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안도타다오와 쿠마켄고의 건축에서 일본 전통요소 표현특성 비교 / A Study on the Japanese traditional aspects at the Tadao Ando and Kengo Kuma’s Works
저자명 김동영(Kim, Dong Young)
발행사 한국주거환경학회
수록사항 한국주거환경학회 논문집 <주거환경>, Vol.14 No.3(통권 제33호) (2016-09)
페이지 시작페이지(133) 총페이지(13)
ISSN 17380316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안도타다오 ; 쿠마켄고 ; 일본전통요소 ; 원풍경의 재생 ; 반오브젝트 ; 스키야(?奇屋) ; 회유(回遊)동선 ; 유겐(幽玄) 모코시(裳階) ; 무상관(無常?)//Tadao Ando ; Kengo Kuma ; Japanese Traditional Aspects ; the Regeneration of the Landscapes ; Anti-Object ; Sukiya(houes in the style of a tea-ceremony pavilion) ; Japanese De-Tour ; Yu-Gen(subtle grace ; hidden beauty) ; Mokosi(pent roof -below the true roof of a pagoda ; etc) ; Muzokan(a view of life as something transient and empty)
요약2 In the range of the study, the statement has been concluded like below; To overcome monotonous compositions of modern architecture, the earth's characteristic and locality were pursued by Tadao Ando and Kengo Kuma . They established the target to recovered relationships with the earth, as a result, Ando procedures the landscape's regeneration and Kuma does Anti-object within each philosophies. For regeneration of the Landscapes Ando utilizes nature as representation of the earth's memory, and Su-ki, Japanese De-tour, and Yu-gen, the methods of the Japanese' traditional architect, are applied in the modern architect's product: the concrete structrue. Whereas Kuma demonstrates Anti-object by using of micro depiction of particles, which make the most of Japanese's unique means, typically, Mokosi and Japanese De-tour. Moreover, in spacial configuration, Tadao Ando let people experience the change in nature, on the other hand, Kengo Kuma mainly show dynamic properties through Mokosi within the boundary of shape configuration. These properties express the transformable figure in terms of space and shape. It is presumed that those elements are as the muzokan's context-permenant vitality-which is endorsed by the means of the flexibility. Meanwhile, Ando accepted concrete as the external equipments to be a part of landscape, however, Kengo pursued the product system of architecture which includes not only the landscape but also materials from the region or an artisan's technique. In a manner,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Japanestic placeness is more inherented in Kengo Kuma's architect than in Tadao Ando's.
소장처 한국주거환경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쿠마 켄고와 소우 후지모토의 `약한 건축`에 대한 연구
장용순(Chang, Yong-So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30 n.6 (201406)
쿠마 켄고의 일본 전통 건축 요소 해석에 관한 연구
이규리(Lee, Gyu-Ri) ; 김영훈(Kim, Young-Hoon)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8 No.2 (201810)
쿠마켄고 작품의 일본 전통요소 표현경향
김동영(Kim, Dong-Young) - 한국주거환경학회 논문집 <주거환경> : Vol.13 No.4(통권 제30호) (20151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현상학이 건축이론에 미친 영향과 현상학적 건축설계 방법론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김광배(Kim Kwang-Ba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3 n.12 (20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