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복합문화공간에 관한 연구 / 헤이마켓(Hay Market)을 중심으로 / Study of Comprehensive Cultural Space Focused on “Hay Market”
저자명 나선영(Sunyoung Ra)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2 No.02 (2017-04)
페이지 시작페이지(47) 총페이지(10)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플리마켓 ; 프리마켓 ; 힐링 ; 복합문화공간 ; 그린어메니티//Flea Market ; Free Market ; Complex cultural Space ; Healing ; Green amenity
요약1 21세기의 산업의 초고도화와 초고속 정보화시대가 진행되면서 소비자의 구매형태의 다양화가 진행되고 있다. 프리마켓, 전통시장, 슈퍼마켓, 백화점, 창고형 대형매장, 아울렛 등의 오프라인 판매와 홈쇼핑, 인터넷 쇼핑 , 모바일 쇼핑 등 온라인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다. 도시의 콘크리트화, 각종 소음, 환경오염, 정보의 과부화에 시달리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대 도시인들은 만성피로에 시달리며 일상을 탈피하여 몸과 정신의 웰빙을 추구하고 있다. ‘헤이마켓’이 열리는 공간은 숲과 농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심과 근접한 경기도 과천시 주암동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에서 2014년 부터 매년 가을 프리마켓, 아트 와 디자인 전시, 음악공연, 영화상영 등 상거래와 문화체험을 함께 할 수 있는 ‘헤이마켓’이 열리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거래뿐만 아니라 문화 행사 등이 행하여지는 복합문화공간 으로서의 역할에 대해‘헤이마켓’의 사례를 분석하고, 그린어메니티를 갖추고 있는 ‘헤이마켓’이 일반시민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시장, 문화체험장, 웰빙, 힐링 등 복합문화공간으로서 그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헤이마켓’이 지속가능한 복합문화공간의 자유로움과 다양성을 추구하고 이를 통하여 지적인 자극을 필요로 하는 현대인들에게 행복하고 아름다운 삶을 누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에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6년 10월 29일, 30일 열린 프리마켓(Free Market), 예술과 디자이너마켓(Artist & Designer Market)이 복합하여 진행되는 ‘헤이마켓'(Hay Market)을 대상으로 물리적 환경, 구성원, 문화적 환경에 대하여 알아보고, 자료를 통한 국내외 프리마켓의 사례조사에 의해 복합공간으로서의 헤이마켓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결과) 헤이마켓이 열리는 장소는 주로 그린 어메니티를 기반으로 한 친환경 공간이며, 풍부한 경험을 갖은 주최자, 참여자, 시설물, 수도권에서 인접한 위치, 교통 등 물리적 요소가 잘 갖추어진 복합문화공간 공간이므로 지속 가능한 프리마켓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복합문화공간 ‘헤이마켓’의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자연친화 및 환경보호, 자연과 함께하는 건강한 삶 등 헤이마켓 만이 갖는 아이덴티티를 형성하여야 한다. 둘째, 헤이마켓만이 갖고 있는 그린 어메니티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타 프리마켓과 프로그램의 차별성을 추구하여 단순한 시장개념을 벗어나 다양하게 개발 하여야 한다. 셋째, 일반시민과 지역 공동체 내부인 이 모이는 소통교류의 장이 될 수 있도록 운영한다. 넷째, 문화 예술에 국한된 기존 라운지 프로그램에 환경보호, 도시농업, 힐링, 웰빙푸드,, 그린인테리어 ,식물재배 관련 세미나를 포함시켜 결과물을 헤이마켓과 연계한다. 또한 상설농장 운영하여 농산물 재배에서 판매, 농산물 가공품 생산판매가 이루어질 수 있는 상설매장 운영하며, 온라인 커뮤니티를 운영하여 생산자와 소비자의 소통의 장을 마련하여 지속가능한 복합문화공간을 창출한다.
요약2 With the advancement of the industry in the 21st century and speedy information transfer by use of high-speed internet, diversification of consumer purchasing styles is taking place in the modern world. Sales channel is categorized to offline and online sales in various forms of sales platforms; flea markets, traditional markets, supermarkets, department stores, large warehouse stores, outlets, television shopping, internet shopping, and mobile shopping. Modern society and its people are suffering from environmental and noise pollution, and living in the world having to absorb overloading old and new information. Therefore, these modern urban people are distressed from chronic fatigue and seeking health both physically and mentally by going out of their daily life. The 'Haymarket' space is made up of forests and farms, and is located in Juam-dong, Gwacheon-si, Gyeonggi-do, close to the city center. Introduced in 2014, 'Hay Market' let visitors enjoy new commercial and cultural experiences such as autumn flea market, art and design exhibitions, music performances and movie screenings.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case of 'Haymarket' through assessment of its role as comprehensive cultural space. Furthermore, we seek how to effectively spread out the spaces in resemblance of “Haymarket” to the public as a comprehensive cultural space which provide market, cultural exchange, and a healing space to the stressed on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fficiently publicize 'Haymarket' to modern people in pursue of freedom and diversity offering happiness to their stressed everyday lives in need of fresh stimulation. (Method) This study is based on the Hay Market conducted on 29th and 30th of October 2016, whereby Hay Market was designed to be a market combined of free market and artist & designer market.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participants, and the cultural environment of Hay Market were examined, and overseas’and domestic cases of ‘Free Market’were researched in order to come up with effective ways of activating Hay Market as a comprehensive cultural space. (Results) The place where Haymarket is held is mainly a green space based on green amenity. It is a comprehensive cultural space with professional organizers, necessary facilities, and is easily reachable in terms of location and transportation. Hence, it has the potential to develop into a sustainable ‘free market’. (Conclusion) In this study, we suggest the following ways to activate the 'Hay Market' into a comprehensive cultural space. First, it should have its unique identity such as a space of loving nature, and environmental friendly to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forms of market. Second, elaborate and develop on its basic unique identity. Third, space should be designed to foster interactions between people and people, and people and space. Fourth, the existing ‘lounge program’limited to sharing of cultural arts will have seminars with the topic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urban agriculture, healing, wellbeing food, green interior and plant cultivation. In addition, it operates permenant farm, and store where farmers can produce and sell 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and operates an online community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as a sustainable interacting platform with people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커뮤니티 공간으로서의 복합문화시설의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김은정 ; 박언곤 -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 v.24 n.1 (200404)
복합문화시설과 도시공간 연계기능에 관한 연구
박재홍 - 도시행정학보(한국도시행정학회 논문집) : v.24 n.3 (201109)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사례를 통해본 복합문화시설의 프로그램 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심재춘 ; 윤대한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창립60주년 기념) 논문집 : v.25 n.1 (200510)
치유개념이 적용된 복합문화공간 사례 연구
임종훈(LIM Jonghoon) ; 전재현(CHUN Jaeh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09 No.04 (201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