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미디어 파사드 영상 자극에 대한 뇌파 반응 특성 / 갤러리아 백화점과 서울스퀘어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EG Response to a Video Stimulus to Media Facades - Two Cases of the Galleria Department Store and the Seoul Square -
저자명 김종하(Kim, Jong-Ha) ; 김상희(Kim, Sang-Hee) ; 이정호(Lee, Jeong-Ho) ; 김주연(Kim, Ju-Yeo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30 n.9 (2014-09)
페이지 시작페이지(107) 총페이지(12)
ISSN 12269093
주제분류 이론
주제어 미디어 파사드 ; 영상 자극 ; 뇌파 반응 ; 상대 파워//Media Facade ; Video Stimulus ; EEG Responses ; Relative Power
요약2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human EEG response to image stimulus to two media facade cases, the Galleria Department Store and the Seoul Square in Seoul, which have different expression methods of its contents. For this study, authors used the EEG(Electroencephalogram) measurement method an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mage stimulus of the Galleria Department Store and the Seoul Square highly revitalized the theta band, compared to other bands, and other bands showed differences in the mean value of EEG as well. Second, our analysis of the activity of each brain part of the EEG band showed that each band and brain part showed differences to image stimulus. Furthermore, F4(t=2.558, p<0.5) channel in the frontal lobe of the alpha band, F4(t=-2.373, p<0.5) channel in the frontal lobe of the beta band and F3(t=-2.257, p<0.5) channel in the frontal lobe of the gamma ban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all of them showed differences in the frontal lobe. Third, our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significance level: p<0.05) between the parts of the EEG band influenced by image stimulus. In addition, 45 brain parts showed a high synchronicity of image stimulus to the Galleria Department Store and 50 brain parts showed a high synchronicity of image stimulus to the Seoul Square. Based on this result, authors conclude that more brain parts were used to process information of image stimulus for the Seoul Square. Lastly, our analysis of the EEG band activity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influenced by image stimulus showed that the mean value of EEG is different in all the bands.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가상현실을 활용한 공간에서의 뇌파 측정과 스트레스 변화량 분석
김선욱(Kim, Sun-Uk) ; 강세연(Kang, Se-Yeon) ; 지승열(Ji, Seung-Yeul) ; 전한종(Jun, Han-J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5 No.08 (201908)
초기설계 단계 사용자의 감정 인식을 위한 뇌파기반 딥러닝 분류모델
장선우(Chang, Sun-Woo) ; 동원혁(Dong, Won-Hyeok) ; 전한종(Jun, Han-J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4 No.12 (201812)
카페 파사드의 선호도에 따른 시각적 주의집중 및 뇌파 주의집중도 분석
김상희(Kim, Sang-Hee) ; 이정호(Lee, Jeong-Ho)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5 No.3(통권 116호) (201606)
시각적 공간자극에 나타난 뇌파반응의 자극 정도와 만족도 변화특성
서지은(Seo, JiEun)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4 No.5(통권 112호) (201510)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현상학이 건축이론에 미친 영향과 현상학적 건축설계 방법론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김광배(Kim Kwang-Ba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3 n.12 (200712)
실내공간의 시뮬레이션 구성과 뇌파측정에 의한 공간인지 분석
김태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NO.36 (200302)
생체신호 기반 사용자의 긍정적인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실내디자인 특성에 관한 문헌고찰
김시은(Kim, Sieun) ; 하미경(Ha, Mik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6 No.05 (202005)
가로 공간 이미지의 시각적 인지과정에 나타난 주시특성 분석
이정호(Lee, Jeong-Ho) ; 김종하(Kim, Jong-Ha) ; 김상희(Kim, Sang-He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2 No.05 (201605)
카페공간에 대한 수렴적 탐색상황에서의 주의집중 특성의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김종하(Kim, Jong-Ha) ; 김주연(Kim, Ju-Yeon) ; 김상희(Kim, Sang-Hee)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5 No.2(통권 115호) (201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