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1930년대 말 서울의 양관에 대한 연구 / 한인 건축가가 설계한 3채를 중심으로 / The Western-Style Mansions in Seoul in the Late 1930's - Focusing on Three Mansions designed by Korean Architects -
저자명 허유진(Huh, Yoo-Jin) ; 우동선(WooDon-So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9 n.7 (2013-07)
페이지 시작페이지(181) 총페이지(8)
ISSN 12269093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서울 ; 양관 ; 양풍 ; 서양식 ; 한옥 ; 저택 ; 주거 ; 건축가 ; 이준구 ; 김성준 ; 전용순 ; 최창학 ; 김세연 ; 박길룡 ; 박인준 ; 1930년대//Seoul ; Western-Style ; Mansion ; House ; Hanok ; Dwelling ; Architect ; Lee Joon Gu ; Kim Seong Joon ; Jeon Yong Soon ; Choi Chang Hak ; Kim Se Yeon ; Park Kil Yong ; Park In Joon ; 1930's
요약2 It is evident that certain mansions built in the 1910's for the Korean aristocrats in Seoul designed by foreign architects were used for receptions instead of functioning as regular dwellings. Only in the late 1930's were Korean architects able to start designing the western style mansions adapted to the actual Korean locality. The three mansions studied in this research show in plan that kitchen and annexe spaces are applied to the western style mansions. They are characterized by using 'the three-bay layout with a vestibule' or 'the two-bay layout with a hall' instead of using 'the central corridor type' derived from the Japanese houses of the 1930's. It is also noteworthy to examine how the traditional dwelling Hanok were attached to the western style mansions. In general, Hanok was connected to the western style mansion with a separate corridor while the Japanese house was directly attached to the western style mansion. Both of Hanok and Western style mansion were used for dwelling. Commonly, this double way of life with Hanok has been considered pre-modern. These three cases were, however, not relevant to the modernization though built in the late 1930's. It was rather a matter of clients' taste or architects' choice.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논문]덕수궁 정관헌(靜觀軒)의 원형, 용도, 양식 재고찰
허유진(Huh, Yoojin) ; 전봉희(Jeon, BongHee) ; 장필구(Jang, PilGu)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ol.27 No.3(통권 118호) (201806)
근대건축물 활용을 통한 지역활성화 방안 연구
권영상 ; 심경미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5 (200912)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석고전(石鼓殿)의 마지막 이건과 소멸
허유진(Huh, Yoojin) ; 전봉희(Jeon, BongHe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1 No.04 (201504)
박길룡의 초기 주택개량안의 유형과 특징
김명선(Kim Myung-S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7 n.4 (201104)
[논문] 도시형한옥 주거지의 블록구획과 주거평면의 관계에 관한 연구
오우근 ; 서현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2 n.3(통권 88호) (201306)
과학운동과의 관계에서 본 박길룡의 주택개량론
우동선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17 n.5 (200105)
근대기 목조 지붕트러스 부재의 접합부에 관한 연구
박광현(Park Kwang-Hyun) ; 김태영(Kim Tai-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10 (200910)
가회동 177-1번지 저택에 대하여
우동선 ; 허유진 -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205)
[자료] 기념물과 사적지의 보존, 복원을 위한 국제헌장(베니스헌장) 1964
박소현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1(통권 56호) (20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