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도시 고령자의 거주환경과 에이징 인 플레이스 간의 인과성 연구 / 신체 및 심리적 건강을 매개변수로 / The Study on the Causality between the Elderly's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Aging in Place
저자명 이세규(Lee, Se-kyu) ; 박동욱(Park, Dongwook)
발행사 한국도시행정학회
수록사항 도시행정학보(한국도시행정학회 논문집), Vol.28 No.2 (2015-06)
페이지 시작페이지(287) 총페이지(22)
ISSN 1598-8686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거주환경 ; 노인건강 ; 에이징 인 플레이스 ; 확인요인분석 ; 구조모형//residential environment ; the elderly health ; Aging in Place ; CFA ; SEM
요약1 본 연구는 도시 고령자를 대상으로 거주환경 지각과 AIP(Aging In Place)조성의 인과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특히, 매개변수로 고령자의 신체적 또는 심리적 건강상태를 설정했을 때 불편한 거주환경과 AIP 조성 필요성 간의 상관성 및 영향력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거주환경, 노인건강, AIP에 관한 설문문항을 구성하여 도시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양자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고령친화형 거주환경의 조성과 지원에 적합한 정책제언과 제도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거주환경, 노인의 건강상태, 에이징 인 플레이스(AIP)에 관한 이론 및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관측변수를 선정하고 연구모형을 설정한다.구조모형의 분석결과, 도시 고령자는 거주환경의 불편함이 클수록 AIP의 필요성에 더 적극적이었다. 거주환경의 불편함은 노인의 신체 및 심리적 건강을 악화시키는데 영향을 미쳤다. 또한 신체및 심리적 건강을 변수로 분석한 결과, AIP 조성의 필요성이 드러났다. 더욱이 신체적 저하는 심리적 건강의 악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로 인해 AIP 조성의 필요성은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최근 자택에서 노후를 보내기를 원하는 노인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비용이 적게 들고 효율적인 노인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AIP정책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또한, 활기찬 노후생활을 위해 고령친화형 설계기법을 활용하여 현거주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단순한 물리적 개선에 그치기보다는 AIP를 위한 지원서비스 및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해야 한다. 특히, 현재 거주환경의 불편 요인은 노인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AIP조성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신체적 심리적 건강요소를 고려한 거주환경 개선을 통하여 노후생활을 지속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요약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ality between the elderly's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necessity of the Aging in Place(AIP) preparation by the elderly's health to find policy implications on the successful AIP policy strategies. Therefore, we reviews the existing literatures about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necessity of AIP. Then, we formulates some study hypotheses and finally verifies them using a high-ord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prim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etropolitan elderly people, who feel uncomfortable the their own residential environment, perceive the AIP necessity very highly. And inconvenient residential environments affect the elderly's health. Moreover, the physical ingravescence makes the mental worse. Therefore, the necessity of AIP is of importanc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o make AIP policy successful, it is important that aging-friendly residential environment design and community based welfare service are well-established first of all.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the elderly's physical and mental health carefully when it establish AIP's policy.
소장처 한국도시행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논문] 역사적 건축물 보존에서 지구단위계획의 역할과 과제
이범훈(Rhee, Bum-Hun) ; 김기호(Kim, Ki-Ho) - 국토계획 : Vol.50 No.7(통권 217호) (201511)
에이징 인 플레이스 실현을 위한 일본의 고령자 지원체계 연구
윤혜영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25 n.2 (201404)
하펜시티 수변공간의 도시디자인 수법에 관한 연구
이범훈 ; 김경배 -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911)
인천 개항장의 『장소만들기』실태 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
이범훈 ; 김경배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1 n.5(통권 제42호) (201012)
‘Aging In Place’의 측면에서 도시 노인주거시설의 커뮤니티 공간 연구
정수이(Jung, Su Yee) ; 민현준(Mihn, Hyun-Jun)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54호 (201605)
도시 생활밀착형 공공공간 조성 방안 및 매뉴얼 개발 연구
이상민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11 n.07 (201112)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 개념을 고려한 공공임대아파트 커뮤니티시설의 노인공간 계획
강희선(Kang, Hee-Sun)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ol.28 No.4 (201708)
주거문화 진단 및 주택정책 방향설정 연구
염철호 ; 하지영 - 연구보고서(기본) : 2011 n.01 (201112)
장소만들기를 통한 도시재생전략에 관한 연구
이범훈 ; 김경배 -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