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기후변화에 대응한 도시재생 지표개발 및 활성화지역 선정 연구 / 서울특별시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dicators and Activate about Urban Regeneration Corresponding Climate Change: Focusing on the Seoul Metropolitan City
저자명 유선철 ; 여관현
발행사 한국도시행정학회
수록사항 도시행정학보(한국도시행정학회 논문집), Vol.28 No.4 (2015-12)
페이지 시작페이지(77) 총페이지(23)
ISSN 1598-8686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도시재생 ; 기후변화 ; 지표개발 ; 활성화지역 ; 서울특별시//Urban Regeneration ; Climate Change ; Development Indicators ; Activating Areas ; Seoul Metropolitan City
요약1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응한 도시재생 지표를 설정하고, 이 지표를 서울지역에 적용하여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도시재생 지표에서 기후변화를 고려한 요소들이 반영되어 적용될 수 있는 기후변화에 대응한 도시재생 지표를 제시하였다. 또한, 도출된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재생지표를 서울특별시에 적용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한 도시재생 활성화지역을 선정하였다.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의 선정은 서울특별시를 대상으로 기후변화 대응 도시재생 지표를 활용하여 공간데이터 자료를 구축하고 이를 분석하는 것으로 진행하였다. 기후변화에 대응한 도시재생 지표를 적용하여 도출된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후 취약지역은 영등포구, 양천구, 광진구, 성동구, 용산구, 서초구, 강북구, 동대문구, 마포구, 송파구로 나타났다. 둘째, 에너지 취약지역을 전력 사용량을 상·하위로 구분하면, 상위 행정동은 여의도동, 역삼1동, 방배2동, 하위 행정동은 월곡3동, 잠실2동, 강일동 등으로 나타났다. 단위면적당 전력 사용량을 상·하위로 구분하면, 상위는 구의1동, 명동, 소공동, 하위는 진관내동, 진관외동, 강일동 등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기후변화에 대응한 도시재생 활성화지역은 강북구, 영등포구, 성동구, 동대문구 등으로 나타났다.
요약2 This study aims to development of indicators and selection of activate area for urban regeneration corresponding climate change. For this reason, we were presented the indicators of urban regeneration to allow for climate change and selected the activating area. The selection of activating area is targeted at Seoul metropolitan city, it was performed through the analysis and construction of spatial data.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limate vulnerable areas is Yeondeungpo-gu, Yangcheon-gu, Gwangjin-gu, Seongdong-gu, Yongsan-gu, Seocho-gu, Gangbuk-gu, Dongdaemun-gu, Mapo-gu, Songpa-gu. Second, energy vulnerable area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through amount of power usage. Upper areas is Yeouido-dong, Yeoksam1-dong, Bangbae2-dong, lower areas is Wolgok-3dong, Jamsil2-dong, Gangil-dong. And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through amount of power consumption per unit area. Upper areas is Guui1-dong, Myeong-dong, Sogong-dong, lower areas is Jingwannae-dong, Jingwanoe-dong, Gangil-dong. Third, activate area for urban regeneration corresponding climate change were derived Gangbuk-gu, Yeongdeungpo-gu, Seongdong-gu, Dongdaemun-gu etc.
소장처 한국도시행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도시재생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제도개선 연구
서수정(Seo, Soo Jeong) ; 윤주선(Yoon, Zoosun) - 연구보고서(정책) : 2015 No.02 (201508)
한국적 도시재생의 개념과 유형,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김혜천 - 도시행정학보(한국도시행정학회 논문집) : v.26 n.3 (201309)
지역특성을 고려한 스마트 축소 도시재생 전략 연구
성은영(Seong, Eunyoung) ; 임유경(Lim, Yookyoung) ; 심경미Lim, Yookyoung ; 윤주선(Yoon, Zoosun) - 연구보고서(기본) : 2015 No.10 (201512)
도시재생사업에서 저탄소 녹색 계획요소 활용 및 탄소 저감 효과에 관한 연구
김영환 ; 박상준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5 n.1(통권 제61호) (2014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