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전과정평가 모델을 이용한 초등학교 건축물 환경영향 평가 및 비교기준 수립 / Environmental Impacts Assessment of Elementary School Buildings and Establishment of the Reference Target using Life Cycle Assessment Model
저자명 지창윤(Ji, Changyoon) ; 홍태훈(Hong, Taehoon) ; 정재욱(Jeong, Jaewook)
발행사 한국건설관리학회
수록사항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6 No.3 (2015-05)
페이지 시작페이지(49) 총페이지(10)
ISSN 2005-6095
주제분류 시공(적산)
주제어 전과정평가 ; 초등학교 ; 환경영향 ; 녹색 건축물//Life Cycle Assessment ; Elementary school building ; Environmenatl impacts ; Green building
요약1 신축 녹색건축물의 환경영향 감축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비교를 위한 기존 건축물에 대한 환경영향 결과가 필요하다. 본연구는 비교 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많은 기존 건축물에 대한 환경영향을 사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산업연관표와 에너지원별 목록분석 데이터(LCI)를 기반으로 하는 LCA 모델을 이용하여 서울, 부산, 대구, 광주 지역의 17개 초등학교 건축물에 대한 환경영향(지구온난화지수, 오존층파괴지수, 산성화지수, 부영양화지수, 광화학산화지수, 자원고갈지수)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초등학교 건축물의 환경영향은 연면적, 사용에너지원의 차이에 따라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지역에 따라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지역에 따라 구분된 비교 기준을 제시하였다. 예를 들어, 서울,부산, 대구, 광주 지역에서의 GWP에 대한 비교 기준은 각각 3.76E+03, 1.90E+03, 2.63E+03, 2.81E+03 kg-CO2 eq./m2로 나타났다. 제시된 결과는 신축 녹색 초등학교 건축물의 환경영향 저감 효과를 파악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요약2 In order to determine how much a new green building reduce the environmental impac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reference target for comparis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reference target by evaluating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existing buildings. To ensure this end, this study evaluated the environmental impacts(Global warming potential, ozone layer depletion potential, acidification potential, eutrophication potential, photochemical ozone creation potential, and abiotic depletion potential) of 17 existing elementary school buildings, which are located in Seoul, Busan, Daegu, and Gwangju, by using the hybrid LCA model. As a result,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the case buildings were clearly distinguished in different region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the reference targets which are appropriate to each region. For example, the reference targets for global warming potential, which can be used in Seoul, Busan, Daegu, and Gwangju, are 3.76E+03, 1.90E+03, 2.63E+03, 2.81E+03 kg-CO2 eq./ m2, respectively. The presented reference targets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understanding how much environmental impacts can be reduced when a new green school building is contsructed.
소장처 한국건설관리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전과정평가(LCA)를 이용한 친환경 인증 건축물과 일반 건축물의 환경영향 비교 사례 연구
홍태훈(Hong, Taehoon) ; 정광복(Jeong, Kwangbok) ; 지창윤(Ji, Changyoon)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 Vol.15 No.3 (201405)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전과정평가(LCA) 방법을 이용한 건축물에 대한 환경영향 평가 방법
홍태훈(Hong, Tae-Hoon) ; 지창윤(Ji, Chang-Yoon) ; 정광복(Jeong, Kwang-Bok)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 Vol.13 No.5 (201209)
[논문] 국내 권역외상센터의 공간구성 및 면적구성에 대한 건축계획적 연구
박수로(Park, Suroh) ; 박재승(Park, Jaeseung)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지 『의료·복지 건축』 : Vol.23 No.3(통권 68호) (201709)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국내권역외상센터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박수로(Park, Su-Roh) ; 박재승(Park, Jae-Seung)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6 No.6(통권 125호) (201712)
효율적 외상의료체계를 위한 권역외상센터의 동선 효율성
박수로(Park, Su-Roh) ; 박재승(Park, Jae-Seung) - KIEAE Journal : Vol.17 No.6(통권 88호) (201712)
초등학교 건축물의 생애주기 에너지사용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평가
지창윤(Ji, Changyoon) ; 홍태훈(Hong, Taehoon) ; 정재욱(Jeong, Jaewook)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 Vol.17 No.3 (201605)
산업연관분석법 기반 LCA 모델과 Hybrid LCA 모델의 건축물 이산화탄소 배출량 평가결과 비교
홍태훈(Hong, Taehoon) ; 지창윤(Ji, Changyoon)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 Vol.15 No.4 (201407)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주요 건축자재의 환경영향 특성화값 비교에 관한 연구
노승준(Roh, Seung-Jun) ; 태성호(Tae, Sung-Ho) ; 김태형(Kim, Tae-Hyoung) ; 김낙현(Kim, Rak-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29 n.7 (201307)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