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황산나트륨 첨가제에 따른 플라이애시 기반 지오폴리머의 미세구조 및 강도 특성 / Microstructure and Strength of Class F Fly Ash based Geopolymer Containing Sodium Sulfate as an Additive
저자명 전유빈(Yubin Jun) ; 오재은(Jae-Eun Oh)
발행사 한국콘크리트학회
수록사항 한국콘크리트학회논문집, Vol.27 No.4 (2015-08)
페이지 시작페이지(443) 총페이지(8)
ISSN 1229-5515
주제분류 재료 / 구조
주제어 플라이애시 ; 황산나트륨 ; 첨가제 ; 지오폴리머 ; MIP//Class F fly ash ; sodium sulfate ; additive ; geopolymer ; MIP
요약1 본 연구에서는 플라이애시 기반 지오폴리머에 황산나트륨을 첨가제로 사용하여 이에 대한 물리적 및 미세구조 특성을 분석하였다. 플라이애시 중량에 대해 0, 2, 4 및 6%를 황산나트륨으로 치환하였으며, 수산화나트륨과 액상규산나트륨(물유리)을 알칼리 활성화제로 사용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재령 28일에 대한 압축강도, XRD, SEM 및 MIP 시험을 실시하였다. 황산나트륨2wt% 및 4wt% 첨가는 플라이애시 기반 지오폴리머의 강도를 증진시켰지만, 6wt% 첨가는 강도 향상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도 증진에 대한 황산나트륨의 적정 치환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압축강도에 대한 황산나트륨의 최적의 치환율은 4wt%인 것으로 판단된다. 황산나트륨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강도 증진 효과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시편 내에 비결정질(amorphous phase) 뿐만 아니라 결정질(crystalline phase)에서 뚜렷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산나트륨으로 치환하였을 경우, 플라이애시 기반 지오폴리머 내의 공극의 분포를 변화시킴에 따라 강도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황산나트륨 첨가는 시편 내의 생성된 반응생성물의 형상 및 Si/Al를 다르게 하여 강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황산나트륨 치환에 따른 지오폴리머 내에 생성된 반응생성물의 Si/Al가 낮을수록 지오폴리머의 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황산나트륨 적정치환량은 지오폴리머의 반응생성물을 효과적으로 변화시켜 물리적 성질 향상에 기여를 하지만, 적정량 이상의 치환율 사용으로 변화된 지오폴리머 생성물은 matrix 내에서 불순물로 존재하여 강도 증진을 방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요약2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of the mechanical and microstructural properties of Class F fly ash based geopolymer containing sodium sulfate as an additive. Sodium sulfate was used as an chemical additive at the dosage levels of 0, 2, 4, and 6wt% of fly ash. Sodium hydroxide and sodium silicate solutions were used to activate fly ash. The compressive strengths of geopolymer pastes were measured at the age of 28 days. The microstructures of the geopolymer pastes were examined using XRD, MIP and SEM tests. The additions of 2wt% and 4wt% sodium sulfate produced geopolymers with high strength, while increasing the dosage of levels to 6% resulted in almost no changes in strength, comparing with the control geopolymer. The optimum increase in strength was obtained with the addition of 4wt% sodium sulfate. As the amount of sodium sulfate is increased, no additional crystalline phase was detected and no change of amorphous phase indicated despite the change in the strength development. The increase in the strength was due to the change of pore size distribution in samples. As addition of sodium sulfate altered the morphologies of reactive productions and Si/Al ratios of the reaction products, the strengths were thus affected. It was found that the strengths of geopolymer were larger for lower Si/Al ratios of reaction products formed in samples. The optimal amount of sodium sulfate in the fly ash based geopolymer helps to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geopolymer, on the other hand, the high percentage of sodium sulfate could exist as an impurity in the geopolymer and hinder the geopolymer reaction.
소장처 한국콘크리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혼화재료에 따른 지오폴리머의 강도 및 건조수축
양주경(Joo-Kyoung Yang) ; 김효정(Hyo-Jung Kim)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Vol.23 No.1 (201901)
2단계 배합방법이 순환잔골재 혼입 모르타르의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
김유진(Yu-Jin Kim) ; 김규원(Gyu-Won Kim) ; 정철우(Chul-Woo Chung)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 Vol.8 No.4 (202012)
일반강도 콘크리트의 효과적인 유동성 증진 및 품질안정성 확보를 위한 감수제 성능에 대한 연구
손배근(Son, Bae-Geun) ; 한동엽(Han, Dong-Yeop) -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 Vol.17 No.5 (201710)
콘크리트 배합설계조건에 따른 레이저 스캐블링 효율성 비교
허성욱;이재용;정철우;김지현 - 한국건축시공학회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논문집 : v.21 n.2(통권 제41호) (202111)
초임계 탄산화 반응이 순환잔골재의 품질개선에 미치는 영향
허성욱(Seong-Uk Heo) ; 김지현(Ji-Hyun Kim) ; 정철우(Chul-Woo Chung)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 Vol.9 No.1 (202103)
산업부산물 치환 및 저점도형 고성능 감수제를 사용한 시멘트 계열 재료의 점도저하 방안 연구
손배근(Bae-Geun Son) ; 한동엽(Dongyeop Han)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 Vol.5 No.4 (201712)
양생조건이 플라이애쉬 기반 지오폴리머 강도에 미치는 영향
조영근 ; 문규돈 ; 라정민 ; 정상화 - 한국콘크리트학회논문집 : Vol.26 No.4 (201408)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 전단강도 평가
최하영 ; 김병일 ; 이정윤 - 한국콘크리트학회논문집 : Vol.24 No.2 (201204)
기포제 종류에 따른 경량기포콘크리트의 기포구조 및 열적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진만 ; 최훈국 ; 박선규 -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 v.9 n.4(통권 제36호) (200908)
[특집] 지오폴리머 콘크리트 기술의 중요성 및 재료특성
송진규(Jin-Kyu Song) ; 양근혁(Keun-Hyeok Yang) ; 송금일(Keum-Il Song)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지 : Vol.12 No.1 (201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