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도심선형공원의 보행자 사용패턴과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 광주 푸른길공원의 보행량을 중심으로- /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Pedestrian Use and Spatial Characteristics in Urban Linear Park - Focused on Pedestrian Traffic Volume on Pureungil Park in Gwangju -
저자명 정영법(Jeong, Young-Beop) ; 유우상(Yoo, Uoo-Sang)
발행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Vol.19 n.01 (통권77호) (2017-02)
페이지 시작페이지(77) 총페이지(12)
ISSN 1229-5752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도심 선형공원 ; 공간구조 ; 토지이용 ; 보행량 ; 푸른길공원//Urban Linear Park ; Spatial Configuration ; Land Use ; Pedestrian Traffic ; Pureungil Park
요약1 푸른길공원은 폐선부지중 하나였던 광주광역시 경전철 구간으로 도시 미관과 환경등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요소로 남아있었으나 시민의 주도하에 광주 푸른길공원으로 재생되었다. 철도시설로서 기존 도심 공간구조의 단절적 요인으로 작용했던 인자가 선형의 보행공간으로 변모하여 수많은 도시의 가로 조직과 교차하면서 도시공간구조에 많은 변화를 일으키며 도심 내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작용 인자로 자리 잡아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이용자의 사용패턴도 복잡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푸른길공원으로 변모한 후 푸른길공원이 도시공간구조에서 어느 정도의 위상학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푸른길공원의 보행자 사용패턴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에 관해 연구하는 것은 도심재생의 측면에서 푸른길공원의 영향력 분석과 향후 푸른길공원의 지속적인 발전과 활성화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푸른길공원을 이용하는 보행자의 사용패턴을 파악하고 푸른길공원의 공간적 특성과 보행자 사용패턴과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이는 도심재생의 측면에서 푸른길공원의 영향력 분석과 향후 푸른길 공원의 지속적인 발전과 활성화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내용을 갖는다. 첫째, 푸른길공원의 요일별, 시간대별 보행자 사용패턴을 보행량을 중심으로 파악한다. 둘째, 푸른길공원 및 인접공간의 공간적 특성, 즉 공간구문론에 기초한 공간구조(Spatial configuration)와 토지사용패턴(Land use pattern)을 도출한다. 셋째, 이런 공간적 특성이 푸른길공원의 보행자 사용패턴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한다. 이를 통해 향후 푸른길공원의 지속적인 발전과 활성화와 유사한 도심의 선형공원의 개발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요약2 Pureungil Park, a linear park located in Gwangju’s urban center is highly appreciated as a successful urban regeneration example. However, there has been few studies that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its spatial features and pedestrian traffic volume. With this regards,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various spatial characteristics or variables along the Park and their relations with use pattern through observing the pedestrian traffic volume at five gates and drawing up the ways to improve the Park’s engagement into the neighboring urban areas. The methodologies and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expected to provide basic references when a urban linear park is planned and to give ideas for physical improvement measures of the existing linear parks as well. Through examining the relations between pedestrian use pattern and spatial configuration, this study tried to extract the multi-functionality of use of the Pureungil Park and its implications on urban park design. With this effort,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with measures for further development and stimulation of the Park and background data for eco-friendly urabn linear park in the future.
소장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논문] 선형공원의 기능성과 접근성에 관한 연구
김재철 ; 박근현 - 국토계획 : v.48 n.6(통권 201호) (201311)
폐선부지로부터 재생된 선형공원 주변의 도시변화 연구
이영석(Lee, Yeong-Seok) ; 조동범(Cho, Tong-Buhm) ; 류영국(Ryu, Yeong-Guk)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8 No.5(통권 제83호) (201710)
[특집] 포스트 코로나19 도시계획의 과제와 방향
정재용(Chung, Jae-Yong)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4 No.06 (202006)
아모레퍼시픽 사옥 설계사례
최도석 - 설비저널(대한설비공학회지) : Vol.47 No.12 (201812)
건축 공간의 경계 모호성과 투명성
고경호(KO Kyeongho) ; 김덕수(KIM Duk-S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07 No.01 (20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