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도시재생사업의 참여주체별 만족도에 대한 요인분석 /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의 주민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with Urban Regeneration Project between Participants - Focused on the Resident group and Expert group in urban regeneration areas in Seoul -
저자명 강맹훈(Kang, Maeng-Hoon) ; 송혜승(Song, Hye-Seung) ; 이명훈(Lee, Myeong-Hu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ol.33 No.06 (2017-06)
페이지 시작페이지(31) 총페이지(7)
ISSN 1226-9093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도시재생 ;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지역 ; 추진주체 ; 만족도 비교 ; 영향요인//Urban Regeneration ; Urban Regeneration Activation Region in Seoul ; Participants ; Comparison of Satisfaction ; Influential Factors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policy direction abou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Seoul. This study compares different factors affecting a resident group's and an expert's group's satisfaction level o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t group is happier with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an the resident group. Second, two groups think a promotional project is important for urban regeneration. Third, there are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risident's group's satisfaction level on urban regeneration. And the resident group has high expectation for the local government. Forth, the expert group considers that the higher local attachment is, the happier the residents are. However, local attachment is not related to satisfaction of residents on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se ar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policy. First, we need projects or programs which can make residents realize they are a main body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ecause they don't usually think they are an important par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Second, expert group should consider additional factors which can make residents happy when they make a plan of urban regeneration.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도시재생사업 평가요소에 대한 주민-전문가 간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강맹훈(Kang, Maeng-Hoon) ; 송혜승(Song, Hye-Seung) ; 이명훈(Lee, Myeong-Hun)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8 No.3(통권 제81호) (201706)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도시재생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제도개선 연구
서수정(Seo, Soo Jeong) ; 윤주선(Yoon, Zoosun) - 연구보고서(정책) : 2015 No.02 (201508)
한국적 도시재생의 개념과 유형,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김혜천 - 도시행정학보(한국도시행정학회 논문집) : v.26 n.3 (201309)
거주자 및 상인 집단의 도시재생사업 만족도에 관한 연구
강맹훈(Kang, Maeng-Hoon) ; 송혜승(Song, Hye-Seung) ; 이명훈(Lee, Myeong-Hun) - 주택도시연구 : Vol.07 No.03 (201712)
도시재생사업 추진과정에서의 주민참여 실태 조사연구
정성규(Jung, Sung-Gyu) ; 문건주(Moon, Keon-Ju) ; 유길준(Yoo, Kil-Joon)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 Vol.17 n.05 (통권69호) (201510)
[논문]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최강림 ; 이승환 - 국토계획 : v.44 n.2(통권 169호) (200904)
지역 커뮤니티 재생을 통한 도시재생사업의 성과와 문제점 연구
박진석(Park, Jin-Seo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3 No.02 (201702)
[특집] 포스트 코로나19 도시계획의 과제와 방향
정재용(Chung, Jae-Yong)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4 No.06 (20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