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마을 만들기를 통한 공동체 성장과정 연구 / 성북구 장수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Growth of Community through Maeul-mandeulgi: Focused on the Jangsu Village, Seongbuk-gu
저자명 여관현
발행사 한국도시행정학회
수록사항 도시행정학보(한국도시행정학회 논문집), v.26 n.1 (2013-03)
페이지 시작페이지(53) 총페이지(35)
ISSN 15988686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마을 만들기 ; 공동체 성장 ; 장수마을 ; 커뮤니티 공간 ; 주민모임//Maeul-mandeulgi ; Growth of Community ; Jangsu Village ; Community Space
요약1 본 연구는 성북구 장수마을을 사례로 마을 만들기에서의 공동체 성장과정을 살펴보고 마을 만들기에서의 공동체 회복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서 공동체 성장과정을 참여활성화 단계, 공동체성구비 단계, 준주민자치적 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장수마을에서 진행되고 하는 마을 만들기의 다양한 프로그램들은 마을공동체 형성에 기여하고 있었다. 또한, 공동체 성장단계에 근거한 장수마을 만들기의 다채로운 프로그램들을 살펴보면 결과, 마을 만들기에서의 공동체는 반드시 시간적 흐름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형성 또는 성장되는 것은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을 만들기에서 공동체 형성의 시사점은 4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마을의 작은 관심과 참여, 그리고 마을의 공통된 문제의식을 통해서 공동체가 형성될 수 있었다. 즉, 주민들의 작은 관심과 실천이 장수마을에서 공동체를 형성하도록 작용하는 매개체로 작용하게 되었다. 둘째, 주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공동체를 회복하고 성장시킬 수 있었다. 마을 만들기를 실천함에 있어서 실제로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고 관여할 수 있는 주민참여 프로그램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마을 만들기에서 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주민들이 함께 교류할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이 필요하다. 마을 만들기에서 공동체 형성은 주민과 함께할 수 있는 공간적인 부분이 필요하다. 넷째, 마을 만들기에서 공동체는 다양한 주민모임을 통해서 형성되고 있었다. 장수마을 사례에서도 주민들은 여러 형태의 소모임을 만들고 주민들 간에 소통과 상호교류를 가지면서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소모임을 통한 공동체 형성은 점점 소모임 이상의 활동들로 확장됨으로써, 마을 주민들의 참여와 결집력이 증가되었고 그에 따라서 공동체가 성장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요약2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growth of community through Maeul-mandeulgi in case of Jangsu village and then looking for policy implications of community recovery. This paper was classified to three steps in order to find a mechanism process about growth of the community.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for growth of community methods in the Maeul-mandeulgi: First, the community could be formed through the village of small interest, participation, and a common awareness of issues in the village. Second, the community was able to grow and recover through the residents participate programs. Third, it is need the community space in order to form a village community where residents can interact with. Fourth, the community was confirmed through the several residents meeting and small groups in the Maeul-mandeulgi. And it was increasingly extended to the villages through a small group of community activity.
소장처 한국도시행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마을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소규모 커뮤니티 공간 디자인
김철중(Cheoljoong Kim) ; 유석환(Seoukhwan 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2 No.05 (201710)
[특집] 커뮤니티의 관점에서 본 마을만들기
정재희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56 n.06 (201206)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주민참여 마을만들기 계획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
신중진(Shin Joong-Jin) ; 신효진(Shin Hyo-J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2 (20080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