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최근 한옥입주자 특성 및 한옥수요 조사 연구 / A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Demand of Recent Hanok Occupants
저자명 심경미 ; 서선영
발행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수록사항 연구보고서(정책), 2012 n.05 (2012-09)
페이지 시작페이지(1) 총페이지(27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한옥 ; 한옥마을 ; 한옥입주자 특성 ; 한옥 유지관리 ; 한옥 개보수 ; 한옥거주 만족도 ; Hanok ; Hanok village ; characteristics of Hanok occupants ; Hanok improvement and maintenance ; Hanok residence satisfaction
요약1 지난 10년간 서울의 북촌과 전주 한옥마을을 중심으로 진행된 지방자치단체의 한옥 정책과 지원의 성과로 한옥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전환되고, 다양한 주거문화에 대한 요구와 환경문제, 소득수준의 향상 등에 따라 웰빙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지속가능한 주거로서 한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관심은 한옥거주에 대한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있으며, 실제로 한옥으로 이주하는 사람들도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한옥거주에 대한 관련 정보나 실증적인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이제까지 한옥거주 실태조사가 오래 동안 한옥에 거주해온 사람들 위주로 조사되었기 때문에 한옥정책 및 미래의 한옥거주 수요자들을 위해 새로운 계층과 유형의 한옥거주자에 대한 실증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최근 한옥입주자들의 특성과 만족도,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한옥정책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새로운 한옥입주자들의 입주과정과 거주현황 등의 정보제공을 통해 미래의 한옥입주자 및 한옥사업자들에게 유용한 기초자료를 전달하기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의 북촌과 서촌, 그리고 전주 한옥마을을 대상으로 최근 5~10년 이내에 한옥으로 입주한 가구를 파악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가구주 현황, 한옥거주경험 및 구입과정, 거주만족도, 한옥 개보수 경험 및 요구사항, 지속거주의사 및 향후 한옥구매 의사 등에 대해 일반설문조사와 심층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으로서 최근 한옥으로 입주한 가구를 선별하기 위해 1차로 건축물 인허가대장 및 관리대장을 토대로 최근 5년 이내 소유권이 이전된 목조건물 가구를 추출하고, 2차로 이들 가구를 대상으로 가가호호 현장방문을 통해 한옥과 이주시점을 확인한 후 일반설문을 진행하였다. 심층면담조사는 일반설문자와 한옥건축 전문가가 소개해준 사람들 중 연령, 성별, 직업 등의 특성이 다양하도록 조정하여 총 97명의 일반설문과 31명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2장에서는 조사대상지 일반현황과 1차로 추출한 목조건물을 한옥이라고 간주하여 한옥입주동향과 입주가구 한옥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지는 전국적인 한옥 전수조사가 진행되지 않아 한옥의 분포와 입주현황파악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점을 감안하여 최근 한옥으로의 입주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한옥밀집지역으로 한정하여 서울과 지방도시가 포함되도록 서울의 북촌과 서촌, 전주 한옥마을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옥입주동향을 살펴보면, 최근 5년 이내에 한옥으로 입주한 가구수는 북촌 약 100가구(전체의 약 23.5%), 서촌 약 65가구(전체의 약 27.8%), 전주 약 43가구(전체의 약 24.2%)로 지역별로 대략 23~28% 사이를 보이고 있다. 지역별로는 서울 북촌과 서촌지역이 2009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한옥을 매입한 소유주는 50대가 가장 많았으며 그 중 약 1/3가량만이 구입한 한옥에 실제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임대를 주고 있는 소유주의 경우 절반가량이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었고 그 중에서도 강남구, 용산구, 서초구 등의 거주자가 많은 것으로 파악되어 비교적 소득수준이 높은 사람들이 최근 한옥을 매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5년 이내에 한옥으로 입주한 가구들의 한옥은 1960년대 이전에 건립된 오래된 한옥이 약 40%인 가운데 2000년 이후 신축한 한옥도 약 35%로 상당수 차지하고 있었다. 대체로 입주 시 개보수를 하고 이주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전주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신축 후 입주하는 비율이 특히 높게 나타났다. 규모는 10~20평이 대다수로 현대생활방식을 수용하기에는 작은 규모였으며, 용도는 거주용이 약 70%로 다수를 차지하는 가운데 상가나 사무실, 게스트하우스 겸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일부 있었다. 최근 5년 사이 한옥에 입주한 사람들은 초등학생 이하의 어린자녀를 둔 3~4인 가족의 30~40대 젊은 계층이 많았으며, 1인 가구의 비율도 약 20%를 차지하고 있었다. 대체로 석사이상의 고학력자들로서 전통문화, 건축, 예술 등에 식견이 넓은 성향을 갖고 있으며 교수, 공무원 등의 전문직 종사자이거나 예술관련 업종에 종사하는 자영업자들이 많았으며, 소득수준 역시 대체로 높은 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옥으로 오기 전에 거주했던 주택유형은 아파트가 45.2%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서촌지역의 경우 단독주택 47.4%, 연립주택 31.6%로 아파트 거주자들보다 많은 특징을 보였다. 최근 한옥입주자의 60%는 한옥에 거주했던 경험이 있었으며, 한옥의 현대화에 있어서는 개방적인 입장을 취하면서도 한옥의 전통미를 매우 중요하게 여겨 목조주택인 점과 전통재료 사용은 유지하려는 성향을 보였다. 한옥으로의 입주 계기는 매우 다양한 가운데 동네의 분위기나 교통 편리성, 업무효율성 등의 이유로 동네를 먼저 결정하고 보니 한옥에 거주하게 되었다는 응답이 높아 한옥이 밀집한 '동네 선정'이 한옥거주 결정에 주요하게 작동하고 있었다. 그밖에 한옥자체가 좋거나 미적인 부분에 매료되어 한옥에 입주한 경우도 많았으며 한옥을 우연히 접한 뒤 즉흥적으로 결심한 경우도 다수 있었다. 한옥입주 결심 후 구입과정에서는 한옥 수요에 비해 매물자체가 적어 선택의 폭이 좁고 가격이 높은 점을, 입주 시에는 한옥 신축 및 개보수 전문가/전문업체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점을 어려움으로 꼽았다. 최근 한옥입주자들은 한옥 선택 시 동네 분위기를 가장 많이 고려하고 있고, 다음으로 주택의 노후상태, 공간구성 및 규모 등 개별한옥 자체에 대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한옥 거주에 대한 전체적인 만족도는 대체로 높았으나, 신축 또는 개보수로 한옥의 성능과 상태가 양호한 경우 만족도가 매우 높은 반면 노후한 한옥의 경우 추위와 잦은 유지보수로 인한 비용발생과 어려움으로 큰 불편을 겪어 거주만족도가 매우 낮았다. 실제로 한옥거주의 단점으로 추위와 유지관리의 어려움, 그로인한 비용부담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밖에 수납공간의 부족과 해충으로 인한 불편함 등이 제시되었다. 반면, 한옥의 장점으로 마당이 있어 자연과 시간의 변화를 느낄 수 있고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점, 친환경적이라 건강에 좋고 정서적으로도 안정되는 점, 자녀들의 인성교육과 교우관계 형성에 좋은 점 등을 꼽아 마당이라는 공간과 친환경재료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옥거주 결심 후 한옥 구입과정과 한옥거주 후 불편한 점은 모두 한옥의 개보수 및 유지관리의 어려움과 관련이 있었다. 간단한 수리는 직접 하고 있었으나 지붕보수 및 구조체 교체 등 한옥전문 목수나 시공업체를 통해 해결이 가능한 것들은 비용 부담과 개보수 업체 및 전문가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에서 입주자들은 한옥수선에 대한 비용지원에 대한 요구가 많았으며, 이와 함께 한옥 주민들 스스로 자생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옥 유지관리에 대한 교육 시행, 한옥 개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역 내 한옥전문보수센터 설치, 그리고 개보수 관련 매뉴얼 제공 등을 공공에서 시행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현재 한옥주거지 선택 시 교통 및 각종 시설 이용이 편리한 위치의 장점을 가장 많이 고려하고 있고, 다음으로 한옥이 밀집된 동네 분위기, 자유로운 교육 분위기 순으로 조사되었다. 주거환경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는데 교통, 역사문화환경, 교육환경, 밀집된 한옥 경관, 방범 및 치안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높은 반면, 주차문제와 지나친 상업화 및 관광화 문제에 대해서는 매우 불편해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한옥주거지 관리에 대한 개선요구 역시 높았는데 공영주차장 설치 및 관광객이나 방문객을 위한 주차공간 마련, 가로환경 개선을 위한 상설 쓰레기 분리수거함 설치를 제안하였으며, 지나친 상업화·관광화에 대한 한옥마을 규제와 관리, 경관관리를 위한 한옥철거 규제 및 주변건축물 높이관리, 한옥마을의 화재방지 관리방안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최근 한옥입주자들은 거주 후 부지런해졌거나 행동이 조심스러워지고 살림살이가 검소해지는 등 생활습관이 긍정적으로 변화했으며, 지인을 집으로 초대하는 일이 많아지고 가족, 이웃과의 교류가 잦아지는 등의 일상의 변화가 있었다. 한옥 지속거주 의사에 대해서는 87.5%로 매우 높게 나타났는데, 이사의사가 있는 가구는 자녀들이 성장하였을 경우 한옥이 너무 좁아서, 한옥이 너무 춥고 불편해서가 주요 이유로 꼽혔다. 한편 현재 한옥의 자가 소유여부와 상관없이 향후 한옥을 구입할 의향도 전체 70%로 매우 높게 조사되었는데, 이들은 교외보다는 도심에 위치한 한옥이 밀집된 지역에 대한 선호도가 매우 높은 특징을 보였다. 서울 북촌과 서촌, 전주 한옥마을의 최근 한옥입주자들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주요 특성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옥의 거주계층이 기존 60대 이상의 노년층에서 어린자녀를 둔 3~4인 가족의 30~40대로 연령층이 낮아지고 1인 가구의 입주가 두드러지고 있다는 점이다. 도심에 위치한 한옥이 더 이상 노년층만의 주택이 아니라 젊은 계층도 선호하는 주거유형이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한옥에 대한 직·간접적인 한옥체험이 실제로 한옥거주 결심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상생활에서의 한옥에 대한 경험이 한옥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하고 결과적으로 한옥입주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한옥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용도의 한옥공급 정책을 활발히 추진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한옥의 거주성능이 떨어지는 것과 그에 따라 발생하는 끊임없는 유지관리 및 개보수 문제들이 한옥거주를 불편하게 만드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한옥 개보수에 따른 비용부담과 업체 및 전문가선정을 위한 정보부족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한옥에 거주하면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유지관리가 다른 주택유형보다 비싸고 어려운데 전문가를 찾기도 힘든 상황에 대해 한옥수선 비용지원 외에 공공의 다양한 지원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한옥에서의 거주 후 입주자들의 생활이 긍정적으로 변화했다는 점이다. 입주자들 스스로 이러한 변화를 인지하면서 주거공간이 매우 중요하며 집에 대한 인식 역시 달라지고 있었는데, 범죄 증가와 주거지 치안과 방범관리가 불안정하며 인간관계가 소원해지는 현대도시공간에서 한옥이 주는 이처럼 실증적이고 긍정적인 변화의 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최근 한옥입주자들은 비록 수도권 등 교외지역의 한옥마을에 대한 선호는 떨어지지만 교통이 편리한 도심 한옥마을에 대한 미래의 실수요자로서 의미를 가진다. 향후 한옥마을 조성 시 이들의 성향과 한옥현대화에 대한 인식, 거주시 불편사항 등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옥활성화 정책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먼저 기존 한옥의 유지·관리를 위한 것으로, 첫째 현재 지붕 개보수에 한정된 부분개보수 지원을 구조체 부재교체까지 확대하는 등 한옥 유지관리 비용에 대한 공공의 지원 확대, 둘째 한옥개보수 업체 정보제공을 위해 한옥 개보수 전문업체의 관리 및 연계서비스체계 구축, 셋째 한옥 관련 상담과 기술지원, 한옥 유지관리 주민교육지원 등을 위해 한옥전문인력이 배치된 '(가칭)한옥관리센터'를 지역에 설치, 마지막으로 한옥마을 차원에서 일정구역을 불연화할 수 있는 '(가칭)불연화 한옥특구 제도'의 도입이다. 다음으로 신규 한옥의 보급과 관련한 것으로, 첫째 한옥을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용도의 한옥보급, 둘째 한옥수요자 계층 변화와 성향을 고려한 현대적인 한옥모델 개발, 셋째 실제 최근 한옥입주자들의 성향을 고려한 한옥마을 입지선정 및 마을계획 수립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한옥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취되고 인식이 변화하는 시점에서 실제로 한옥으로의 입주동향과 그들의 특성을 자세히 파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한옥거주자에게 접근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점에서 총 97명을 대상으로 일반설문조사와 31명을 대상으로 한옥의 입주동기와 실생활 경험을 면담하여 자료화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는 연구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조사대상지가 한옥 개보수 지원이 되는 도시한옥주거지 일부에 한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한옥주거지 관리 및 조성에 보다 유용한 종합적인 정책자료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향후 좀 더 많은 다른 유형의 대상지역에 대한 동일한 조사가 후속연구로 지속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한옥에 사는 사람에 대한 연구라는 점에서 앞으로 도시한옥주거지의 보존·관리 및 조성에 좋은 정책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한옥에 대한 정보가 미흡한 국내실정에서 한옥거주를 꿈꾸거나 계획 중인 일반 시민들에게도 현실적이고도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요약2 Social interest in Hanok as sustainable housing is growing recently and in reality, people moving into a Hanok are growing in number. Despite that, information and empirical data on Hanok residence are not sufficiently available. In particular, investigations on Hanok residence have been so far carried out focusing on those who have lived in Hanok for a long time.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it is needed to identify current status on the Hanok residents of new classes and types on an empirical basis, thereby providing information for Hanok policies and for prospective Hanok consumers. The study aim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Hanok policies establishment based on investigations of recent Hanonk occupants'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and demands. Also, the research intends to deliver preliminary data useful for future Hanok occupants and those in the Hanok business by providing information including moving-in process and residence status of new Hanok occupants.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the study first identified and selected households that moved into a Hanok within past five to ten years among those in the Bukchon and Seochon of Seoul and Jeonju Hanok Village. It carried out general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households, concerning current status of the householder, experience in the living in Hanok, purchase process of the Hanok concerned, residence satisfaction, experience in Hanok improvement and maintenance, and further demands, along with the intent for a continued residence and for a Hanok purchase in the future. In order to select the research target, or households that recently moved into a Hanok, first we extracted households of wooden building whose ownership transfer occurred within recent five years, referring to registers for building approvals and for building management. Second, we paid a door-to-door visit to every household on the list so as to confirm if they were a Hanok and to check out the point of moving-in, and carried out general surveys. Additional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mong those recommended by Hanok-specialized architects after making adjustments for the diversity of the surveys' characteristics including age, sex and occupation, as well as among the households for general surveys. A total of 97 for general surveys and 31 for in-depth interviews participated in the investigation. In Chapter Two of the paper, general information on the households investigated is given. Also, the analysis is provided on trends in Hanok occupancy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Hanok units occupied, while regarding the wooden buildings extracted in the first round as Hanok. The households that moved into a Hanok in recent five years take approximately 23 to 28% depending on regions. In regards to the owner of the Hanok, those in their fifties are the majority, with a third of them residing in the Hanok they purchased themselv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areas where the Hanok lessors are living show that comparatively high income earners are estimated to have purchased Hanok recently. Among Hanok units that are currently occupied, approximately 40% of them are built before in the 1960's. The number of those built after the year of 2000 is also significant, taking approximately 35%. Concerning the size, most of the units are ten to twenty pyeong large, which means they are too small to accommodate modern ways of life. Those for residence use took the most, or approximately 70%. The findings from the general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recent Hanok occupants are provided in Chapter Three. Roughly, the findings are divided into several theme categories as follows and examined: recent Hanok occupants' soc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and their views on Hanok modernization, opportunities they came to have for Hanok occupancy and difficulties encountered during the Hanok purchase, Hanok satisfaction and further demands, Hanok residence satisfaction and further demands, changes in life following the moving-in and intent for a continued occupancy. Based on this, the paper summarizes the findings into fiv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the age of the Hanok occupants is lowering, with the occupant class transferring from the existing elderly in their sixties and older to families made up of three to four members with young children who are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Besides, single-member households' moving-into a Hanok is noticeable. This confirms that Hanok units located in downtown no longer remain as housing for the elderly but are also beloved by young generations. Second, both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in Hanok practically affect the decision to move into a Hanok. Everyday experiences in Hanok develop a positive awareness on Hanok, consequently leading to Hanok occupancy. Considering thi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omote policies to provide Hanok of diverse purposes towards Hanok revitalization. Third, the low efficiency of Hanok residence, and the consequent ceaseless maintenance and improvement function as key factors to make a living in Hanok inconvenient. In other words, the occupants are experiencing significant difficulties because of the cost burden related to Hanok maintenance and improvement, and the lack of information required for selecting companies and specialists for the maintenance. The maintenance consistently arising from Hanok residence is more costly and more difficult than that of other types of housing. To make matters worse, it is not easy to find Hanok specialists. In order to address these problems, it is needed to explore a variety of support policies from the public sector, as well as providing financial support for Hanok maintenance. Fourth, the occupants' life has changed in a positive way after moving into a Hanok. As the occupants themselves became aware of this change, the importance of residence space has been significantly acknowledged, and the views on housing also changed. In this sense, it is necessary to stress the power Hanok has for this empirical and positive change in modern urban space where crimes increase, measures for housing safety and crime-prevention are insecure, and people are estranged from each other. Fifth, recent Hanok occupants are significant as prospective consumers for downtown Hanok villages that have convenient transportation systems even though their preference for Hanok villages located in suburban areas including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s low. It is important to sufficiently reflect their inclinations and opinions including their awareness on Hanok modernization and inconveniences they experienced living in a Hanok upon formulating Hanok villages in the future. In Chapter Four, directions towards Hanok revitalization are given divided into the aspect of Hanok maintenance and improvement, and that of distribution of new Hanok unit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For the Hanok maintenance and improvement, first, public support of finance for Hanok maintenance and improvement should be expanded: while support is limited to roof improvement and maintenance at present, it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replacement of sub materials for structural frames. Second,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on businesses specialized in Hanok improvement and maintenance, a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management of Hanok maintenance-specialized firms, along with systems for linked services. Third, the tentatively named 'Hanok Management Center' should be installed in regions where Hanok experts are stationed to provide Hanok-related consulting and technology assistance, and assistance for residents training for Hanok maintenance. Finally, at the level of Hanok villages, it is recommended to introduce the tentative 'non-combustiblization Hanok special district system' so as to ensure non-combustiblization for a certain size of areas. Next, for distribution of new Hanok units, the study provides several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Hanok with diverse purposes should be supplied so that Hanok can be easily accessed in everyday life; second, modern Hanok models should be developed, with the change in the Hanok consumer class and their inclinations considered; and third, Hanok village locations should be selected and village plans established with the inclinations of recent Hanok occupants taken into account.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identified the trends in Hanok occupanc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ccupants in detail at a time when social interest in Hanok is rising and awareness changing in the country. In addition, the study met with approximately 97 households for general surveys and approximately 30 for interviews to ask their motive for moving into Hanok and everyday experiences in Hanok residence, successfully compiling a collection of research materials. This makes the study a greatly meaningful one, especially considering that it is a challenging job to directly access Hanok occupants for such research. However, the research targets in the study are limited to part of the urban Hanok residence which is subject to support for Hanok maintenance and improvement. In this sense, the same investigation as in this paper is needed for more and different types of areas in follow-up research so as to provide more useful and comprehensive policy data for management and formulation of Hanok residence. Despite the limitations, the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excellent policy data for conservation, maintenance and formulation of urban Hanok residence in the future, especially in that the research is on the people living in a Hanok. Finally,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study will become practical and useful data for the general public who dream of or plan to live in a Hanok under the condition of only insufficient information on Hanok being currently available in the country.
소장처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한옥활성화를 위한 신한옥 모델개발 연구(Ⅰ)
이강민 ; 이민경 ; 황준호 - 연구보고서(한옥) : 2012 n.03 (20121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논문] 한옥 설계의 최근 경향 연구
이주옥 ; 한필원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1 n.1(통권 80호) (201202)
[자료] 한옥의 설계와 시공기법
김도경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6(통권 61호) (2008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한옥 유지관리의 개선방향
이태영 ; 양윤선 ; 이찬식 - 전국 대학생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011)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한옥마을 지원정책을 통한 역사문화가로경관 조성방안
권영상 ; 조민선 - 연구보고서(한옥) : 2011 n.03 (20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