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한옥활성화를 위한 신한옥 모델개발 연구(2) / 한옥 물사용서비스공간 리모델링 우수사례 / Developing Design Models for Revitalizing Hanok(2) - Kitchen, Bathroom and Other Facilities -
저자명 이강민 ; 여혜진 ; 이민경 ; 구본현
발행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수록사항 연구보고서(한옥), 2013 n.07 (2013-12)
페이지 시작페이지(1) 총페이지(47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신한옥 우수사례 ; 한옥 리모델링 ; 한옥 물사용서비스공간 ; Hanok Remodeling ; Kitchen ; Bathroom ; Other Facilities
요약1 주거양식의 변화에 따라 한옥에서의 물사용서비스공간(부엌, 화장실, 다용도실, 보일러실) 개선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흔히 물을 사용하는 서비스 공간은 나무와 흙을 재료로 하는 한옥의 약점으로 지적되어 왔으나, 최근 건축되는 한옥들에서는 생활의 입식화·내부화에 따른 공간 개선 및 설비·성능 보완에 대한 해법이 상당히 발달한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한옥에서 현대적 변용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공간인 주방, 화장실, 다용도실, 보일러실 등을 물사용서비스공간으로 정의하고, 리모델링의 모범적인 사례를 조사하였다. 한옥의 품격을 유지하면서 현대의 삶을 수용한 한옥 리모델링 우수사례에 대해 사진 및 도면 등 시각자료와 건축가의 의도 및 개선사항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현재 한옥 거주자에게 거주환경 개선에 대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일상적으로 물을 사용하게 되는 '주거용 한옥'으로 대상을 한정하여 한옥 리모델링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서울시 한옥밀집지역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사례분석을 통해 한옥 물사용서비스공간의 리모델링 현황을 파악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디자인, 구조. 시공상의 특징과 실제 공사과정의 기술적·계획적 방안을 제안했다. 이용자 중심의 한옥 리모델링 우수사례 분석을 통해 기존 한옥의 거주환경 개선 및 한옥에 대한 인식 변화를 도모하고 한옥에 거주하고자 하는 수요층에게 리모델링 방안에 대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한옥 수요의 실질적인 증대를 기대하였으며 나아가 한옥 수선 지원 기준 마련 및 법제도 개선의 기초자료로 활용함으로써 한옥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했다. 2장에서는 대지면적이 90㎡이하인 초소형 한옥의 물사용서비스공간 리모델링 사례를 살펴보았다. 사례1의 대지면적은 82.6㎡이고, 건축면적은 48.84㎡으로 좁지만 한옥의 기능을 자유롭게 사용한 사례로 꼽힌다. 사례2의 대지면적은 86.0㎡이고, 건축면적은 49.2㎡으로 적은비용으로 생활공간으로서의 한옥을 리모델링한 사례이다. 초소형 한옥 사례들은 리모델링을 통해 작지만 질서와 기품이 있는 공간으로 변화하였다. 생활의 편의를 위해 한옥의 공간을 수직적으로 활용하였으며, 처마 밑 공간을 활용하여 공간을 확장하였다. 또한 현대적 설비와 디자인을 과감히 도입하였다. 3장에서는 대지면적 91㎡이상, 150㎡이하의 사례를 소형한옥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건축면적은 48.40㎡에서 84.7㎡사이이고, 총 16개의 사례 중 6개의 사례가 포함되어 있다. 소형한옥은 생활공간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전시 공간 및 손님맞이 공간을 마련하는 등 쓰임에 따른 다양한 공간구성을 보여준다. 외부손님이 많은 건축주의 경우 게스트들이 편안하게 쉬고 갈 수 있도록 소청을 가진 별채를 만들거나, 비즈니스를 위한 사무실의 설치, 전통에 가까운 좌식의 도입(평상), 다락의 복원, 생활의 편의를 위한 찬방설치 등 규모는 작지만 한옥의 아름다움과 현대 생활의 편리함을 동시에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었다. 4장에서는 대지면적 151㎡이상 200㎡이하인 중형 한옥의 물사용서비스공간 리모델링 사례를 살펴보았다. 건축면적은 69.4㎡에서 86.6㎡사이이고, 총 16개의 사례 중 4개의 사례가 포함되어있다. 한옥의 아름다움을 살리는 동시에 건축주의 요구를 반영한 개성 있는 현대주택으로서의 한옥의 모습을 볼 수 있다. 한옥의 장점인 개방과 소통을 중시함과 동시에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위하여 단절과 가림이 보완되어야 한다는 현대인의 의식을 반영하여 동선을 배려하거나, 독립적인 외부공간 마련, 적극적으로 지하공간을 활용하는 등 한옥의 장점을 극대화 하고 단점은 보완하면서 지혜롭게 접근하였다. 현대적인 편의시설의 효과적인 활용과 다층화된 한옥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대지면적 200㎡이상인 중대형 한옥의 물사용서비스공간 리모델링 사례를 살펴보았다. 건축면적은 87.06㎡에서 114.37㎡사이이고, 총 16개의 사례 중 4개의 사례가 포함되어있다. 중대형 한옥은 평균 주택에 비해 비교적 큰 규모의 집들로 3세대가 거주하는 대가족이거나 거주자가 필요로 하는 각종 기능을 충족시키기 위해, 또는 외국인 임대 목적으로 시공하는 등의 현대인의 다양한 삶을 담을 수 있는 목적을 가지고 리모델링되었다. 두 채의 한옥을 합쳐서 하나의 살림집으로 리모델링하거나 지하층을 증축하여 사용하는 등 한옥의 모습을 유지하면서 생활공간을 확장해가는 도시한옥의 모습을 볼 수 있다. 현대주택으로서 필요한 기밀성. 단열, 방음 등의 기본적 조건을 충족하면서 다양한 삶의 모습을 담을 수 있는 주택으로 진화중인 한옥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6장에서는 먼저 디자인과 규모 측면에서 물사용서비스공간의 변화와 특징을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구조와 시공 측면에서의 변화와 특징을 살펴보았다. 한옥의 물사용서비스공간은 다른 어느 공간보다 현대적 삶의 적극적인 요구를 수용하고 있다. 디자인과 규모 측면에서 부엌은 독특함을 살리는 부엌, 현대화된 부엌, 쾌적하고 편리한 부엌으로 구분하여 공간과 기능적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화장실은 한옥의 틈새공간을 활용한 배치, 다양한 규모와 기능들, 화장실 난방 및 습도 문제 보완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 밖에 한옥의 고유한 다용도실 복원과 기능의 확장, 층고 및 틈새공간을 활용한 수납공간 마련과 설비공간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방법들을 모색하였다. 한옥 리모델링 과정에서 부엌과 화장실은 단순한 면적의 증가보다 건축주의 주관적인 관점과 개성이 드러나면서 집약적인 기능을 담아내는 공간설계를 도모하는 특징을 보인다. 구조와 시공 측면에서 살펴보면 부엌은 빌트인시스템의 ' '형, 'ㄱ'형, 'ㄷ'형, 열린 'ㅁ'자형의 작업대 구조를 가지며 대부분 DK형식을 갖는다. 작업대는 선호에 따라 세탁기, 수납장, 식탁이 함께 설치되거나 아일랜드 식탁을 설치하여 부엌의 기능을 보완한다. 화장실은 변기, 세면대로 구성하거나 변기, 세면대, 샤워기·욕조로 구성되어 있다. 화장실 내부의 수직공간을 이용하여 바닥욕조를 설치하기도 하며 샤워부스를 설치하여 건식과 습식공간으로 분리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난방배관을 화장실 바닥까지 확장하여 냉기로 인한 화장실 이용의 불편함을 보완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방수 마감재의 사용과 화장실의 실내화에 따른 습도와 환기를 해결하기 위한 현대적인 설비를 도입하여 쾌적성을 확보하였다.
요약2 This research aims to study remodeling methods of Hanok focusing on 'Kitchens, bathrooms, utility rooms, and boiler rooms'-spaces that the remodeling processes most likely to occur and provide opportunity to show modern lifestyle fused with the traditional Hanok. The object of the research is t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on the improvement of living environment for Hanok dwellers by collecting and analyzing visual information such as pictures and plans along with other supporting materials of Hanok remodeling precedents that adapted the modern lifestyle, at the same time preserving Hanok's traditionality. The 16 various 'residential Hanoks' in Seoul's Hanok area with active remodeling processes were selected, and based on their site dimensions, they were classified into the four scales-extra small(under 90m2), small(91m2 ~ 150m2), medium(151m2 ~ 200m2), and large(over 200m2). Also, the remodeling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kitchens, bathrooms, utility rooms, and boiler rooms were closely examined. The kitchens are most actively modernized than any other spaces in Hanok. For example, the DK method is used for people who are more accustomed to the modern western apartments. Inserting complex doors between a kitchen and a main hall expands the physical space and function of the hall, and applying the built-in system allows compact installation of a work table with multiple functions. Also, extending interior and exterior circulation of the kitchen allows it to connect with a yard, and a service room or a low wooden bench makes both sedentary traditional and western lifestyle possible. A temporary kitchen between a guesthouse and exterior spaces for cleaner maintenance, disperses the functions of a kitchen, gradually expanding its functions from just as a dining area to an independent open-living space. The bathrooms are remodeled to promote the convenient use and maintenance. The previous small bathrooms are replaced or expanded to meet family members' interior circulation and their lifestyle. Bathtubs are introduced by adjusting the floor level, and independent exterior spaces or a entrance space was created by connecting the bathroom to a backyard. For more pleasant and hygienic maintenance, bathroom spaces are divided into dry-process space with sink and toilet and wet-process space with bating area with a shower booth. Moreover, modern facilities and systems like mechanical ventilation (ex. a wall-mounted radiator and a wall-fan) are utilized to accommodate more comfortable bathrooms. The utility rooms are built in various ways by using different height levels and underground spaces. Attic which can utilize Hanok's upper level space, can be used as a storage, an informal bedroom, a children's playroom, and a study room, etc. Because it is important to secure storage spaces for people who choose living in Hanok over the modern apartment, various solutions for securing them by utilizing Hanok's small empty spaces are explored. The physical space of the boiler rooms in Hanok tend to be reduced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boiler's system and function. The characteristics of equipment rooms are that it is located at streetside where is easily approachable from outside for the convenient maintenance, and that it is integrated at one space. The boiler rooms do not require a significant physical change. However, the equipment rooms-almost a separate temporary building that is built mostly from unplanned extension and alteration of Hanok, are removed. Instead, they were installed on a low wall under eaves, between a building and a wall, or in a storage under a kitchen, and a shielding facility is installed for more convenient maintenance.
소장처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한옥활성화를 위한 신한옥 모델개발 연구(Ⅰ)
이강민 ; 이민경 ; 황준호 - 연구보고서(한옥) : 2012 n.03 (201212)
[논문] 한옥 설계의 최근 경향 연구
이주옥 ; 한필원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1 n.1(통권 80호) (2012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자료] 한옥의 설계와 시공기법
김도경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6(통권 61호) (200812)
전통한옥의 근대화 요소와 현대한옥의 특징 비교연구
손승광 ; 김미선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24 n.2 (201304)
[특집] 방수공사의 종류와 시공기술의 이해
안상로 ; 곽규성 ; 최성민 ; 오상근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v.10 n.4(통권 제42호) (201008)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특집] 현대건축(現代建築)과 한옥(韓屋)의 결합(結合) 가능성
김용미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53 n.09 (20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