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노후경사지 주민의 주거요구와 정비방식 선호에 관한 연구 / 수도권지역의 소득계층에 따른 분석을 중심으로 / Deteriorated Hillside Residents' Needs and Preferences for Housing Estate Regeneration According to Level of Household Income - Focused o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
저자명 노세희(Noh, Se-Hee) ; 장한두(JangHan-Doo)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9 n.8 (2013-08)
페이지 시작페이지(13) 총페이지(12)
ISSN 12269093
주제분류 도시 / 계획및설계
주제어 경사주거지 ; 주거지 정비 ; 주거만족도 ; 선호도 ; 주거요구 ; 저층주거지 ; 소득계층//Hillside Residence ; Housing Estate Regeneration ; Residential Satisfaction ; Preference ; Housing Needs ; Low-Rise Residential Area ; Level of Household Income
요약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using needs and preferences for housing renewal among residents in deteriorated hillside according to level of household income. A cross-sectional survey was used and the data were collected in February 2012. Participants were 1,746 residents who had lived in hillside or flat areas in Seoul, Korea. Residential satisfaction, housing needs and preferences for housing renewal, and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level of household income were survey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by level of household income as lowest-income class, low-income class, and middle-income clas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One-way ANOVA and Regression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Major satisfaction factors were different among income level groups in hillside residents. Community facilities and the parking condition in lowest-income group, supporting facilities in low-income group, and economic efficiency and safety in middle-income group were the major factors. Lowest-income residents in hillside preferred to promote housing renewal projects and regulatory support system than residents in flat area. These results may be useful to plan hillside neighborhoods and house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improve the design guidelines and to reform regulations for practical designing.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전문가 조사를 통한 경사주거지 경관개선을 위한 설계요소와 정비방향 도출에 관한 연구
김민주(Kim, Min-Ju) ; 노세희(Noh, Se-Hee) ; 장한두(Jang, Han-D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9 n.5 (201305)
경사지의 지형특성에 적합한 경사지주택 개발 계획
현택수 - 한국농촌건축학회 논문집 : v.14 n.1 (201202)
[논문] 거점확산형 주거환경개선사업의 경사지 거점개발에 대한 지원방안
이창호 ; 백혜선 ; 조원경 - 국토계획 : v.45 n.7(통권 181호) (201012)
경사지를 활용한 집합주택 단위주거의 유형에 관한 연구
신상용 ; 김형우 -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9 v.2(추계) (200911)
경사지 활용 저층 집합주택의 개발가능성과 경사도별 모델 제안
이현진 ; 양우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20 n.1 (200902)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부산 감천2동 경사지 마을의 특성에 관한연구
하남구 ; 우신구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31 n.1(계획계) (201104)
기성주거지 공간관리수요변화에 대응하는 정비방식 다양화 방안
서수정 ; 임유경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7 (200912)
노후불량 경사주거지의 경관을 고려한 계획기법 도출에 관한 연구
윤형두 ; 장한두 -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1 v.2(추계) (201111)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2 (20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