Elements for Applying the Health Car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dependence of Elderly People
저자명 이지은 ; 윤영호 ; 박정아 ; 권윤지
발행사 토지주택연구원
수록사항 LHI Journal, v.3 n.2 (2012-04)
페이지 시작페이지(147) 총페이지(11)
ISSN 2093-8829
주제분류 시공(적산) / 계획및설계 / 구조
주제어 고령자 자립정도 ; 헬스케어 서비스 ; 주동계획 ; 계획요소 ; The Degree of Independence of Elderly People ; Health Care Service ; Apartment Housing ; Design Elements
요약1 정부는 임대주택에서 고령자 주택의 의무 설치비율에 대한 기준을 2012년 2월에 마련하였고, 이에 따라 고령자 주호 수는 늘어날 전망이다. 그리고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하면 효율적인 의료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는 주장이 다양한 연구에서 언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고령자의 자립정도에 따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고령자 주택의 계획요소를 도출하고 현재 기축된 4곳의 사례 적용평가를 통해 실태 파악과 추후의 전략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고령자 주택계획에서 주호 내 어메니티를 지원하는 부분이 중요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실제 주택에서 반영 비율은 낮았고 공용공간의 위험 관리계획이 가장 높은 비율로 적용되어 있었다. 실제 건강측정이나 외부와의 커뮤니티 돕는 것과 같은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는 부분은 아직 적용되지 않았지만 에이징인 플레이스의 개념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헬스케어서비스를 다양한 측면에서 고려하여 계획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요약2 The Korean government required the mandatory ratio of public housing including the housing unit for elderly in February 2012 and the number of them is expected to increase accordingly. To prepare for an aged society, these enabling ubiquitous technology will be able to support efficient health care services, which was mentioned in various studie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design elements for an apartment for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dependence of elderly people and to grasp the current situation and work out tactics by the evaluation of four actual cases. In housing unit in the elderly housing project, design elements supporting amenity improvement was rated to the highest importance, however, in reality, was reflected at lower rate while the risk management plan for public space was applied at the highest rate. Design elements required by new technology such as health monitoring and community management with outside world are still not reflected, however, in order to realize the concept of 'aging in place', health care services in various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in housing planning.
소장처 토지주택연구원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주거공간의 헬스케어 서비스 도입을 위한 공간계획방향 연구
박정아(Park, Jung-Ah) ; 권윤지(Kwon, Yoon-Ji) ; 이지은(Lee, Ji-Eun) ; 윤영호(Yoon, Young-H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9 n.3 (201303)
일본 고령자용 주거시설의 유형과 건축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박진숙(Park Jin-Sook) ; 이문섭(Lee Moon-Sup)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10 (200910)
헬스케어 스마트홈 시스템 선호도에 관한 연구
김대진(Kim Dae-Jin) ; 신혜경(Shin Hye-Kyeong) ; 류호식(Ryu Ho-S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8 n.05 (201205)
노인주거계획을 위한 노인가구의 고령기단계에 관한 연구
조성희 ; 전은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20 n.5 (200910)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노인복지주택의 종합적 공간 기능별 선호시설 분석
최형구(Choi, Hyung-ku) ; 박진숙(Park, Jin-Soo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31 n.01 (201501)
고령자 유형에 따른 헬스케어 스마트홈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권윤지 ; 기호영 ; 윤영호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31 n.2(계획계) (201110)
스마트 홈에서의 홈 헬스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인프라 요소기술 고찰
나지영 ; 윤영호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31 n.1(계획계) (201104)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노인주거단지의 외부공간 디자인 요소에 대한 연구
김민규(Kim Min-Gyu)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10 (20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