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동적 변환행렬을 이용한 에이전트 기반 보행경로 모델의 개발 / Development of Agent-based Pedestrian Path Model Using Dynamic Transition Matrix
저자명 권지훈
발행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v.15 n.03 (통권54호) (2013-06)
페이지 시작페이지(57) 총페이지(8)
ISSN 1229-5752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보행자 ; 변환행렬 ; 에이전트 ; 경로모델 ; Pedestrian ; Transition Matrix ; Agent ; Path Model
요약1 보행행위는 건축공간에서 다양한 이용특성의 출현을 가능하게 하는 기본적인 요소이다. 이용자의 공간인지 범죄자의 이동, 희생자의 탈출 및 방재안전 관련 피난은 이용자 행태를 반영하고 구축된 공간의 조건에 반응하는 보행경로를 발생시킨다. 축선도 분석이나 VGA 기법은 선행 연구에서 분석적인 모델과 함께 제안되었고 시험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기법들과 모델들은 단지 구축된 공간의 정적인 조건만을 고려하고 보행경로의 개별적이고 국지적인 변화를 탐색하지 않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행 에이전트의 적용과 함께 동적 변환행렬을 이용하는 보행경로 모델의 개발에 있다. 또한 보행경로 모델의 구현은 구축된 조건의 고려, 공간 구성, 보행자의 시지각 및 다른 보행자의 위치를 정량적 모델링 과정의 변수로 포함하였다. 다수의 보행자를 고려하며 개발된 모델의 적용은 개별적이고 국지적인 보행경로를 제시하였다. 그 적용은 또한 제안된 변수요소와 종합된 모델의 분석적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요약2 Pedestrian behavior is the basic element enabling the appearance of various usage characteristics in architectural space. User's spatial recognition, criminal's movement, victim's escape and the evacuation process in fire life safety generate walking paths reflecting user behavior and responding condition of built environment. Axial map analysis and VGA method have been suggested and tested with analytical models in precedent researches. But, these methods and models only consider static conditions of built environment, and do not consider dynamic pedestrian behavior. In addition, these studies produce analysis result for visit frequency, and do not examine individual and local changes of walking path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development of agent-based pedestrian path model using dynamic transition matrix with application of pedestrian agents. The implementation of pedestrian path model also included the consideration of built conditions, spatial composition, pedestrians` visual cognition and other pedestrians' locations as the variables in quantitative modeling process. With considering multiple pedestrians, the application of developed models showed individual and local pedestrian paths. It also provided the analytical feasibility of the suggested variable components and the combined model.
소장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스크랩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