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공공건축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 시범적용 및 제도화 연구 / A Study on the Example Applic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the Design Quality Indicator and Management System for the Public Building
저자명 김상호 ; 김은희
발행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수록사항 연구보고서(기본), 2012 n.07 (2012-10)
페이지 시작페이지(1) 총페이지(260)
주제분류 도시
요약1 본 연구는 2009년과 2010년 2차례에 걸쳐 수행된 공공건축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의 구축내용을 바탕으로 그 결과를 재고하고 시범적용을 통해 개선점을 도출하며 공공건축지원센터 및 발주제도 등 공공건축물 조성과정의 운영체계와 연계한 제도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는 총 6개의 장으로 이루어졌다. 1장 서론에서는 공공건축 디자인 과정 및 전반적인 조성방식의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여 연구의 목적과 방향을 설명하였다. 2장에서는 이러한 문제의 대안으로써 기 수행연구에서 제시되었던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을 재고하고 이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3장은 2장의 개선방향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공공건축에 적합한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 PDAT(Participation Design Adjustment Tool)를 구축하고, 웹상에서의 운영을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4장은 PDAT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재 공공발주 사례를 대상으로 시범적용하였고 기 구축한 PDAT의 구조 및 운영체계를 수정하였다. 더불어 PDAT의 운영매뉴얼을 작성하였다. 5장은 본 연구의 제도화를 목적으로 공공건축지원센터의 운영 및 발주제도 개선방식과 연계한 PDAT의 제도적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 6장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성과 및 향후 추진방향에 대해 종합 정리하였다. 장별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공건축의 가치가 지역주민의 일상생활을 풍요롭게 하는 생활 문화적 공간임과 동시에 주민의 다양한 삶을 반영하고 지역성을 대표하는 상징적 시설로 사회적 위상이 정립됨에 따라 중앙 및 지방정부는 공공건축의 디자인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다. 민간부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낮은 공공건축의 디자인 품질 제고와 대안 강구에 주력하고 있으며 공공건축 발주기관의 관리 및 운영 시스템의 취약성에 대응하여 체계적인 공공건축조성 및 디자인 관리 전문 지원기구인 '공공건축지원센터'의 설립과 그 기능 확대를 위한 다양한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기 수행된 공공건축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구축의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웹시스템을 개발하고 시범적용을 통해 개선점을 도출하며 나아가 우리나라 행정여건에 부합하는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 제도화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공공건축 디자인품질관리의 적용대상은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가 발주하는 공공건축물로 설정하였으며, 특히 발주처의 공공건축조성 운영을 지원하고 보조하는 공공건축지원센터의 역할과 대상사업 범위를 고려하였다. 또한 기 수행 연구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도 공공건축 유형중 사업비 100억 미만의 소규모 건축물 (도서관, 유치원, 주민센터 등)을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의 우선 적용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조사 및 시범적용, 전문가 협업을 통해 진행되었다. 관련 문헌을 통해 기존 연구 성과를 재고하고 영국 DQI(Design Quality Indicator)의 운영 실태나 미국, 일본 등 앞서 정착된 유사 시스템의 발전 동향과 시사점을 분석하였으며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의 사용주체별 편의성을 고려하여 시범적용과 전문가 협의회를 개최하였다. 특히 시범적용의 경우 참여형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의 가치를 확인하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발주자와 사용자, 코디네이터가 참여하는 워크샵을 주요 연구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구축된 시스템의 효율적 운용과 홍보를 위한 웹 시스템의 개발은 관련분야 전문가의 자문과 협업을 통해 수행하였다. 본 장에서는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의 개념과 이의 개발배경 및 기대효과를 살펴보고 국내외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의 운용실태, 제도적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그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기 수행연구에서 규정한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의 내용에 기반 하되, 이후 본 시스템의 국내외 운용실태와 효과를 재고함으로써 본 연구의 수행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에 대한 연구 논의를 이끌었던 영국 DQI와 관련시스템의 효과를 살펴보고 국내에서 개발한 ADEET(Architecture Design Evaluation & Enhancement Tool)나 KEBDI(Korean Educational Building Design Indicator)에 대한 특성도 검토하였다.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이란 국가나 지자체 차원에서 일방적으로 주민들에게 공급하는 공공건축의 조성 방식을 탈피하여 초기 기획단계에서부터 주민들의 요구사항을 수렴하고, 각 조성단계에서 설계 의도대로 계획이 잘 진행 되고 있는지 확인?검토하는 과정에 적합하게 개발된 도구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설계품질'이라 일컫는 모호한 개념에 대한 열린 토론을 위한 것으로, 서로 다른 기대감이나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건설의뢰', '건물설계', '개발', '이용자' 간의 의사소통을 촉진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은 합의안 구축 및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디자인 목표설정, 설계나 건물을 평가하는 설계안 평가로 이루어진다. 시스템 사용을 주도하는 코디네이터가 디자인지표로 만들어진 질문지를 활용하여 토론을 촉구하고 논의를 이끌어내어 설계 품질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서 결론을 도출한다. 이는 단순히 디자인품질평가를 위한 객관적인 지표라기보다 의견을 수렴하고 협의하기 위한 객관적인 참고도구라는 점에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DQI 등 현재 국내외에서 시행되고 있는 관련 시스템개발에서 주목할 점은 각각의 구조 및 사용목적은 다르나 모두 공공건축 조성 시 효율적인 운영관리 및 비용절감, 향후 이의 적용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활용성을 중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에서 국내 공공건축발주기관의 운영프로그램 및 조직적 관리체계에 대한 문제를 지적하고 공공건축지원센터 및 발주제도와 연계한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공공건축지원센터는 디자인프로세스관리지원, 공공건축 사후평가 및 환류체계 구축업무수행 시, 기존시설 및 지역주민 여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업의 당위성을 점검하고 사용자 중심의 시설공급을 위해 디자인품질지표를 활용한다. 따라서 공공건축물의 효율적인 품질관리를 위해 공공건축지원센터의 디자인프로세스별 운영기준과 PDAT를 통합된 체계로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향후 공공건축지원센터를 통해 PDAT 운용기반으로서 행정적 지원체계를 마련하고 통합된 디자인프로세스를 공공건축 전 단계에서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현재 공공건축물 조성과정에는 턴키제도, 현상설계, 적격심사 등 다양한 발주방식이 운영 중에 있으며 발주 방식에 따라 상이한 프로세스가 적용된다. 이들은 해당 사업의 특성에 따라 발주방식을 다르게 적용 할 수 있으나 발주처의 운영 및 관리 편이성을 이유로 많은 사업들이 공공건축의 목적을 저해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기존 공공건축 조성과정의 문제 인식과 더불어 디자인프로세스에 대한 적합한 검토절차를 통해 가격경쟁뿐 아니라 공익성, 디자인 등 다양한 건축 기본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발주제도 설계에 대한 필요성과 대안이 요구된다. 여기서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이 공공건축 조성단계별 디자인프로세스관리의 도구로 활용된다는 측면에서 초기기획단계의 발주 설계와 연계한 제도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공공건축의 발주건수가 전체의 약 95%이상을 차지하는 설계용역비 2억 내외의 사업 및 공사비 100억 미만의 공사 설계공모제도, 적격심사 제도를 통한 발주방식을 검토대상으로 설정하였다. PDAT는 2009년과 2010년 기 수행 연구의 디자인관리시스템의 내용의 틀을 활용하되, 디자인프로세스 운영과정의 간소화 및 다양한 주체의 적극적 참여를 전제로 기존 지표 구조와 운영방안이 수정되었다. 특히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이 참여형 디자인의사결정도구라는 점에서, 쉽게 이해?활용 가능한 지표와 설문구조, 결과제시방식 등을 검토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 수행 연구의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고 국내 공공건축 조성여건에 대응하는 보다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PDAT를 규정하였다. 1차년도 연구에서 개발된 디자인품질지표는 공공건축이 지향해야 할 기본적인 계획방향으로써 공익성, 디자인, 사용성의 3부문과 9개의 항목, 72개의 지표로 구축되었다. 2차년도 연구에서는 1차년도 지표에 공공건축 유형별 특성에 근거한 기능성 지표를 기본계획지표에 추가하고 공공건축의 유형별 지표를 설정하였으며, 프로젝트마다 필요성을 검토하여 유효지표를 도출, 단계별 시스템 적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건축의 보편성과 유형별 기능성, 그리고 프로젝트별 특수성에 기반 하여 지표의 구조를 설정하였다. 운영시스템은 준비단계와 평가단계의 틀을 유지하되 준비단계에서 가중치 및 기대치 설정프로세스를 보다 구체화하여 향후 토론을 위한 객관적인 근거데이터를 마련하였다. PDAT는 디자인품질지표(PDAT지표), 참여주체, 설문지 및 결과 시각화도구, 웹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전문가 및 사용자의 참여에 의한 디자인결정과정에 운용된다는 점에 일차적인 의의가 있고 여기서 총괄계획가와 코디네이터의 역할에 따라 운영방식이 변용 가능하다. 또한 공공건축의 유형별, 발주방식 및 프로젝트 특성별 내용 및 운영방식의 조정할 수 있고 더불어 공공건축 조성 전 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열린 구조로 구축되었다. 웹시스템은 크게 관련 정보와 설문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활용하면 관련 자료를 쉽게 습득할 수 있고 빠르게 설문을 진행하며 코디네이터 등 운영 주체들이 응답결과를 실시간으로 시각화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 신청 및 코디네이터, 응답자 등의 자발적인 참여를 촉구하고 활성화시킬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되며, 관련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공공건축 조성 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PDAT 웹페이지는 공공건축조성주체의 요구에 따라 전문적인 디자인프로세스를 총괄할 수 있는 공공건축지원센터를 통해 관리하며 이때 공공건축지원센터의 홍보 및 업무진행을 위한 웹사이트가 구축되어 있다면 PDAT를 해당 웹사이트의 메뉴에 포함시키거나 링크될 수 있어야한다. 이를 통해 PDAT의 '참여 프로젝트' 메뉴에 기획단계, 설계단계, 설계사후 관리단계에서 결정된 수행방식에 따라 설계이행지침, PDAT 단계별 워크샵, 디자인리뷰 등의 내용을 재구성하고 그 결과를 관계자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4장에서는 앞서 설정한 PDAT를 실제 공공건축발주사례에 시범 적용함으로써 그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시범적용은 설계공모방식으로 진행된 수원호매실공공도서관과 적격심사방식의 용인모현도서관을 대상으로 1, 2차에 걸쳐 시행하였으며 발주자, 전문가, 사용자, 그리고 코디네이터가 참여한 워크샵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통해 PDAT 구조 및 운영방식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향을 재점검하였다. 특히 웹기반의 디자인품질관리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PDAT의 효율적 운용과 공공건축의 공익성 확대의 근간을 마련하였다. PDAT 시범적용은 목표설정과 설계평가의 2 단계 워크샵으로 이루어진다. 목표설정 워크샵은 해당 프로젝트의 디자인 목표를 설정하고 설계평가 워크샵에서는 제출된 기본 설계안을 대상으로 초기의 디자인 목표가 설계안에 잘 반영이 되었는지 검토하였다. 시범적용 대상인 도서관의 건립과정을 크게 기획, 준비, 건립, 개관의 4단계로 분류할 때 PDAT의 목표설정 워크샵은 발주사전 준비단계 이후 건립단계 전에 실시해야하고 설계평가 워크샵은 건립단계에서 기본 및 실시설계 이후에 실시한다. 1차 시범적용 결과, 설계평가를 위한 설문지의 내용 일부가 현상설계안을 통해 평가할 수 없는 항목이 다수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기획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혹은 기본설계 시작단계, 기본설계 후 실시설계 시작단계, 실시설계가 완료된 단계, 시공단계에서 내부 인테리어 시공 전, 완공 후)등 설계 단계별로 요구되는 계획 내용에 따라 지표를 재구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또한 PDAT 지표에서 기능성 지표는 공공건축 유형별로 차별적 성격을 가지나 일부 지표가 일반지표와 중복되었고 용어 및 표현방식도 상호간 중복되어 지표의 내용을 재검토하고 조정하였다. 또한 1차 시범적용 시 목표설정 단계, 설계평가 단계에서 각 1회씩 총 2회의 설문을 실시하였는데 이때 목표설정 설문결과는 응답자간 토론을 끌어낼 수 있는 근거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목표설정단계에는 가중치 즉 항목별 중요도를 설정하는 설문과 계획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요소로써 세부지표의 중요도를 설정하는 두 가지 설문 방식으로 조정하고 중요도는 향후 설계평가 단계의 기대치에 반영하는 것으로 수정하였다. 또한 중요도 설정 설문지의 구조가 항목 간 상대평가로 오해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보다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한 방식으로 설문지 형식을 조정하였다. 2차 시범적용 결과, 기대치 설정 데이터에 대한 통계 처리 시 단순 평균치를 산출하는 것이 문제의 소지가 있으며 기대치와 만족도의 비교 항목에서 만족도에 중요도를 반영한 값으로 비교하는 것이 옳은 분석 방법인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다. 따라서 중요도의 적용 범위 및 산식반영여부를 재검토하였다. 결국 기대치와 만족도는 중요도를 반영한 항목별 지표점수의 평균 비교로 도출하고 1,2차 워크샵의 기대치와 만족도 판단 척도는 동일하게 구성하였다. 다만, 토론과 협의를 다양하게 진행하기 위해 항목별 지표점수의 평균값을 추가로 산출할 수 있으며 코디네이터에 의해 워크샵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수원호매실공공도서관과 용인모현도서관에 PDAT를 시범적용한 결과, PDAT는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의 의견과 설문결과가 일치하는 부분이 많았고 해당 결과를 기반으로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을 반영하고 프로젝트의 목적 및 상황에 적합한 구체적인 디자인 목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준공 건축물인 용인모현도서관의 경우, 기대치와 만족도의 차이가 큰 항목 및 지표는 실제 사용자들이 도서관의 디자인에 대해 제기한 불만사항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획단계에서의 PDAT 효용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가 과업 지시서에 반영될 경우 만족도가 높은 설계안이 선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시범적용을 통한 워크샵 운영방식의 개선방향도 제안하였다. PDAT 시범적용시, 프로젝트 브리핑에 있어 발주처 및 해당 건축가로부터 받은 자료검토에 한정된 점은 계획목적 및 계획안에 대한 참여자의 이해를 끌어내기가 어려운 점이 있었다. 향후 신뢰성 있는 만족도 평가를 위해서는 해당 대상지 방문 등 원활한 토론과 객관적인 평가를 위한 충분한 사전작업이 수반되어야 한다. 또한 전문가 그룹과는 달리 사용자 그룹은 지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므로, 설문평가를 진행하기에 앞서 건축언어를 이해시키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 수반되어야 한다. 코디네이터는 지표를 설명하는데 충분한 시간을 두며 일반인의 시각으로 지표의 내용과 의도를 전달해야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PDAT에서 지표의 내용보다 워크샵 참여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 더 중요하며 도출된 설문결과에 대한 토론 시 코디네이터의 주재로 퍼실리테이션을 통해 구체적인 디자인 목표를 도출하고 계획안에 대한 디자인을 조정하여야한다. 마지막으로 PDAT 웹시스템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웹페이지는 PDAT 지표를 활용한 설문평가 시스템 중심으로 구축되어 있으나 점진적인 확산과 광범위한 활용을 위해 향후 PDAT 정보 및 관련 자료를 제공하는 contents service웹페이지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 프로그램, 주요 활동에 대한 뉴스 및 출판물 등 PDAT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컨텐츠 개발이 필요하며 전문성이 높은 운영주체에 의해 종합적으로 기획되어져야한다. 2009년 제정된 건축기본법은 국가·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이 우수한 건축물, 공간환경을 만들기 위한 각종 기준과 지침 등의 제도적 기반으로 작용해왔다. 특히 건축정책의 기본방향을 건축 생활 공간적 공공성 구현과 사회적 공공성확보, 문화적 공공성실현으로 규정함으로써 건축의 공공적 의미와 가치에 대한 역할비중이 증대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이에 기반 하여 수립된 건축정책기본계획은 건축도시의 발전과 인적자원육성 등을 다루고 있는데 PDAT는 이들 내용 중 건축의 품격과 품질향상, 그리고 건축디자인의 측면에서 상관성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PDAT의 가치는 공공건축 조성과정에서 다양한 분야의 주체들의 참여와 의견수렴을 통한 건축품질향상이므로 참여형 디자인관리체계에 대한 내용이 건축기본법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명시될 필요가 있다. 공공건축의 조성이 발주처와 설계자 또는 전문가의 의사결정을 통해 수행될 경우 일반적으로 발주처의 상황 및 여건, 필요조건에 치중되는 경향이 있다. PDAT가 실제 업무수행주체 뿐 아니라 사용자 즉, 해당 건축물 근무자 및 일반 주민들의 요구조건과 사회적 필요를 수렴하기 위한 도구로써 의의를 고려한다면 관련법에서 사용자 참여에 대한 내용을 보다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다. 국토해양부는 건축기본법21조 및 시행령 제 19조에 의거하여 건축의 공공성을 실현을 위한 건축물과 공간 환경을 기획·설계하고 개선하기 위해 공공부문 건축디자인 업무기준을 수립하였다. PDAT의 적용 목적이 단지 공공건축 조성의 목적수립과 평가에 그치는 것보다 디자인과정에서의 의견을 수렴하고 반영하는 것에 의의에 둠에 따라 본 업무지침에서는 단계별 프로세스 관리 및 운영의 근거자료 확보와 평가 자료에 대한 과정이 수록되어야한다. 또한 PDAT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행정적 조치사항, 지원 사항, 제도적 운영수단 등을 명시하여야 한다. 한편 건축기본법과 건축서비스산업진흥법(안)에 기반 하여 공공건축 조성과정의 행정 효율을 증대시키고 공공건축의 가치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체계적인 디자인관리구조 및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전담조직의 역할과 기능에 준하여 PDAT의 제도적 연계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공공건축 조성과정이 기획력 부재, 행정중심의 디자인관리체계, 전문가 참여 미흡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온 만큼 전문가가 주도하는 디자인가치 중심의 조성과정 확립을 위한 공공건축지원센터와의 기능적 연계는 다양한 사용주체의 참여로 운용되는 PDAT의 제도적 체계를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이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발주방식과 연계한 제도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공공건축 조성과정에서 단계별 디자인품질담보를 위한 발주방식 개선의 필요성에 따라 시공비와 같은 초기비용만 최소화할 것이 아니라 총 생애 주기비용의 절감도모를 통한 투자효율성 획득을 위해 입찰가격외 디자인을 포함하는 기술능력 등 세부적인 발주 설계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특히 근린생활공간단위에서 공공의 활용빈도가 높은 설계용역비 2억 기준의 소규모 공공건축물의 발주방식에 대한 재고와 이 경우 일반적인 적격심사 등에 대한 디자인품질확보 방안으로써 평가방식에 대해서도 제안하였다. 설계용역에 있어 현 발주제도의 문제점은 무엇보다 발주자의 발주목적, 공공건축물의 사용자 특성, 시설물 입지기반에 대한 조건 분석 등이 미흡하고 따라서 기획단계에서 발주 설계가 상세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발주제도의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지적하였고 이의 개선을 통한 PDAT의 활용 및 제도화 방안으로써 특히 발주단계에서 PDAT의 결과 레포트를 활용하거나 PDAT의 적용프로젝트를 실적내역으로 점수화하여 평가기준으로 산입하는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앞선 연구내용과 방법, 결과를 네 가지 관점에서 정리하였다. 첫째, 기 수행연구를 기반으로 PDAT를 수립하였으며 둘째, 시범적용을 통해 효과를 검증하고 시스템 구조를 개선하였다. 셋째, PDAT 웹시스템을 구축하여 공공건축의 공익성 확보 및 홍보기반을 마련하였고 넷째, 공공건축지원센터의 역할에 따른 활용과 발주방식의 개선방안을 통해 제도화 방향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세 가지 향후 추진과제를 제안하였다. 먼저 웹시스템의 고도화 및 관련정보의 축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어진 연구 기간 및 예산, 그리고 아직까지 공공건축지원센터 등이 설립되지 못한 점 등을 이유로 홍보 및 활성화 도구가 되어야할 웹기반 시스템이 미완성으로 종료되었으나 PDAT의 실질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다양한 정보 컨텐츠를 보완하고 그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PDAT지표를 명확히 확립해야한다. 기 수행연구에 기반 하여 일반지표를 설정하였으나 시범적용과정에서 그 타당성에 대한 참여자간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누구나 수용가능한 객관적 지표 확립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보완될 필요가 있다. 더불어 다양한 유형의 공공건축물에 대한 기능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PDAT의 실효성을 검증할 시범적용을 지속하고 적용대상의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의 발주일정과 연구프로세스의 한계로 이미 발주되었거나, 준공된 건물들을 대상으로 시범 적용하였는데 이 경우 실제 PDAT가 적용되어져야 할 시점의 주요사안이 간과되거나 누락된 점이 있다. 건축물 발주 기획 단계부터 해당프로젝트의 여건, 예산현황, 계획적 요구사항 등이 지표에 반영되어 실효성 있는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으로써 기능할 수 있도록 시범적용을 지속하고 운영방법을 강구해 나가야한다.
요약2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regard the value of the public building design which connotes the quality of life and the identity of a residential area as the cultural and symbolic place. In this respect they recheck the reasons why the public building has a low-grade design compared with a private building, then give attention to find methods to improve it. In addition, they carry forward an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public architecture center to address the problems on the progress of the public building plan and operation. It has been trying to get strategies for the participation and assistance of people to establish this national public architectural center and to expand their roles in charge of the management on the design progress of the public building. Following this movement, this study aims for the development of a web system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 results in 2010, and improvement of the design quality indicator and management system for the public building by the supplement through example application workshop reports. Finally it would be suggested to institutionalize this. The first step for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operation state of the design quality indicator and management system in the public institution which had been introduced on the preceeding studies. It reviewed the effects of the DQI(Design Qualiy Indicator) as the trigger of this kind of study, PDRI(Project Definition Rating Index) of the US, the HPIS(Housing Performance Indication System) in Japan and also checked the characteristic of the ADEET(Architecture Design Evaluation& Enhancement Tool) of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and the KEBDI(Korean Educational Building Design Indicator) of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One notable point is that these all are focused on effectiveness and cost saving on the management for the design process and after construction. In this respect, it points out the problems of the systematic management program of the government office and then suggests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linked with the roles of the national public architectural center and building ordering system. PDAT(Participation Design Adjustment Tool) is also set up on the basis of the studies on design quality indicator and management system in 2009 and 2010. PDAT is composed after the frame structure of the preceding results, but it was modified on the indicator and operation method focusing the simplification of the system responding to the government management condition, and the value of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people including architects and users. Specifically it was corrected not only on the design indicator but also the questionnaires, result presentation graph to help the participant's understand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 As the result, it was suggested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PDAT based on this research defining the more economic and rational PDAT for the public building. PDAT consists of the indicator, participant, questionnaire, graph for the explanation and web system. It has the primary significance on the adjustment of these components and it could be modified by the master planner and coordinator. It also can be alternated the other way depending on the building types, ordering systems and characteristic of the projects. It is constructed flexibly so it could be adapted in every step of the building design. PDAT web system is offered through http://pdat.or.kr. It provides the information relating to the public building design and survey system to help people collecting the data and understanding the utilization quickly, and to the coordinator to use it as an effective tool for running the workshop. Most of all, it induces an interest and a voluntary participation of people in a design process for the public building, and it could be the database of that can be a reference for future projects. The example application was conducted twice by the workshop participating clients, architects, professors, users and a coordinator. The example projects were The Suwon Homesil public Library led by LH(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and The Mohyeon Library in Yongin city. The remaining problem,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PDAT, was double-checked by these example applications. Particularly, using the web system in there by reviewing the effectiveness of it, PDAT could get the validity to be the common system for the public building design. The importance of the systematic operation and the sustainable management in the public building design is increasing. Furthermore the enactment 'the framework act on building' and 'the architectural design standard' of the MLTM(Minister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intensified the development of this kind of web system. It is also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 in 2010 ' A study on the Design Quality of Public Buildings with Indicator Management System', However it has modified two components of this ; the structure of indicator and the system of the questionnaire. Those were reset by the result of the example application and the most important value of PDAT which should be the easy tool. 'The Framework act on Building' and 'the Architectural Service Promotion Act' set the foundation of an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public architectural center seeking the dignity and quality of the public buildings. The national public architectural center has the various roles to support the design process management, the building evaluation after construction and the reflux of the building function. PDAT could be the tool for the decision in these processes. Particularly, an effectiveness of the systematic operating role by the coordinator to draw the compromise between the participants was reinforced, and PDAT is corresponding with the role of the national public architectural center in each design processes. In addition, A plan was drawn up to institutionalize the PDAT relating the public building ordering system. It needs consideration on not only first construction cost but also the specific ordering plan including design capacity of architects and engineers for the cost saving and management based on the building's life-cycle. Specifically the small public building projects, those design costs under 200 million won. More attention is needed for the neighbourhood cultural facilities. The problems of the building ordering system lie on the indefiniteness of the resolute purpose and the analytic data shortage about the user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As a result,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re is no appropriate design for the public building order at the planning stage. In this way, this study examines the operation condition of the ordering system, and points out the problems of those, then suggests the institutionalization method of the PDAT through the improvement of it. For example, to use PDAT reports at the order planning stage or to apply it as an evaluation factor on the competition design proposal. In this part, it shows the result of this study at three points. In the first place the PDAT was setp up after the result of preceding researches and checked the effectiveness of it by the example applications. Secondly, it gave the validity to make the foundation of the publicity of the public building in the city, and made people recognize it. The third value of this study is on the suggestion of the utilization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which is connected to the national architectural center and ordering system. Three advices are mentioned on this study for the next steps based on those results. The first one is the sophistication of the PDAT web system and accumulation of the data on the Public building which were applied to this system. The web system in this study is still incomplete because of the restriction on the research period, costs and the absence of the national architectural center as the master for the management of the public building construction. More specific planning needs to be prepared to run the PDAT on the web site. Secondly, PDAT indicators should be supplemented. The PDAT indicator structure is composed of three components; common indicator for the universal public building, building type indicator and project indicator for the different characters of each projects. There was a dispute about this, and the meaning of it all through the workshop for the example application between participants, so it is necessary to recheck the contents of the indicator and establish an appropriate one. In addition another building type indicator should be developed.(It was restricted in this study on the library, community center, kindergarten.) Finally The examination by the example application to expand the building object range, to establish PDAT as an universal building design management system needs to be continued, The examples for application of this study have the limitation which couldn't be applied in the appropriate steps on the whole design processes because of the mismatch between research and ordering period; One is ordered on the design competition, the other construction was already completed, so the exact requirements couldn't be reflected for the building at the first design step. The task remains to get appropriate and diverse example applications, and it should be continued.
소장처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공공건축의 디자인 향상을 위한 디자인품질지표 개발 연구
김상호 ; 김영현 ; 이민우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8 (2009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설계 발주제도 개선방안 연구
염철호 ; 임유경 - 연구보고서(정책) : 2012 n.04 (201209)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공공청사 건축디자인 기준 설정 방안 연구
염철호 ; 임현성 - 연구보고서(기본) : 2010 n.2 (201012)
공공건축의 디자인품질 관리시스템 구축 연구
김상호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10 n.1 (2010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도시 공공공간 확보 및 질적 향상을 위한 공개공지 제도 개선방안 연구
이상민 ; 김영현 - 연구보고서(기본) : 2012 n.06 (201210)
건축서비스산업 진흥법의 제정방안 연구
유광흠 ; 진현영 ; 김혜련 - 연구보고서(정책) : 2011 n.03 (201110)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