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농어촌 경관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정책방향 연구 / The Policy Directions for Rural Landscape Management System Improvement
저자명 차주영 ; 이상민
발행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수록사항 연구보고서(정책), 2012 n.03 (2012-09)
페이지 시작페이지(1) 총페이지(221)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농어촌 경관 ; 농어촌 경관관리 ; 농어촌 경관관리체계 ; rural landscape ; rural landscape management ; rural landscape management system
요약1 최근 농어촌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농어촌 경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각 부처별로 농어촌 경관 향상을 위한 각종 정책과 사업추진방안이 마련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토부에서는 「국토경관종합개선방안」의 일환으로 비도시 지역의 난개발을 방지하기 위한 시책과 더불어 어촌·어항지역의 경관관리를 위한 「해안경관 관리 가이드라인」 등을 제시하였다. 농림부에서는 2006년「농촌경관개선 종합대책」에 이어 2011년「농촌다움 제고를 위한 『五感 경관』 추진대책」을 제시하는 등 농어촌 경관관리 정책을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현행 농어촌의 경관관리는 농어민 보다는 관광객을 위주로 한 단위사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으로, 계획수립-사업추진-유지관리를 모두 포함하는 종합적인 경관관리체계가 마련되어 있지 못한 상황이다. 아름다운 국토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면적상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농어촌지역에 대해 국토관리 차원에서 보다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경관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농어촌 경관관리체계를 조사·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사업단위의 농어촌 경관관리 제도의 한계를 벗어나 농어촌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종합적인 경관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본방향과 실행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총 4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농어촌의 공간적 범위와 연구의 내용적 범위를 규정하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제2장에서는 농어촌지역의 경관 특성을 재정립하고, 국내 농어촌지역의 경관 현황을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농어촌의 경관 개념을 검토하고, 농어촌 경관 유형과 경관 요소를 제시하고, 농어촌지역의 토지이용현황과 경관 관련 사업추진현황을 조사하였으며, 현장답사를 통해서 농어촌 경관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나타나는 농어촌 경관의 문제를 검토하여 농어촌 경관의 전반적인 문제점, 농어촌 관련 법제도 및 계획의 문제점, 농어촌 관련 사업의 문제점 등을 도출하였다. 제3장에서는 농어촌 경관관리 실태를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농어촌 경관 관련 정책동향, 농어촌 경관 관련 법제도, 농어촌 경관 관련 계획 및 사업, 그리고 중앙부처 및 공기업, 지방자치단체의 경관 관련 행정체계를 조사하였다. 제4장은 제2장과 제3장을 토대로 농어촌 경관의 현황과 문제점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농어촌 경관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기본방향과 실행전략을 제시하였다. 농어촌지역은 지형, 주요 생산자원 등에 따라 다양한 농어촌 경관이 형성되며 개발 수요 등 주변지역의 영향에 따라 경관 문제점이 상이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농어촌 경관의 보전과 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부족한 실정으로, 지역의 고유한 특성이 반영된 다양한 농어촌 경관상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상황이다. 농어촌 경관과 관련된 문제점으로는 경관 향유의 주체에 대한 고려 미흡, 경관관리 대상으로서 농어촌지역을 구분하는 경계의 모호함, 농어촌지역의 경관비전, 공간관리계획 등이 포함된 종합적인 경관계획의 부재, 경관을 관리하는 수단으로서 규제, 유도, 지원수단 간 연계성 부족, 경관관리 실행체계로서 공무원, 전문가, 주민의 역할 분담 미흡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앞서 정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농어촌 경관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기본방향으로 첫째, 장기적인 비전 실현을 위한 종합계획의 수립, 둘째, 지역의 여건과 특성에 맞는 경관관리 수단의 적용, 셋쩨, 규제·유도·지원 등 다양한 경관관리수단 간의 연계 강화, 그리고 마지막으로 공무원, 전문가, 주민 등 관련주체의 역할 규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한 실행전략과 개선방안으로는 다음의 4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선(先)계획 후(後)실행’을 위한 종합적인 경관계획을 수립을 위해서「경관법」,「농어업인삶의질향상및농어촌지역개발촉진에관한특별법」등에 의한 경관계획의 수립지침을 보완하고 경관계획 수립을 의무화한다. 둘째, 지역의 여건과 특성에 맞는 다양한 경관관리 수단의 적용을 위해서 관련법에서 계획대상 범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으며, 「국계법」, 「경관법」, 「건축법」등 관련법에 의한 용도지역지구제, 개발행위허가제, 건축허가 및 심의 등 각종 심의제도 등 규제·유도·지원적 수단을 농어촌 지역에 맞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세부지침을 보완하여야 한다. 셋째, 규제·유도·지원 등 경관관리수단 간 연계강화를 위해서 농촌지구(가칭)를 제도를 신설하고, 경관협정제도를 활성화하여 지속적인 관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경관관리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서 지원사업 추진실적에 따른 인센티브와 사업비 상환제도 도입, 사업 모니터링 체계 구축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이와 더불어 관련주체의 역량강화를 위해서 ‘Best practice’ 보급 및 경관 관련 교육을 실시, 담당부서 간 협업체계 강화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농어촌의 경관관리 실태를 면밀히 파악하고, 국토경관 향상 차원에서 추진해야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무엇보다 농어촌 경관 관련 법제도간의 연계가 부족한 현행의 농어촌 경관관리체계를 보완할 수 있는 실천과제들을 제시하여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농어촌의 경관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수준 높은 농어촌 경관을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요약2 Recently, both a social request to improve quality of life in farming and fishing communities and interests in landscape in the communities are on the increase. For this reason,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emphasized on preventing unplanned land development in rural area, and provided 「Management Guideline for Coastal Landscape」as a part of 「General Plan for Territorial Landscape Improvement」. Improvement and management policies of rural area landscape are increased by various attempts like 「General Measure to improve rural landscape」in 2006 and 「Five Senses Landscape Promoting Measure to improve Farming Village」in 2011 that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proposed. However, a comprehensive landscape management system containing Plan-Project-Management at farming and fishing communities is still slight, so an arrangement of continuous and systematic management system as the management of national territory is urgent. A specific plan that both achieves continuous landscape management and overcomes limitations of rural area landscape management scheme should be prepared for long-term and systematic approach to rural landscape that occupies the most ratio of the territory. Therefore, this research draws out current problems of rural landscape management system as part of national territory landscape management, and suggests basic direction for comprehensive landscape management system that reflects characteristics of farming and fishing communities. The research contains four chapters. Introduction, the first chapter, suggests a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a spatial scope of farming and fishing communities, a textual scope of the research, and difference between the research and advanced researches by examination. The second chapter investigates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and analyzes current landscape condition of the space. To do that,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concept of farming and fishing village, and suggests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a landscape type and landscape composition elements of the village. To analyze current landscape condition of the space, the research investigates population, the number of households, current situation of land use, current landscape-related project as normal situation of the village, and figures out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landscape in the village. In addition, the research analyzes problems that are represented in the overall village landscape, law and plan, and the village-related projects through reviewing advanced researches that show landscape problems of the spaces. The third chapter examines and analyzes the current landscape management situation in the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The study examines policies made by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nd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about rural areas landscape, and suggests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law policies that includes regulations and support system for landscape management by analyzing the law policies and codes associated with rural areas landscape. In addition, the research examines contexts and implemented conditions of plan, and contexts and promoting status of project to analyze plans and projects that are regard to rural area landscape. At last, the research examines administration system of central ministries, public enterprises and local governments to understand condition of the administration system that is related to rural area landscape. The forth chapter draws out current situations and problems of rural area landscape based on the second and third chapter, and suggests basic direction and implementation strategy to establish management system of rural area landscape accordingly. Diverse landscape is appeared by geographical features and major productions in farming and fishing area, and problems of landscape are appeared differently by influence of surrounding regions like development demand. These days, however, recognition about necessity to preserve and improve rural area landscape is considerably insufficient. As a result, discussion about blueprint of various rural area landscape that reflects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region is also insufficient. A lot of problems related with rural area landscape contain that insufficiency to consideration about principal agent who enjoy landscape, ambiguity of boundary that classifies rural area, absentness of general landscape plan that includes space management plan and landscape vision of rural area, lack of connectivity among regulations, inducements and support methods as landscape management measures, inadequacy of role sharing among public officials, experts and residents as action system for landscape management. The research draws out a basic direction and an action strategy to improve rural area landscape management system based on appeared problems. The basic direction contains that establishing a general plan to realize a long-term vision, application of landscape management measures suitable for conditions of the region, reinforcement of connectivity with the management measures like regulations, inducements and support methods, and makes clear the role sharing among the related principal agents who are public officials, experts and residents. Also, the action strategy and improvement measure include following things. First, it supplements a guideline of landscape plan, and makes mandatory for establishing the plan based on 「Scenic Conservation Act」and 「Special Act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ves of Farmers and Fishermen and Rural Development Promotion」to establish the general landscape plan for ‘Plan-First Action-After’. Second, it makes clear a scope of targets to apply landscape management measures that are appropriate to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regions, and builds supplement system utilizing regulatory measure, derivational measure and supporting measure by another laws related with zoning in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then supplements a detailed guideline. Third, it induces continuous management as designating farming zone to intensify connectivity among management measures including regulation, inducement and support. Also, it acknowledges community agreement as landscape agreement, and establishes a monitoring system for aid projects in designated regions, then arranges repayment system for working expenses at executor regions of the agreement and weak-managing regions. Forth, it carries out landscape-related education like dissemination of ‘best practice’ for major participants to intensify capability of the participants together with securing effectiveness of landscape management, and reinforces cooperation system among right sections when establishing plan and pushing forward projects. The study regards it meaningful to suggest the basic direction of improving rural area landscape management at national landscape enhancement through figuring out current condition of landscape management in the regions closely. Especially the research considers efficiency of rural area landscape policies, and tries to intensify connectivity between action laws and a law associated with national territory system in the view of whole country through complementing insufficient landscape management system. This anticipates to establish implement measure of rural area landscape management that has effectiveness in long-term, and to contribute developing high-quality rural area landscape.
소장처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경관계획 수립 및 추진과정에서의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윤준도 ; 조상규 ; 최윤정 ; 전선정 - 연구보고서(정책) : 2009 n.2 (200911)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전문가 조사를 통한 경사주거지 경관개선을 위한 설계요소와 정비방향 도출에 관한 연구
김민주(Kim, Min-Ju) ; 노세희(Noh, Se-Hee) ; 장한두(Jang, Han-D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9 n.5 (201305)
마을계획에 따른 농촌경관과 지역성 고찰
박헌춘 ; 김승근 - 한국농촌건축학회 논문집 : v.10 n.4 (200811)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농촌지역의 마을과 주택의 유형과 진화
張聖浚(Jang Seong-J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7 (201007)
기성주거지 공간관리수요변화에 대응하는 정비방식 다양화 방안
서수정 ; 임유경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7 (20091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특집] 경관법 운용과 개정을 위한 과제
강동진 ; 유완종 ; 이형복 ; 변혜선 ; 윤진옥 ; 이석현 ; 차주영 ; 최호운 ; 임영택 - 도시정보(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보지) : 통권 제350호 (201105)
[논문] 미국의 도시재생수법으로서 BID(Business Improvement Districts)에 관한 연구
이운용 ; 김민경 ; 이정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9 n.2(통권 제31호) (20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