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한옥활성화를 위한 신한옥 모델개발 연구(Ⅰ) / 한옥 생활공간 리모델링 매뉴얼 개발 / Developing Design Models for Revitalizing Hanok ( I ) - A Hanok Remodeling Guide to Living Spaces -
저자명 이강민 ; 이민경 ; 황준호
발행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수록사항 연구보고서(한옥), 2012 n.03 (2012-12)
페이지 시작페이지(1) 총페이지(27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신한옥 모델 ; 한옥 리모델링 ; 한옥 생활공간 ; Hanok Design Model ; Hanok Remodeling ; Living Space
요약1 최근 획일적인 아파트에 대한 비판과 우리 고유의 문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한옥이 새로운 건축유형의 대안으로서 급부상하고 있다. 한옥활성화를 목표로 국가적인 차원에서 다양한 사업과 지원정책을 행하고 있으며, 한옥의 산업화ㆍ대중화를 위한 한옥기술개발이 다각도로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한옥의 신축보다는 기존 한옥을 이용한 리모델링 수요가 더 많음에도 불구하고, 진행되고 있는 대부분의 사업과 연구는 신축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한옥의 정주환경 개선과 현대생활에 적합한 생활공간 마련을 통해 또다른 한옥의 수요를 창출 할 수 있는 방안으로 한옥 리모델링시 참고할 수 있는 실질적인 매뉴얼을 개발ㆍ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옥의 리모델링 경향을 분석해보면 대청의 내부화, 부엌의 입식화, 화장실의 내부화, 실의 확장 및 증축 등 생활방식에 따른 공간변화와 난방, 전기, 단열, 이중창 설치 등 성능향상을 위한 요구가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점들의 해결책에 대한 정보제공이 용이하지 않아 한옥에 대한 불편함, 추위와 더위에 취약함 등과 같은 고질적인 문제에 대한 개선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개선하여 기존 한옥에 거주하고자 하는 수요자들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연차별로 생활공간(방과 대청공간), 수공간(부엌과 화장실), 외부공간인 마당의 각 공간에 대한 리모델링 매뉴얼을 개발하고자 한다. 1차 년도에는 생활공간인 방과 대청공간에 주목하여 방과 대청공간이 가지고 있는 특징과 기능 및 성능에 따른 리모델링 매뉴얼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지칭하는 생활공간은 온돌을 사용하는 방과 마루로 이루어진 대청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공간 중 물을 사용하는 부엌과 화장실을 제외한 내부공간을 말한다. 신한옥은 한옥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한옥육성정책 및 사업이 추진됨에 따라 등장하게 된 개념으로, 명확한 기준은 없으나 현행법상에 나타난 한옥의 정의를 바탕으로 신기술의 접목 등 전통적인 한옥과 구별되는 특성으로 제시하고 있어 비교적 폭넓은 범위를 포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신한옥의 개념은 산업적 측면과 보급의 차원에서 신규 한옥만을 지칭할 것이 아니라 기존 한옥의 성능을 개선하고 거주자의 요구에 따라 변할 수 있는 보전적 측면 역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기존 한옥을 활용한 한옥활성화를 위해서는 리모델링이 진행되어야 하는데, 현행법상 리모델링의 개념은 현대건축에 맞춰진 것으로, 건축물의 노후화를 억제하거나 기능 향상 등을 위하여 대수선하거나 일부 증축하는 행위로 명명되어 있어, 한옥 리모델링 시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옥은 현대건축과 달리 부재 및 주요구조부의 부분적인 보수를 통해 건축물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절대적 건축연한에 따른 개선에 치우쳐져 있는 제도상의 개념의 적용에 무리가 따른다. 또한, 부재의 노후화 및 부식으로 인한 교체가 빈번히 발생되는 한옥의 특성상 한옥을 해체 보수할 경우 이에 따른 건축행위와 현행법 간의 불일치가 발생하는데, 주요구조부의 교체 및 전면 수선의 경우 개축의 범위까지 포함되는 건축행위가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어 개축 및 이축 등의 건축행위에 대한 범위 확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행하는 한옥 리모델링은 한옥의 생애주기에 걸쳐 한옥 및 한옥이 속한 주변 환경의 성능과 기능을 사용목적 및 시대적 상황에 맞게 유지ㆍ개선하는 일련의 행위로 정의 하였다. 방과 대청의 리모델링 개선요구를 살펴보기 위하여 한옥활성화를 위한 지원정책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서울과 전주의 한옥수선 등의 지원에 따른 심의자료(2007~2012) 25건(서울시 16건, 전주시 9건)을 바탕으로 도시한옥의 변용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현재 도시한옥의 현황을 분석해본 결과, 크게 물리적 요인으로 인한 주거성능의 저하, 사회적 요인에 의한 공간환경의 악화, 그리고 제도적 요인에 의한 불량건축으로 전락이 문제시 되고 있었다. 이는 높은 비용으로 인한 유지ㆍ관리의 문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현대건축에 초점이 맞춰진 현행법을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근본적인 원인으로 보여진다. 최근 한옥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인해 한옥 주거지의 보전을 위해 지원제도가 행해지고 한옥에 적합한 법안을 만드는 노력들을 행하고 있어 개선의 여지가 보이지만, 여전히 한옥의 지속적인 거주는 성능의 취약과 거주공간의 부족에 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옥의 사용현황을 보면, 가장 특징적인 변화가 전면에 문을 달아 완전한 내부의 실로서 기능을 하고 있는 것이다. 과거에 대청이 여름철 시원함을 주어 한옥의 장점으로 언급되었던 반면 현대에 와서는 대중화 된 주거형태인 아파트에 대비되어 춥다는 문제를 야기시키게 되면서 나타나는 경향이다. 기능의 요구에 따라 변화된 대청의 사용현황을 살펴보면 크게 전통방식의 대청으로 사용, 현대의 거실로 사용, 부엌과 식당을 겸용한 거실(LDK형)로의 사용, 안방의 확장 또는 서재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생활방식의 변화와 생활용품의 증가로 인해 나타나는 거주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능 변경을 하고 있는 것이다. 방은 그대로의 용도를 유지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생활물품의 증가로 인해 한칸 규모의 방을 확장하거나 배면 또는 측면으로 증축하여 수납공간을 확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성능상의 문제로 요구되는 사항으로는 누수로 인한 지붕의 구조체 교체와 방수공사, 홈통 및 빗물받이 설치, 목재부식으로 인한 부재교체와 기와교체, 추위로 인한 벽체의 단열공사와 창호공사, 그리고 바닥의 난방공사와 전기ㆍ조명ㆍ냉방기 등의 설비공사가 나타났다. 가장 많은 리모델링이 이루어진 것은 창호공사로 대청의 내부화를 위하여 전면에 창호를 달아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한옥이 본래 단창의 목재창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기밀성이 확보되지 않아 추위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또한, 목부재의 특성상 노후화로 인한 부재교체와 실의 내부화에 따른 바닥난방의 설치, 그리고 전기공급에 따른 전기설비, 조명설치, 냉방기 설치 등의 공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한옥의 리모델링은 대부분 성능향상을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렇다보니, 기능상의 문제가 해결되지 못해 사용하는데 취약점을 들어내기도 하고 단순히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옥이 가지고 있는 특징도 무시한 채 난무한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사례가 많다. 이는 열악한 경제능력에 따라 나타나는 문제이기도 하지만, 한옥의 리모델링에 대한 정보나 사례를 접할 수 있는 참고자료가 마련되어있지 않는 것도 큰 이유로 보여진다. 본 장은 매뉴얼을 구성하는 내용으로 3장에서 제시된 문제점의 해결 방안으로, 현재 한옥의 사용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사례들을 중심으로 한옥의 현대화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한옥을 하나의 새로운 주거유형으로 자리매김 하기 위해서 한옥의 리모델링 시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한 개선방향을 제안한다. 첫째, 한옥이 가지고 있는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계획, 둘째, 한옥의 입면을 고려한 디자인 계획, 셋째, 한옥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기능을 고려한 계획, 위의 사항을 바탕으로 크게 계획적 측면과 성능적 측면에서의 대안제시를 하였다. 계획적 측면에서는 수납공간의 설치 방안으로 바닥, 벽체, 선반, 상부공간을 이용한 수납방안과 현관의 설치와 신발장 설치 그리고 거주면적의 확장 및 증축으로 지하공간과 다락공간을 활용한 방안에 대한 제시를 하였다. 성능적 측면에서는 바닥의 난방과 단열성능 확보, 누수방지 방안과 방범, 그리고 조명 및 전기설치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옥 생활공간의 리모델링 매뉴얼은 한옥수요자를 위한 핸드북의 성격으로 방과 대청을 현대생활에 적합한 공간으로의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에 대하여 소개하고, 실제 적용된 사례를 담아 한옥의 거주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한옥에 입주하고자 하는 거주자가 리모델링 계획 시 한옥이 가지고 있는 장점과 특징을 고려하여 대청의 공간 기능설정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사례를 통해 아이디어를 얻고 제품의 성능과 특성을 감안해 취사선택하는데 도움을 준다. 매뉴얼의 활용주체는 한옥거주에 관심있는 일반인이 주요 대상이고, 그 외에 한옥지원사업을 진행 중인 지차제 공무원, 그리고 한옥관련 실무자 등이다. 매뉴얼의 구성은 크게 소개편, 기능편, 성능편, 그리고 제품정보 4부분으로 되어 있다. 첫 번째 소개편에서는 생활공간(대청과 방)의 의미와 공간에 대한 특징을 소개하였고, 두 번째 기능편에서는 방과 대청이 현대에 들어와 요구된 수납공간의 활용, 공간의 증축, 현관 및 신발장의 설치에 대한 방안을 적용된 사례사진과 도면을 통해 제시하였고, 거주자의 생활방식에 따른 생활공간의 사용현황을 사례와 3d모델링을 통해 기술하였다. 세 번째 성능편에서는 한옥의 건축구성 요소별(바닥, 벽, 지붕, 창호)로 단열, 난방, 전기설비, 유지관리 등에 대한 방안제시를 단면도와 상세도, 공사의 방법과 시공순서를 기술하고 이에 대한 장ㆍ단점을 통해 각각의 방법에 대한 성능비교표를 제시하였고, 마지막으로 마감재료에 대한 제품의 종류와 특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한옥을 활성화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연구를 목표로, 기존 한옥의 정주환경 개선과 더불어 현대생활에 적합한 생활공간으로 변경하기 위한 한옥 리모델링 시 참고할 수 있는 실질적인 매뉴얼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물인 “한옥 생활공간 리모델링 매뉴얼”은 한옥 리모델링 시 참고할 수 있는 계획적 아이디어와 기술적 방안을 다양한 사례와 도면 그리고 3d 모델링과 함께 제시되는 것으로, 생활공간을 시작으로 수공간(부엌과 화장실), 그리고 마당공간에 대하여 연차별로 한옥 리모델링 매뉴얼을 개발ㆍ보급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기대할 수 있다. 기존 한옥의 보전 및 활용을 유도하고, 한옥에 거주하고자 하는 수요층에게 적극적인 리모델링 방안을 제시하여 수요층을 확보하도록 한다. 또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한옥의 보전 및 활용을 위한 지원사업을 추진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한옥이 우리의 건축자산으로서 보전 및 활용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고 그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새로운 주거유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요약2 The research is a plan to create demand for Hanok by improving settlement environment of deterioration of Hanok and providing a suitable living space in modern lif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develope and propose an effective manual(handbook) as a reference at Hanok remodeling. In analysing tendency of Hanok remodeling, two parts are requested to be requested. One is spatial changes by modern lifestyle such as internalization of Daechung(main floored room), standing kitchen, inner bathroom and expansion or extension of rooms. The other is a performance advancement such as warming, electricity, insulation and installing double window. However, improvement of negative recognitions related to Hanok such as inconvenience and weakness in the heat and the cold has not fulfilled readily because of insufficient information offered to solve the problems. To improve the problems and provide substantive information that copes with requests of consumers who desire to live in Hanok, the research builds a remodeling manual annually for a living space(room and Daechung), water space(kitchen and bathroom) and each spaces of a yard. In the first year, the research focuses on living space that consists of a room and Daechung space. A remodeling manual that contains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a room and a Daechung is prepared. Hanok formed the spatial characteristic that connects a building and a yard, and the floor system that is composed of Ondol and a wood floor. A living space mentioned by the research is inner space that includes a room made from Ondol and a main hall from wood floor except water space, kitchen and bathroom. Current Hanok remodeling projects at Seoul and Jeonju-si where policy support is enacted actively are reviwed to examine improvement requirements for remodeling of living space. The most distinguishing transition of Hanko is to change Daechung into inner space completely by putting doors on the front space of the main floor. The reason why this tendency become popular is that while the advantage of the main floor of Hanok was to give the cool in summer season in the past, the cold has been aroused as one of problems of Hanok to compare to apartment that become popular housing style in the present. In examining the use of internalized space of the Daechung, it is used as a main floor in traditional way, a livingroom of modern style, a livingroom combined kitchen and diningroom(LDK form), expansion of a main room, and a study room. This transition occur in order to secure dwelling space in terms of change of lifestyle and increase in household items. In examining the use of rooms, the main functions as a room is maintained, but a suite of rooms is transformed to one room, or it is used as storage space by expansion or extension to the back or the side mostly. The required items for functional problems are structural change and water proofing of corroded lumber occurred by water leak and vermin damage, drainpipe and drip box installation, deteriorated roof tile and soil replacement, insulation and window work to prevent the cold, heating work of a floor, and equipment work including electricity, lighting and a cooler. The most frequent remodeling work is the window and door replacement. One of the main reasons is internalization of the main floor that requests door to be put at the front of the main floor. It is vulnerable to the cold by unsecured air tightness because Hanok is composed by one pane wooden windows. In addition, member of framework change due to deterioration by characteristic of wood, heating work of a floor according to internalization, and installation of electricity, lighting and a cooler are fulfilled. These days, most of Hanok remodeling works put its purpose on performance improvement. Consequently weak points are emerged for unsolved functional problems, and rampant construction works are in progress to resolve problems simply with disregarding characteristics of Hanok. The problems are caused by inadequate financial condition, but a bigger reason is an absence of prepared reference data that help people to get information and examples about Hanok. The research suggests improvement directions for Hanok remodeling considering factors as follows to turn Hanok into a new housing typology. First, plan that takes account of spatial features of Hanok, Second, design plan that takes account of facade of Hanok, Third, plan that takes account of function to make better use of a Hanok space. The remodeling manual of Hanok's living space is a kind of handbook that introduces various way to use rooms and the Daechung as suitable space in modern lifestyle, and induces residences of Hanok by containing applied real cases. If residents who want to live in Hanok have a remodeling plan, the manual provides specific measures to improve functional set-up of space and performance by considering advantages and features of Hanok. Also, the manual helps the residents to choose Hanok according to real cases and performance and characteristics of products. The main agents using the manual are ordinary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Hanok living. Other agents are public officials of local governments that proceed supporting projects of Hanok, and executives who are related with Hanok business. The manual consists of four chapters in large - Introduction, Planning, Performance, and Product Information. In the first introduction chapter, it explains meanings of rooms and Daechung as living space, and characteristics of space. In the second planning chapter, it shows applied alternations through case photographs and blueprints of utilization of storage space for rooms and Daechung that is requested in the present, expansion of space, installation of a main gate and a shoe rack. In addition, it describes a current situation of living space by lifestyle of residents, and 3D modeling. In the third performance chapter, it explains measures about insulation, heating, electrical installation and upkeeping by building elements(floor, wall, roof, and windows and doors) of Hanok through a ground plan, a cross-sectional diagram, a detail drawing, a execution method, and a construction order. Then, it suggests a performance comparative table for each method by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it. In the last product information chapter, it provides information about features and kinds of finishing materials.
소장처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자료] 한옥의 설계와 시공기법
김도경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6(통권 61호) (2008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논문] 한옥 설계의 최근 경향 연구
이주옥 ; 한필원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1 n.1(통권 80호) (201202)
[특집] 친환경 건축물의 개념 및 계획 방법
윤종호 - 건축환경설비(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지) : v.1 n.2 (200710)
[특집] 현대건축(現代建築)과 한옥(韓屋)의 결합(結合) 가능성
김용미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53 n.09 (200909)
한옥활성화를 위한 신한옥 모델개발 연구(2)
이강민 ; 여혜진 ; 이민경 ; 구본현 - 연구보고서(한옥) : 2013 n.07 (201312)
현대건축에 나타난 신한옥 계획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완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8 n.3(통권 74호) (200906)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현대 거주공간으로서 도시한옥의 가능성 제안에 관한 연구
허혜림 ; 임종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3 n.5(통권 46호) (200410)
한스타일 공공건축물 공급 방안 연구
이강민 ; 옥채원 - 연구보고서(한옥) : 2011 n.04 (20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