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도시건축박물관 건축기록물 수집·관리방안 연구 / Architecture Museum Archives Collection Management Research
저자명 엄운진(Um, Woon Jin) ; 김꽃송이(Kim, Kot Song I) ; 성은영(Seong, Eun Young)
발행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수록사항 연구보고서(기본), 2016 No.11 (2016-12)
페이지 시작페이지(1) 총페이지(13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건축기록물 ; 도시건축박물관 ; 수집 ; 정리 ; 관리//Architecture Museum ; Archives Collection ; Management
요약1 최근, 도시건축박물관 건립이 본격적으로 추진됨에 따라 건축기록물에 대한 수집, 관리 단계에서 고려되어야 할 제반 업무과정에 대한 기준 및 절차에 대한 정리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동시에 다양한 건축기록물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어져 왔고 다양한 기관 및 단체에서 건축기록물에 대한 수집, 관리 작업이 진행되어 왔다. 국립현대미술관 및 목천김정식문화재단이 대표적인 기관으로 주로 건축가를 중심으로 진행 중이다. 건축도시공간연구소에서도 개소 이후 지속적으로 건축기록물 및 도시건축박물관 관련 연구를 수행하여 왔으나 주로 정책적인 필요성 및 방향성을 중점으로 추진하여 왔다. 본 연구는 도시건축박물관의 정책목표 및 수집전략 검토를 통하여 건축기록물 수집, 관리의 정책방향을 검토하고 실무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항을 사전에 검토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에서는 박물관 건립과 관련한 정책적인 방향설정에 초점을 맞추어서 진행되었다. 진행과정에 있어서도 도시, 건축분야의 담당부처와 학계 전문가가 참여한 운영위원회를 통해서 기본방향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기본적인 방향설정은 이루어졌으나 기관의 고유성을 보여줄 수 있는 1차 자료는 선정되지 않은 상황으로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국토개발의 과정을 중심으로 한 국토발전전시관 등이 개관을 준비하고 있는 상황으로 도시, 건축분야의 일부 콘텐츠간의 중복성에 대한 우려도 제시되고 있어서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기록물관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시점은 2009년으로 당시 국내에 건축기록물 관리에 대한 사례가 다양하게 존재하지 않았다. 국가기록원의 일제강점기 기록물에 대한 연구등이 수행된 상황이었다. 하지만, 이후로 목천문화재단, 국립현대미술관을 통해서 다양한 기록물 수집,관리 사례가 이루어져 왔다. 사업초기 단계에는 각 기관별 성격을 고려하여 자체적인 방법론을 정리할 시간적 여유가 필요하였던 상황이고, 각 기관별로 사업이 5년정도 진행된 시점에서 각 기관별 정보를 교류할 시점에 도래하였다. 기록물관리는 주로 활용 및 서비스 차원에서 홈페이지 등을 우선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나 자체적인 콘텐츠를 확보하기 위한 수집분야는 미흡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첫째, 기존 도시건축박물관의 수집정책의 구체화를 통한 수집대상의 구체화가 필요하다. 각 기관별 소장자료 현황 및 소장자료 확보를 위한 방법 검토로 수집대상자료를 구체화하는 것이다. 둘째, 수집, 관리의 정책에서 실무적인 업무단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정책구체화 단계에서 고려되어야 할 업무매뉴얼 방향성 검토 (프로세스, 주요고려사항 등)하는 것이다. 건축기록물을 관리하고 있는 기관으로는 국가기록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역사박물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문화정보원, 문화재청, 목천김정식문화재단이 대표적이다. 각 기관은 설립목적 및 특수성에 따라 각기 수집자료는 다소 차이가 있다. 현실적으로 수집대상 자료를 검토하기 위해서는 도시건축박물관의 '기관운영정책' 과의 부합성와 자료의 '수집가능성'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하며,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음에도 자료보관의 여건에 따른 '시급성' 등이 종합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기관운영정책은 구체적인 운영단계를 통하여 구체화될 필요가 있으며 현재 시점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되었던 도시건축박물관의 비전인 '한국도시건축의 이해와 문화의 성장을 이끄는 국립 도시건축박물관'을 고려하였을 때, '한국도시건축의 이해를 위해서 필요한 자료'이다. 수집대상의 범위를 구체화하기 위하여 영역으로는 건축, 도시, 국토로 구분하고 시기로는 선사부터 향후 미래의 모습까지를 시기적 범위로 구분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최초로 건립되는 도시건축박물관의 상징성 차원에서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를 총괄하는 연대기적 전시공간으로 '역사관'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수집대상으로 각 시대를 대표하는 유물의 소장 보다는 연표 등을 통한 전반적인 흐름을 제공하는 수준에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도시건축박물관의 주요 수집대상은 건축 및 도시의 영역, 시기로는 근현대로 한정할 수 있다. 수집업무는 건축기록물에 대한 수집여부를 판단하고, 목표 및 방향에 맞는 자료에 대해 기증의사를 받아 기록물을 이전하는 과정이다. 일반적으로 수집업무에는 수집기획에서 목록화 등과 관련한 정리단계를 포함한다. 이후로 기관에 반입되어 보존처리 및 활용을 위한 메타데이터 부여 등의 작업이 진행된다. 도시건축박물관의 기능과 관련하여서는 주로 '수장' 및 '보수, 복원' 기능과 관련된다. 수집된자료를 어떻게 정리하고 향후 활용단계인 전시, 출판 등을 위하여 효율적인 관리방안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게 된다. 정리 및 관리전략은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정리업무는 인수된 수집자료를 바탕으로 자료의 일체화, 관계를 체계화 하는 단계이다. 관리업무는 원본자료의 최소 훼손 및 장기 보존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단계이다. 원형보존을 위한 보존처리업무는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전문가에 의한 작업이 필요하여 별도의 시설을 마련하거나 전문기관과의 연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보존처리가 아닌 디지털 보존처리(스캐닝)을 중점으로 작성되었다. 선행연구1)에 따르면 2020년부터 운용인력이 조직되고, 2018년부터 개관준비 및 시범운영 진행, 2017년 준비기간으로 제시된바 있으며 개관준비위원회를 구성하여 건립추진, 전시기획, 유물수집 및 평가의 전문인력이 구성되는 것이 제시된바 있다. 즉, 준비기간에는 자료수집 및 전시운영 인력들을 중심으로 개관준비 기획전시 및 연구 등을 진행함으로서 개관이전에 운영역량을 키워나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시건축박물관의 개관이전의 준비단계를 중심으로 시기를 구분하여 보면, 운영조직이 확정되기 이전인 '건립준비팀 운영단계', '운영조직 확정 단계'로 구분하여 볼 수 있으며 각 단계별 추진전략 및 앞서 검토된 사업 및 정책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국립박물관단지 예비타당성조사 때 제시되었던 도시건축박물관 개관 시점의 소장자료 목표수량은 서울역사박물관 사례를 바탕으로 10,294점, 유물구입비 216억원으로 제시된바 있으며 이는 부처에서 확보할 계획이다.2) 연차별 계획에는 이러한 요소를 검토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립박물관단지 내 도시건축박물관 건립의 구체화되는 과정 속에서 진행되었다. 시기적으로 '도시건축박물관 콘텐츠 개발 및 전시기획 연구'의 후속적인 연구로 향후 도시건축박물관 콘텐츠 수집 등과 관련한 국토교통부의 정책수요를 사전에 대응하기 위한 준비 연구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건축기록물 수집관리와 관련하여서 정책, 실무의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정책과 관련하여서 도시건축박물관의 수집대상 자료의 구체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실무와 관련하여서는 2009년 선행연구 이후로 진행된 사업사례를 참고로 업무매뉴얼 단계로 진행하기 위한 정리작업을 진행하였다. 도시건축박물관의 사업추진 주체는 정부라는 점에서 가장 현실적인 수집대상 자료는 국토교통부에서 소장하고 있는 건축기록물을 중심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건축기록물은 건축도시분야의 정책을 중심으로 프로젝트 및 인물들이 다루어질 것이다. 현재의 건축도시의 조성의 과정을 이해하고, 성과와 반성을 통해서 미래의 정책방향을 모색하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다만, 이 과정에서 민간부문의 협력이 없이는 온전한 건축도시의 역사를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도시건축박물관 건립과정에 있어서 민간부문의 지속적인 협력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요약2 Recently, as the construction of urban architecture museums is being promoted in full scale, the necessity of summarizing the standards and procedures of the various business processes to be considered in the collection and management stages for building documentary has been raised. At the same time, collection and management work has been progressed for architectural documentaries from various organizations and organizations whose importance for various architectural documentaries has been recognized. As the representative institu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Mok Chong Kim / Jong Shik Cultural Foundation, it mainly focuses on architects. We have been conducting research related to architectural documentary and urban architecture museum continuously from the site of the Urban Urban Space Research Institute, but mainly focused on policy necessity and direction. In this research, we will consider the direction of the policy of collecting and managing architectural documentary, considering policy objectives and collection strategy of urban architecture museum, and want to consider matters that may occur in practical process in advance. Prior research focused on policy orientation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museum. In the process of progress, we examined the default direction through the Steering Committee, which involved departments in the city and building fields and academic experts. Through this process, the setting of the basic direction, but the primary material that can show the uniqueness of the institution is in a situation where it is not selected, and further research on this is necessary. In addition, concerns about redundancy between part of the contents of the urban and building fields are also presented, as the National Development and Exhibition Hall, which mainly focuses on the national land development process, is preparing to open, Consideration is necessary. At the time documentary management research was done, there were no diverse cases for domestic architectural documentary management at that time in 2009. A study on the colonial period documentaries of the National Recording Institute was held. However, since then, through the Mokcheon Cultural Foundation and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various documentaries have been collected and managed cases. In the early stage of the project, time was required to organize its own methodology, considering the nature of each agency, and from the time the project advanced by about 5 years about each agency, information by each agency I arrived when I exchanged. Documentary management is primarily utilized and priority is given to homepages etc. at the service level, but the field of collection for securing unique contents is insufficient situation. In this research, first, it is necessary to materialize the object of collection through realization of the collection policy of the existing urban building museum. We will materialize the data to be collected in the current status of each institutional collection and the method for securing the holding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ractical operational procedures with collection and management policies. (Process, major consideration, etc.) of the direction of the business manual to be considered at the stage of policy realizatio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the Seoul Museum of History, the Cultural Intelligence Agency of the National Asian Cultural Complex,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the Mokcheon Kim Jung Sik Cultural Foundation are examples of institutions that manage architectural records. Each institution differs slightly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specificity of the establishment. In reality, in order to review the collection target data, it is necessary to consider both the compatibility with the 'institutional management policy' of the city architecture museum and the 'possibility of collection' of data, and the 'urgency' . The institutional management policy needs to be formulated through specific operational stages. At the present time, when considering the vision of the urban architecture museum, which was presented in the previous research, the 'National Urban Architecture Museum' 'It is a necessary material for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ity architecture'. In order to specify the range of objects to be collected, the area is divided into architecture, city, and country. In the precedent study, "History" was proposed as a chronological exhibition space covering the whole from prehistoric times to modern times in the symbolic aspect of the first urban architecture museum. However, it should be reviewed at the level that provides overall flow through the chronological table rather than the collection of artifacts representing each age. Therefore, the major objects of urban architecture museums can be limited to the modern and contemporary areas of architecture and city. Collection is a process of judging whether to collect for architectural documentary, transferring documentaries, receiving intention to donate materials according to goals and directions. Generally, collecting work involves gathering planning related lists etc. Including cleanup procedures. Since then, it has been brought in to the institution, work such as granting metadata for preservation processing and utilization is done. In relation to the function of the urban architecture museum, it is mainly related to the function of 'chief' and 'maintenance and restoration'. We will review how to organize the collected data and how to effectively manage it for exhibition, publishing, etc. in the future utilization stage. Organizing and managing strategies can be distinguished between analog and digital. The summary work is the stage of unifying data and systematizing relationships based on acquired data collected. The administrative work is a process of processing so as to be able to minimally damage and preserve the original data. The preservation processing work for circular preservation requires work by professionals with expert knowledge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other facility or consideration for cooperation with specialized agencies, so books Research was focused on digital preservation processing (scanning) rather than physical preservation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 the management personnel will beorganized from 2020, the opening preparation and trial operation will be started from 2018, and the preparation period will be 2017. The preparation committee will be established to promote construction, exhibition planning, As shown in FIG. In other words, during the preparatory perio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operational capacity before opening the exhibition by conducting preparations for opening, planning, and research, focusing on data collection and exhibition management personnel. Therefore, it can be divided into the stage of operation of the construction preparation team and the stage of establishment of the operating organization, which are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operating organization, in terms of the prepa ration stage prior to the opening of the city architecture museum. And the business and policy discussed above are as follows. In addition, the target quantity of the collection materials at the time of opening of the urban architecture museum, which was presented in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of the National Museum Complex, was suggested to be 10,294 points based on the case of the Seoul Museum of History and the purchase cost of relics of 21.4 billion w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concrete process of construction of urban architecture museum in national museum complex. This is a follow - up study of the contents development and exhibition plan study of urban architecture museum in a timely manner, and it is a preparatory study to anticipate the policy demand of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Transport in relation to collection of contents of urban architecture museum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in the direction of policy and practice in relation to the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architectural records. First, the policy of the city museum of museums to collect the materials to be specified in the materialization. Second, in relation to the practical work, we organized the work to proceed to the stage of the work manual with reference to the case of business conducted after the previous research in 2009.
소장처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특집] 독일 건축 박물관
백경무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47 n.8 (200308)
유럽 건축박물관의 운영현황
우동선 ; 전봉희 -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205)
한국의 건축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기초적 연구
전봉희(Jeon Bong-Hee) ; 우동선(Woo Don-Son) ; 이우종(Lee Woo-J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3 (200403)
건축가 아카이브 구축 및 활용방안 연구
조준배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6 (20091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해외 건축박물관의 최근 동향과 시사점
오성훈 - AURI BRIEF : n.2 (200904002)
미국 동부 건축 도서관 및 아카이브의 운영실태
전봉희 ; 우동선 ; 이우종 -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305)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논문]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최강림 ; 이승환 - 국토계획 : v.44 n.2(통권 169호) (20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