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서울 서촌의 매력도 분석을 통한 장소만들기 연구 / Research on Place-making by Seochon in the Seoul through the Urban Attractiveness Analysis / 제2분과 : 경관계획 방법론 분과
저자명 박수지 ; 김한배
발행사 한국경관학회
수록사항 한국경관학회 학술발표대회, v.2010 n.2 (2010-11)
페이지 시작페이지(66) 총페이지(14)
주제분류 도시 / 계획및설계
주제어 도시경관 ; 비 물리적 ; 매력도 ; 현상학 ; 장소성 ; 진정성 ; 장소만들기 ; Urban Landscape ; Phenomenology ; Site-specificity ; Authenticity ; Place Making
요약1 도시 경관에서는 물리적인 환경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생활에서 느끼는 분위기를 포함하는 비 물리적 이미지가 정체성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로서 부각된다. 지금까지 도시 및 경관계획의 실증적 사례는 도시경관에 있어서 물리적인 부분의 개선에 대해 한계점을 나타냈고, 최근 계획적 차원에서는 도시이미지를 구축 및 강화하는 전략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관점은 자연경관과 더불어 비 물리적인 요소를 부각시킴으로써 가능하며, 장소에서 정체성을 찾아내고 이를 실현시켜 이어나가게 할 수 있는 방안은 '장소만들기'로서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서촌 지역을 대상으로 도시의 매력도 분석 방법 요소를 형태, 활동과 의미, 차별성의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경관계획에 적용될 수 있는 장소만들기의 실제적 실행 방법을 연구하였다. 그 후 북촌과의 비교를 통해 서촌이 가지는 잠재력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경관관리의 기본 방향을 제시한다. 이는 장소성에 근거한 도시공간 구현을 위한 세부 항목별 추진 방안이 될 수 있으며, 또한 경관적 차원에서 역사문화자원과 지역의 문화재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안까지 고려될 수 있다.
요약2 In urban landscapes, as well as the physical environment, including the lives of people feel in the atmosphere to form a non-physical identity of the image is emphasized as an important factor. Until now, practical cases of urban and landscape planning in the urban landscape for the improvement of physical parts showed the limitations of recent building and planning level, the urban image is focused on strategies to strengthen. With this perspective, the natural landscape by elevating non-physical element is possible, Empowering them in place after finding out the identity of the ways to 'place-making' as is possible. In this study, the target area of the city of Seoul seochon attractive form element analysis methods, activities and means of discrimination are classified into 3 types of landscape planning can be applied to the actual practices of place-making has been studied. Then two kinds of Bukchon seochon by comparing it with the potential to analyze the problem and suggest the general direction of landscape management. This is a place for the implementa- tion of urban space based on the detailed results of measures can be promoted and also in terms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scenic areas that can increase the value of the cultural plan has to be considered.
소장처 한국경관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서촌의 장소정체성 연구
정윤희 ; 권윤구 ; 변재상 ; 최형석 ; 임승빈 - 한국조경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201210)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서울 서촌지역 골목의 형태 유형 및 특성 분석
서귀숙(Suh, Kuee-Sook)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ol.26 No.4 (201508)
서울 서촌(西村) 문화지구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최샛별 ; 박소현 -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일반인세션 (200904)
서촌의 장소성을 담고있는 골목 도서관 계획안
안치원 ; 김민지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6 No.2 (201610)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논문]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최강림 ; 이승환 - 국토계획 : v.44 n.2(통권 169호) (20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