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도시재생사업 추진과정에서의 주민참여 실태 조사연구 / 부산광역시 산복도로 르네상스 사업지구를 중심으로 / A Survey Study on Resident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 Concentrated on the Sanbok-doro Renaissance Urban Regeneration Area in Busan -
저자명 정성규(Jung, Sung-Gyu) ; 문건주(Moon, Keon-Ju) ; 유길준(Yoo, Kil-Joo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Vol.17 n.05 (통권69호) (2015-10)
페이지 시작페이지(31) 총페이지(9)
ISSN 1229-5752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도시재생 ; 주민참여 ; 마을만들기 ; 산복도로 르네상스//Urban Regeneration ; Resident Participation ; Community Rebuilding ; Sanbok-doro Renaissance
요약1 최근까지 우리나라 도시의 기존 주거지 재개발은 공급위주의 도시정책 관점에서 확장과 개발이라는 정책위주로 시행해온 결과 거주자 중심이 아닌 물리적 환경개선에 치중하여 전면적으로 재개발을 하는 과정에서 인구의 쏠림 현상과 상권의 이동 등으로 원도심의 공동화와 함께 쇠퇴에 따른 사회·경제적인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도시재생이라는 관점에서 사업 추진을 꾀하고 있다. 이러한 사업이 해당지역 거주자의 참여를 최우선으로 하여 사업을 시행하도록 하고 있는바, 본 연구에서는 주민의 참여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에서 추진하였던 "산복도로 르네상스" 1차 사업지구를 중심으로 주민참여 형 도시재생사업의 성과를 설문지 법 및 면접법 등으로 도시재생사업에 '참여경험 있는' 주민과 '참여경험 없는' 주민을 대상으로 그룹별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참여경험 있는 주민은 도시재생사업에 대하여 재참여의사가 높게 나타났을 뿐 아니라 추진주체 역시 주민이 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향후 도시재생사업의 주체선정과 같은 조직구성에 중요한 시사점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재생활성화에 대한 주민의 요구 중, 주택개량사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2, 3순위의 응답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경우에는 '기반시설개선'이나 '마을기업설립과 운영' 같은 공공사업에 더 많은 요구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도시재생사업이 지속가능한 도시기능의 회복에 있으며, 주민의 참여가 전제될 때 단순한 환경정비 사업을 극복하고 마을기업, 공동작업장, 주택개량사업 같은 핵심역량을 강화하는 사업을 추진할 수가 있을 것이라는 점을 나타낸다.
요약2 Up to recently, existing urban residential redevelopment in Korea has enforced the extension and development policy in terms of urban policy by supply. Consequently, the redevelopment focused on the physical environmental improvement, not resident-centered, in the process of a sweeping redevelopment, it causes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by inner city decline due to the inclining population and the moving business district. To solve these problems, the government proceed with the project in terms of urban regeneration. As this project gives priority to the participation of that area residents, to find the real condition of the residents participation, this field survey conducts a cross-tabulations by groups that consist of 'participated' and 'non-participated' residents who evaluated the result of the residents participated urban regeneration which concentrated on the first "Sanbok-doro Renaissance" area in Busan by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 method. According to the result, the participated residents have much intention of reparticipation to urban regeneration, as well as the main agent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should be the residents, which confirm the important implications of organization like selecting operator for the future projects. Among the residents' demand of the urban regeneration vitalization, a housing improvement project is the first, but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second and the third responses, they have the more demand of public works like a infrastructure improvement or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community business. This result imply that the urban regeneration is the sustainable recovery of urban function, if the residents participation is a prerequisite, the urban regeneration will overcome a simple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can carry forward the project which strengthen its core capabilities like community business, common workshop, housing improvement.
소장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도시재생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제도개선 연구
서수정(Seo, Soo Jeong) ; 윤주선(Yoon, Zoosun) - 연구보고서(정책) : 2015 No.02 (201508)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도시재생사업 활성화를 위한 관련당사자 의식 조사연구
정성규(Jung, Sung-Gyu) ; 문건주(Moon, Keon-Ju) ; 유길준(Yoo, Kil-Joon)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 Vol.18 n.01 (통권71호) (201602)
[논문]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최강림 ; 이승환 - 국토계획 : v.44 n.2(통권 169호) (200904)
주민참여 마을만들기 계획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
신중진(Shin Joong-Jin) ; 신효진(Shin Hyo-J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2 (2008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도시재생사업 평가요소에 대한 주민-전문가 간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강맹훈(Kang, Maeng-Hoon) ; 송혜승(Song, Hye-Seung) ; 이명훈(Lee, Myeong-Hun)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8 No.3(통권 제81호) (201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