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개발마케팅 실패 사례 유형화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the Typology of Development Marketing Failure Cases
저자명 오동훈 ; 오근상
발행사 한국도시행정학회
수록사항 도시행정학보(한국도시행정학회 논문집), v.27 n.3 (2014-09)
페이지 시작페이지(1) 총페이지(32)
ISSN 15988686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개발마케팅 ; 실패사례 ; 유형화 ; Development Marketing ; Failure Case ; Typology
요약1 본 연구는 국내외 개발마케팅의 실패 사례들을 유형화함으로써 향후 개발에서 요구되는 계획 및 마케팅방안의 수립에 시사점을 주는 데 목적이 있다. 실패 요인들은 지역 내부적 요소, 거시환경적 요소, 주체들의 역량적 요소 등에 기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마케팅 형성과정이나 추진 및 운영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어떤 사업이 한 가지 이유만으로 실패했다고는 볼 수 없으나, 본 연구에서는 주요 실패 요인들을 중심으로 개발마케팅 실패 사례들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6개의 개발마케팅 실패 사례 유형, 즉 '지역의 정체성 및 이미지와의 부조화', '지역시장을 고려하지 않은 사업 추진', '사업 관련 주체 간의 갈등', '사업 추진 관련 주체의 의지 및 역량 부족', '사업계획과 전략의 미숙', '시장 및 환경 변화에 따른 사업 부진'을 제시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향후 개발마케팅에서는 도시 및 장소에 알맞은 비전이나 이미지를 정립하고, 이를 중심으로 지역시장에 수요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며, 적절한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그리고 마케팅 활동을 이끌어가는 주체의 역량이 고려되어야 하며, 관련 주체들의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사업 및 경제 환경 악화에 대한 시나리오를 준비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요약2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development marketingby categorizing its failure cases according to marketing failure causes. The failure causes canbe related to regional elements, macro-environmental elements, and marketing-relatedentities' capability elements. And these elements can belong to the process of buildingmarketing strategy or that of operating the strategy. This study divides failure cases into 6development failure types on the basis of their main failure causes. They are Mismatchbetween Region and its Identity/Image, Business without Considering Regional Market,Conflicts among Marketing-related Entities, Lack of Will/Capability ofMarketing-developing Entities, Inexperience in Strategy/Plan, and Business Depression dueto Market/Environment Change. Therefore, we can say that successful developmentmarketing needs vision/image well-matching for a place, consideration of demand ofregional market, and appropriate marketing strategy. In addition, Capability ofmarketing-developing entities should be considered, and the effort to minimize conflictsamong entities is necessary. A few alternatives for deterioration of market or economysitua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marketing strategy as well.
소장처 한국도시행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어린이환자의 공간사용 행태에 관한 연구
최인영 ; 박수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3 n.6(통권 107호) (201412)
우울증상 치유를 위한 실내 휴게공간 환경색채모델 연구
김수정(Kim, Soo-Jeong) ; 박수빈(Park, Soobeen)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30 No.3(통권 146호) (202106)
놀이행태 분석을 통한 어린이집 실외놀이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수정(Kim, Soo-Jeong) ; 박수빈(Park, Soo-Been)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7 No.6(통권 131호) (201812)
어린이전문병원 대기공간 실내디자인 개선방안 연구
김수정(Kim, Soo-Jeong) ; 박수빈(Park, Soobeen)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9 No.3(통권 140호) (202006)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행동·감정체계 유형에 따른 전전두엽 알파파 비대칭 특성 및 실내공간 색채감정
하지민(Ha, Ji-Min) ; 박수빈(Park, Soobee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4 No.09 (201809)
고령자의 우울 특성에 따른 배색의 심리적·생리적 반응 차이에 관한 연구
박선민(Park, Sun-Min) ; 박수빈(Park, Soo-Been)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7 No.5(통권 130호) (201810)
실내공간 색채배색 및 조도변화에 따른 색채감정 평가
하지민(Ha, Ji-Min) ; 박수빈(Park, Soobee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3 No.10 (201710)
어린이 발달특성을 지원하는 어린이병원 환경디자인 요소
하지민(Ha, Ji-Min) ; 박수빈(ParkSoo-Bee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30 n.10 (201410)
어린이전문병원 대기공간 디자인을 위한 유아 놀이행태 연구
김수정(Kim, Soo-Jeong) ; 박수빈(Park, Soo-Been)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9 No.4(통권 141호) (20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