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고로슬래그 발생 및 활용 현황 / Generation and Recycling of Blast Furnace Slag / session 10 : 특별세션 (고로슬래그 미분말 사용 콘크리트 특성 및 적용사례)
저자명 김헌덕 ; 진수종 ; 김동현
발행사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수록사항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13 n.2 (2013-11)
페이지 시작페이지(219) 총페이지(3)
주제분류 재료
요약1 고로슬래그는 철강공정에서 발생되는 대표적인 부산물로 우리나라의 고로슬래그 발생량은 연간 1,390만톤 수준이며 78% 정도가 시멘트 재료로 활용되고 있다. 고로슬래그의 발생량은 점차 증가되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발생량 증대에 맞추어 신규 용도를 개발하는 한편 고로슬래그의 장점을 극대화하여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한 연구개발이 꾸준히 진행되었다. 최근에는 알칼리 자극재를 이용하여 시멘트 내 고로슬래그의 활용량을 증가시키고 무시멘트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연구가 진행되는 한편 콘크리트용 골재로 활용하기 위한 시도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고로슬래그는 고온의 용광로에서 형성되어 환경호르몬, 다이옥신과 같은 유해물질이 없고 크롬 납 등 유해중금속이 용출되지 않는 자원순환형 재료라 할 수 있다. 또한 천연자원을 보전하는 동시에 에너지, CO2를 저감할 수 있는 환경친화형 재료이다.
요약2 Blast Furnace Slag(BFS) is by-product in steel making process. Generation of BFS in 2012 is 13.9 Mton and about 78% is used as a cement material. The increasing amount of slag in the trend, thus many researchs and developments of BFS are in progress. Recent research is focused on increasing BFS ratio in cement binder using alkali activator and application of BFS as aggregate of concrete. BFS has no harmful substances such as dioxin and heavy metals because it formed in a high temperature furnace. And BFS is environment-friendly material since it can save natural resources, energy and CO2.
소장처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국내 고로슬래그의 발생현황 및 재활용 전망
조봉석 ; 이훈하 ; 김규용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지 : v.7 n.3 (201209)
철강슬래그 발생 및 재활용 현황
전장곤 ; 진수종 ; 김동현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지 : v.8 n.1 (201303)
고로슬래그 및 슬래그시멘트 사용 현황과 전망
김헌덕 ; 안중철 ; 김동현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 v.14 n.1 (201404)
[특집] 제강슬래그의 특성과 재활용 현황
김원기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지 : v.9 n.2 (201406)
[특집] 제강슬래그 골재의 제조 및 활용 현황
김진만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56 n.08 (201208)
[특집] 제강슬래그의 발생현황 및 활용전망
최재석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56 n.08 (201208)
[특집] 고로슬래그 미분말 제조 및 활용 현황
이강진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56 n.08 (201208)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고로슬래그를 활용한 건자재 개발
이상수 ; 박선규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지 : v.7 n.3 (201209)
[특집] 고로슬래그의 발생현황과 사용전망
김원기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56 n.08 (20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