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2010년 이후 농촌주택 표준설계도의 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Standard Rural House Design Since 2010
저자명 이진욱(Lee, Jin-wook)
발행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Vol.17 No.01 (통권65호) (2015-02)
페이지 시작페이지(101) 총페이지(8)
ISSN 1229-5752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농촌주택 표준설계도 ; 농촌형 적정주택 ; 농어촌 생활형주택 ; 농어촌 저에너지친환경주택//Standard Rural House Design ; Rural Appropriate House ; Rural Life Style House ; Rural Low Energy and Green House
요약1 오늘날 도시와 농촌의 생활상은 점점 닮아가고 있다. 농촌의 거주민들 또한 1차 산업에만 의존하지 않게 되었고, 이에 따른 생활상들도 다양해지고 있다. 2010년 이후 보급된 농촌주택 표준설계도는 효율성과 경제성을 바탕으로 2010년에는 ‘농어촌 저에너지친환경주택’, 2012년에는 ‘농어촌생활형주택’, 2014년에는 ‘농촌형 적정주택’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2009년까지 보급되어온 표준설계도와 비교하여 2010년 이후 표준설계도가 가지는 특징과 변화들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표준설계도가 농어촌주택에서의 적용성과 보급 확대 가능한 표준주택으로 완성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다. 2010년 이후 표준설계도의 계획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주택의 성능, 주택의 규모, 사용자 분류를 반영하여 유형들을 분류하고 있다. 2. 2009년 이전에 비해 건축의 규모는 축소되고 공간의 효율성을 강화하였다. 3. 주택의 외관은 효율성과 경제성을 우선시하여 생략되고 간결해졌다.. 4. 지붕은 단순한 박공 형태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5. 평면 형태는 효율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겹집형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2010년 이후의 표준설계도는 실제 농촌의 생활환경과 수요를 정확하게 반영하여 고효율의 경제적인 주택을 공급하는데 큰 비중을 두었다. 하지만 선택의 폭이 좁은 건축규모와 유사한 주택 외관에 대해서는 좀 더 깊이 있는 연구와 분석이 필요하다. 앞으로 농촌주택 표준설계도는 농촌다움을 잃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농어촌의 생활환경을 반영하여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요약2 Today, the lifestyle of the urban and rural areas is gradually beginning to resemble. Residents in the rural areas are not depended on primary industry, and it makes lifestyle to diversify. Standard rural house designs since 2010 are based on the efficiency and economy. And 2010’s goal was ‘rural low energy and green house’, 2012’s goal was ‘rural life style house’, and 2014’s goal was ‘Rural Appropriate Ho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 of standard rural house design before and after 2010, and provide basic materials for applicability and popularizing.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standard plan since 2010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ype of house was classified by housing performance, housing size and user, 2. Housing size was reduced and space efficiency was expanded by 2009 than ever before, 3. Exterior form of housing was simplified because of efficiency and economy, 4. Simple gable roof was the most used type. 5. The most used plan type was Kyup-Jip. Standard plan since 2010 was placed a great importance on supply of efficient and economic housing considered actual rural living environment and demand. But more research and analysis about fewer housing size and similar exterior is needed. In future standard rural house design should be developed to consider various rural living environment and rural identity.
소장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전통한옥의 근대화 요소와 현대한옥의 특징 비교연구
손승광 ; 김미선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24 n.2 (201304)
전주한옥마을 주거건축 평면의 특징에 관한 연구
남해경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21 n.4 (201008)
생활한옥의 평면구성에 관한 연구
강만호 ; 이우원 ; 정훈 ; 주석중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20 n.3 (200906)
현장조사를 통한 지역별 농촌주택 특성 분석
권순찬(Kwon, Soon-Chan) ; 김은자(Kim, Eun-Ja) ; 김상범(Kim, Sang-Bum) ; 임창수(Lim, Chang-Su) ; 박미정(Park, Mee-Jeong)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 Vol.18 n.03 (통권73호) (201606)
사용자 유형을 적용한 농촌주택 표준설계도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진욱(Lee, Jin-wook)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 Vol.17 n.03 (통권67호) (201506)
전라남도 한옥보존마을 및 행복마을 한옥의 평면유형에 관한 연구
이창재 ; 최일 ; 김정규 ; 유창균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21 n.5 (201010)
[논문]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최강림 ; 이승환 - 국토계획 : v.44 n.2(통권 169호) (200904)
[특집]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건축
김태평(Kim, Taepyeong)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0 No.01 (201601)
[특집] 현대건축(現代建築)과 한옥(韓屋)의 결합(結合) 가능성
김용미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53 n.09 (200909)
주거시설로서 모듈러건축 활용화 방안
김지현 ; 박일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24 n.3 (201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