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도시쇠퇴의 공간적 확산현상과 쇠퇴확산 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 Spatial Diffusion of Urban Decline and Major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iffusion
저자명 엄현태(Eom, Hyuntae) ; 우명제(Woo, Myungje)
발행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수록사항 국토계획, Vol.51 No.2(통권 220호) (2016-04)
페이지 시작페이지(5) 총페이지(14)
ISSN 1226-7147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도시쇠퇴 확산현상 ; 도시재생 ; 공간자기상관//Spatial Diffusion of Urban Decline ; Urban Regeneration ; Spatial Autocorrelation
요약2 Globally, many factors, such as changes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urban sprawl,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have caused urban decline. Cities experiencing such urban decline have enforced urban revitalization policies. Also, most Korean cities have recently experienced urban decline which results in enacting urban regeneration policies at the national level. While existing studies on urban decline have focused on identifying major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cline, few studies have attempted to measure spatial diffusion of decline in Korea. As urban decline is characterized as spatial problems, not only finding the factors but also predicting its spread is important to prevent future urban decline. In this contex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urban decline areas of Seoul in Korea and to measure the spread of urban decline through analysis of spatial autocorrelation and a spatial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show that there exists spatial diffusion of urban decline in Seoul, and urban decline on districts in terms of population, establishment, and dwelling unit is influenced by some variables of its nearby areas. This implies that we need to consider neighboring areas of the declined districts when urban regeneration policies are developed at the district level.
소장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한국적 도시재생의 개념과 유형,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김혜천 - 도시행정학보(한국도시행정학회 논문집) : v.26 n.3 (201309)
저층 노후주거지에 대한 새로운 도시재생 접근방법 제안
김용승(Kim, Yong-Seung) ; 김소연(Kim, So-Ye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2 No.12 (2016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도시재생사업 활성화를 위한 지자체 부서간 협업 수준 진단:
이정목 ; 이삼수 ; 김민 ; 황규홍 - 도시행정학보(한국도시행정학회 논문집) : Vol.29 No.2 (201606)
[논문] 도시 쇠퇴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조윤애 - 국토계획 : v.49 n.7(통권 209호) (201411)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2 (20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