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IPA를 활용한 해외 건축 사업 PMC 분야 단계별 업무역량 분석 / An Analysis of Competency at Each Phase of PMC for Overseas Arhcitecture Project Using the IPA
저자명 하성욱(Ha, Sung-Wook) ; 이석원(Lee, Suk-Won) ; 김재준(Kim, Jae-Jun)
발행사 한국건설관리학회
수록사항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6 No.3 (2015-05)
페이지 시작페이지(59) 총페이지(9)
ISSN 2005-6095
주제분류 시공(적산)
주제어 PMC(Project Management Consultant) ; 해외 건축 사업 ; IPA//PMC(Project Management Consultant) ; Overseas Architecture Project ; IPA
요약1 국내 건설업체의 해외건설 진출은 최근 10년간 급성장 하였지만 단순도급형 사업과 EPC사업에 주력한 결과 매출액 대비 순이익률은 2007년 6.4%를 기점으로 줄어들어 2012년에는 불과 0.5%만을 기록하였다. 이에 국내건설 업체는 선진 업체가 독점하고 있는 고부가가치 사업인 PMC(Project Management Consultant)분야로 방향 전환을 시도하였으며 몇 년 동안 경험 및 시장 경쟁력을 높이고자 국내 건설업체는 16개의 건축·토목 PMC 관련 사업(용역)을 진행하였다. 하지만 대부분이 토목분야로 진출을 하고 있어 해외 건축사업 PMC분야 진출을 위해 단계별 세부업무 역량의 중요도 및 현재 역량수준을 알아보고 IP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계획단계에서의 중요도 대비 현재역량 수준 Gap값이 가장 크고, 다음으로 Gap값이 크게 나타난 건설이후 단계로 나타났다. 특히 계획단계에의 세부업무역량수준을 우선적으로 강화해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를 통해 해외건축사업 고부가가치 영역인 PMC분야 업무에 향후 국내 건설업체의 진출을 위해 강화해야할 업무역량에 대한 업무항목 및 역량수준파악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요약2 Overseas expansion of domestic construction over the past 10 years has been fast growing. But as a result of simple construction business practices and a focus on EPC, sales margins was reduced.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have been trying to redirect business to high-value-added-areas but have faced difficulty because there areas are current monopolized by global leading companies in the field of PMC. They have recently carried out 16 PMC related project in order to expand their experience and increase their competitiveness. Most of these construction companies that do PMC overseas have been focusing on the civil engineering sector. analyzing the important and performance result 50 separate PMC tasks in detail using IPA, it became clear that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should also focus on tasks and were analyzed in order to advance to overseas architecture PMC sector overseas. There are large gaps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result of both the planning and pre-construction phase. Importance compared to the current performance levels in the planning phase gap is largest, pre-construction phase has been analyzed in the following order. In particular, one should strengthen detailed tasks in the planing phas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to determine the performance level and tasks items. It is expected strengthen the capacities of domestic companies in the PMC field, for especially in the high value-aded-areas as indicated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rom this study.
소장처 한국건설관리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해외건설시장 진출을 위한 건설사의 Pre-construction Service 핵심역량 분석
변일우(Byun, Il-Woo) ; 김예상(Kim, Ye-Sang)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 Vol.13 No.2 (201203)
IPA 기법을 활용한 현장소장 역량 요인 도출 및 분석
김화랑(Kim, Hwa-Rang) ; 이나경(Lee, Na-Kyung) ; 장현승(Jang, Hyoun-Seung)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 Vol.14 No.1 (201301)
국내·외 BIM 적용 프로젝트의 BIM 적용수준 비교분석
고성훈(Koh, Sung-Hoon) ; 함남혁(Ham, Nam-Hyuk) ; 이주성(Lee, Joo-Sung) ; 윤수원(Yoon, Su-Won) ; 김재준(Kim, Jae-Jun) - 한국BIM학회 논문집 : Vol.7 No.2 (201706)
해외 PMC 시장 경쟁력에 대한 국내외의 인식차이 분석
장우식(Jang, Woosik) ; 이바울(Lee, Baul) ; 김연수(Kim, Yeonsoo) ; 한승헌(Han, Seung Heon)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 Vol.18 No.6 (201711)
해외건설 엔지니어링 경쟁력 확보를 위한 역량 계층 구조 분석
김도엽(Kim, Do-Yeob) ; 김화랑(Kim, Hwa-Rang) ; 장현승(Jang, Hyoun-Se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ol.32 No.08 (201608)
IPA를 이용한 건설 현장별 노동생산성 저해요인 비교분석
정재호(Jeong, Jae-ho) ; 이석원(Lee, Suk-Won) ; 안병주(Ahn, Byung-Ju) ; 지남용(Jee, Nam-Yong) ; 김재준(Kim, Jae-Jun)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 Vol.15 No.6 (201411)
국내 건설기업의 인도네시아 건설시장 진출전략
김화랑(Kim, Hwa-Rang) ; 옥종호(Ock, Jong-Ho) ; 장현승(Jang, Hyoun-Se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ol.32 No.04 (201604)
베트남 건설 시장 진출을 위한 SWOT 분석
김화랑(Kim, Hwa-Rang) ; 장현승(Jang, Hyoun-Se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ol.31 No.05 (201505)
해외건설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
김두연 ; 한승헌 ; 정우용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111)
[특집] GS건설 Precon Service 소개
정연석 - 건설관리(한국건설관리학회지) : Vol.17 No.3 (201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