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울산시 경관요소의 역사적 변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Landscape Elements in Ulsan
저자명 정민기(Jeong, Min-Ki) ; 한삼건(Han, Sam-Geo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ol.33 No.08 (2017-08)
페이지 시작페이지(79) 총페이지(10)
ISSN 1226-9093
주제분류 도시 / 역사
주제어 전통경관요소(역사경관) ; 고지도 ; 울산팔경 ; 일제강점기 ; 도시경관 변천//Traditional Landscape Elements(historic landscape) ; Ancient map ; Ulsan-Palgyeong ; the Empire of Japan Occupation ; Urban Landscape Transition
요약2 In Ulsan, there have been GyeongsangJwado-Byungmajeoldosayoung and a government office together since old times and Byungmajeoldosa, a military commander that had played a role in front line defense of Japanese invaders worked in GyeongsangJwado-Byungmajeoldosayoung. Ulsan has lost its identity since a traditional city structure was changed through industrialization from district rearrangement project and thoughtless develop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Recently, there has been a brisk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projects in central Jung-gu where a local office existed in the JoseonDynasy and also Byeongyeongregion where GyeongsangJwado-Byeongyeongseong located in the past. Though progress has been made, there isn’t much historical consideration and concrete analysis regarding traditional landscape elements in Ulsan. Therefore, we considered that Ulsan needs a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the landscape elements systematically. First, this study analyses location and character of the eup-seong of Ulsan village and also main facilities of Jinsan village from the Goryeo Dynasty and the Joseon Dynasty. Then, it reveals the characters of city landscape elements built in literature from those places. Fin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historical landscape elements have changed and disappeare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rough this study, the value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Ulsan would be reappraised and furthermore, this study would become an important preliminary data for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historical landscape elements of Ulsan.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일제강점기 울산지역 성곽도시 구성요소의 변화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김헌규(Kim, Hun-Gyu) ; 한삼건(HanSam-Ge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9 n.2 (201302)
건축에 있어서 텍토닉의 개념
조현욱 ; 김창성 -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통권26호(v.14 n.1) (201405)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한국의 수변공간 도시재생사업 특성 연구
이유경(Lee, Yookyung) ; 이승호(Lee, Seungho) ; 조영태(Cho, Youngtae)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9 No.6(통권 제90호) (201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