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일제강점기 일·양 절충식 주택의 변용과 원형추정에 관한 연구 / 나주시 구 쿠로즈미(黑住) 주택을 대상으로 / A Study of the Transformation and Presumption on the Original Form of Japanese-Western eclectic House Constructed at Japanese Colonial Period - A Case Study on the Kurozumi House in Naju City -
저자명 김홍기
발행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v.16 n.04 (통권62호) (2014-08)
페이지 시작페이지(23) 총페이지(8)
ISSN 1229-5752
주제분류 역사 / 이론
주제어 쿠로즈미 주택 ; 일?양 절충식 주택 ; 변용 ; 원형추정 ; 나주시 ; Kurozumi House ; Japanese-Western Eclectic House ; Transformation ; Presumption on the Original Form ; Naju City
요약1 쿠로즈미 주택은 일제강점기 나주시 영산포의 일본인 최대 지주가 거주했던 건물이다. 나주시의 일제수탈을 상징 하는 대표적인 건축물 중의 하나로서 역사적 의의가 있으며, 일본식의 주거와 서양식의 사무실이 혼재하는 일·양 절충식 건물로 근대 주택양식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쿠로즈미 주택의 변용을 분석하고 원형을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쿠로즈 미 주택의 현황과 특징을 파악하고, 현재까지 어떠한 변용이 이루어졌는지에 대하여 고찰한 후, 마지막으로 쿠로즈 미 주택의 평면 원형을 추정한다. 쿠로즈미 테츠야(kurozumi tetsuya)의 스케치와 현재의 평면을 비교하면 북쪽에 있는 방의 수에 차이가 있을 뿐 전 체적인 공간구성은 현황과 거의 동일하며 외관은 잘 유지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요한 변용으로는 주택규모의 변화, 공간의 변화를 들 수 있다. 주택규모의 변화에는 부엌의 증축, 화장실의 증축, 북쪽 통로의 신설, 기존에 있던 북쪽의 욕실과 방의 철거 등을 들 수 있다. 공간의 변화로는 부엌공간의 변화, 난방 방식의 변화, 창호의 변화 등을 들 수 있다.
요약2 The Kurozumi house is the residence where the richest Japanese landowner of Yeongsanpo in Naju City liv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house,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buildings that symbolizes the exploit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in Naju City, has a historical significance and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housing style as a Japanese-Western eclectic house including Japanese living space and Western-style off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ansformation of the Kurozumi house and presumption its original form. In detail, it is to realize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Kurozumi house and its characteristics. From the transformation of the Kurozumi house, the original form is estimate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ketch of Kurozumi Tetsuya and the current floor plan, it was found that its space organization and external appearance didn't change much except the number of north rooms. The major transformation of the house are the changes of the house size and space. The changes of the house size include the extension of a kitchen and a restroom, construction of a north hallway, and demolition of a north bathroom and room. The space changes include the space in kitchen, heating method, and windows and doors.
소장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논문] 일제강점기 洋式建築構法 사용의 특징과 계획적 변화
주상훈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1 n.5(통권 84호) (201210)
1920년대 일본의 문화주택에 대한 고찰
이경아(Lee Kyung-Ah) ; 전봉희(Jeon Bong-He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1 n.8 (200508)
[논문] 일제강점기 근대도시의 도시공간구조와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김득수 ; 한동수 ; 김영재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8 n.3(통권 제28호) (200709)
일제강점기 관사의 주거사적 의미에 관한 연구
안성호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17 n.11 (200111)
일제강점기 주택의 응접실에 관한 연구
박채린(Park, Chaerin) ; 이경아(Lee, Kyung-Ah)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10 (202110)
일제강점기 간판건축에 관한 연구
김병주;석강희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66호 (201905)
근대건축물 활용을 통한 지역활성화 방안 연구
권영상 ; 심경미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5 (20091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1920~30년대 경성부의 문화주택지개발에 대한 연구
이경아(Lee Kyung-Ah) ; 전봉희(Jeon Bong-He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3 (2006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