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도서관 건축의 전이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ransitional Space Composition of Library Architecture
저자명 배동식(Dongsig Bae)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2 No.03 (2017-06)
페이지 시작페이지(49) 총페이지(12)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도서관 ; 전이 ; 전이공간 ; 구성 ; 효과//Library ; Transition ; Transitional Space ; Composition ; Effect
요약1 도서관은 이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커뮤니티의 중심공간으로 기능하며, 종합적인 정보 서비스의 공간, 복합적인 문화서비스의 공간으로 인식된다. 복합화된 도서관 건축의 공간 구성에 있어서 전이공간의 개념을 이해하고, 각 단위공간의 구성방법을 분류하고 이에 따른 공간적 특성과 구성효과를 파악하여, 도서관 건축공간에 필요한 전이공간의 중요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건축공간에 있어서 전이적인 의미를 이해하고 전이공간의 지각과 구성을 파악한다. 전이공간의 공간한정요소에 의한 물리적 형태와 전이공간의 성격에 따른 유형 및 특성을 파악한다. 공간한정요소의 구성과 공간의 결합과 배치에 의한 유형을 추출하고 심리적 측면, 기능적 측면, 상징적 측면에서의 공간적 특성과 효과를 파악한다. 작품선정의 범위는 문화 진흥정책이 본격적으로 구현되기 시작한 2000년대의 건축물을 대상으로 하여 전이공간의 구성방법과 공간적 특성을 분석한다. (결과) 전이공간은 통로와 공간관계에 있어서는 통과형, 관통형, 종결점으로서의 공간으로 분류되고, 이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전이공간은 정점에서의 체험과 이동에 따라 체험되고 인식된다. 중정형은 수평으로의 개방적 구성과 중정, 로비를 이용하여 목적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개방형은 중앙홀로써 수직, 수평으로의 상호관입과 매개공간의 성격을 가지며, 상층으로의 보이드에 의한 개방과 볼륨의 대비적 구성방식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분동형의 전이공간은 바닥레벨차에 의한 구성과 볼륨의 대비적 구성방식에 의해 형성되며, 매개적 역할에 의해 공간을 수평적으로 연결한다. 전이공간의 구성은 공간안에 새로운 영역을 설정하여 기능적, 상징적 역할을 하는 삽입공간형, 공간의 중첩에 의한 상호관입형, 공간 자체의 기능?상징적 요구에 대응하는 인접공간형, 제3의 공간으로 연결하는 매개공간형으로 나타났다. 구성유형에 따라 심리적, 기능적, 상징적 측면의 구성효과와 공간적 특성이 형성되는데 전이공간의 성격과 역할에 따라 이러한 공간적 특성이 전이공간에 적용됨을 알 수 있다.(결론) 도서관 건축에서의 전이공간은 배치유형에 따라 구성유형이 다르며 이에 다른 공간적 특성이 다양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특히 공간적 특성은 공간한정요소와 공간의 구성방식에 의해 형성되며 전이공간의 성격과 역할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됨을 알 수 있다.
요약2 Libraries serve multiple functions for their neighboring communities, including offering a central meeting space, providing comprehensive information services, and hosting complex cultural activities. This study understands the concept of transitional space within the scope of library architecture and classifies the method of constituting each unit of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utline the importance of transitional spaces required for library architecture by analyzing spatial characteristics and construction effects, and to identify the perception and composition of these spaces. (Metho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ransitional spaces will be identified, along with physical aspects of design that specifically address space limitations in multi-purpose buildings. Since transitional spaces are experienced by users through movement, classification of these spaces will depend on the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a building and users moving through it, and users’ experience of a transitional space will be analyzed in regards to time spent there. All characteristics of physical space and the resulting effects on users will be analyzed in terms of psychology, functionality, and symbolism.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structures built since 2000, when a cultural promotion policy emphasizing user-centered public spaces was implemented. (Results) Regarding the passage-space relationship of individual buildings, transitional space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space passed by, space passed through, and terminating spaces. The courtyard type of design is based on a horizontal, open structure that uses a central courtyard and lobby to closely connect more areas that are private. The intensive type contains a central hall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inter-coursing, giving it the characteristics of an intermediate space. Based on void toward the upper side, the intensive type uses the contrast between openness and volume in its organization. The separate building type is created by the contrast between organization and volume caused by multiple floor levels. Horizontal space connection between various areas in a building is achieved with intermediating spaces, while transitional space is formed by setting up new spaces therein.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different types of including: insertion space type, having functional and symbolic roles; intersecting type, based on space overlap; adjacent space type, which responds to the functional and symbolic demands of the space itself; and intermediating space type, as connecting spaces. Depending upon organizational type, the psychological, functional, and symbolic organizational effects are formed alongside spatial characteristics. (Conclusions) Transitional spaces in library construction have different organization types depending upon the arrangement type and spatial characteristics. Spatial characteristics are formed by space limitations and spatial organization methods. The study also found that spatial characteristics are diversely applied according to the nature and role of a transitional space.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논문] 도서관 건축에 있어서 공공영역 구성에 관한 고찰
김주성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13호 (200508)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이토토요의 도서관 공간에 나타나는 창조적 인터페이스요소에 관한 연구
황미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9 n.3(통권 80호) (201006)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커뮤니티 도서관의 사용자 중심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등등(Teng, Teng)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7 No.3(통권 128호) (201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