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근대건축물 활용을 통한 도시재생계획 비교분석 연구 / 서울특별시 정동과 명동일대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Urban Regeneration Plans Through Modern Architecture - With the Focus on Jeongdong and Myeongdong in Seoul, Korea -
저자명 조인성 ; 오상묵 ; 천득염 ; 오세규
발행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v.16 n.01 (통권59호) (2014-02)
페이지 시작페이지(65) 총페이지(10)
ISSN 1229-5752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근대건축물 ; 재생계획 ; 보존 및 활용 ; 근대문화유산 ; 도시재생 ; Modern Building ; Regeneration plan ;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 Modern cultural heritage ; Urban Regeneration
요약1 본 연구는 정동과 명동지역의 근대적 도시조성배경을 분석하고, 이로 인해 나타나는 근대건축물 활용을 통한 도시재생계획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지역의 근대도시의 조성배경에서는 차이가 나타났고 이는 다시 재생의 주체와 방향, 계획 방식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정동은 외국인 사절단이 거주하였던 지역으로 주로 공공시설과 교육, 종교시설로 이루어져 있 어 대다수의 건축물들이 문화재로 등록되어 있는 반면, 명동의 경우에는 일본인들의 거주지역으로 식민통치 시설이나, 상업시설로 대다수의 건축물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지 않으며, 훼손되거나 멸실되었다. 둘째, 근대건축물 재생방식은 정동의 경우 기존 공간에 덧붙이는 방식으로, 명동의 경우 내부 공간의 기존 틀 안에서 적극적인 변경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재생되었다. 재생의 주체는 정동은 서울시가 주축이 되어 진행 한 반면, 명동은 민간기업이나 문화예술단체의 움직임으로 시작하여 민과 관이 같이 추진하였다. 셋째, 도시재생계획에서의 차이점을 분석해보면, 정동의 경우 건물의 전면공지나 공개공지가 조성되어 있어, 건물의 수평적인 확장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에 반해 명동의 경우에는 상업시설들로 혼재되어 있는 지 역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건축물이 소규모의 필지를 갖고 있으며, 토지의 확보나 수평적인 확장이 어려운 상태이다. 따라서 수직적인 확장을 하거나, 주로 건물 1층부를 개방적인 공간으로 계획하는 방법을 사 용하였다.
요약2 This thesis analyzes the establishment of modern city in Jeongdong and Myeongdong, and examines the difference in the urban regeneration planning through modern architecture.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construction of modern city in these two areas has different history, which consequently has influenced on the agents, direction and planning style of regeneration. Populated by foreign delegations, Jeongdong is constructed with public, educational and religious facilities most of which are registered as cultural sites whereas Myeongdong, once populated by Japanese, has governmental facilities of Japanese occupation and commercial facilities most of which are not registered as cultural sites and in many cases damaged or destroyed. Second, Jeongdong is regenerated by adding on the existing space whereas Myeongdong is regenerated by drastic changes within the frame of existing space. The regeneration of Jeongdong is led by the city of Seoul whereas that of Myeongdong is led by private corporations and cultural organizations supported by both the government and citizens. Third, in terms of difference in the regeneration plans, horizontal expansion of architecture is possible in Jeongdong as it has front and public open space. On the contrary, Myeongdong has difficulty in securing the land and horizontally expanding as it is located in the commercial area composed of buildings that have small lots. Therefore, it has implemented the plans that expands vertically and uses the first floor as open space.
소장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근대건축물 활용을 통한 지역활성화 방안 연구
권영상 ; 심경미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5 (200912)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논문]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최강림 ; 이승환 - 국토계획 : v.44 n.2(통권 169호) (200904)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근대 건축의 가치를 반영한 리노베이션과 보존에 관한 연구
최상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3 n.1(통권 102호) (20140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Special Project] 시애틀 중앙도서관
편집부 - 월간 건축문화 : No.292 (20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