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개인의 성격이 반영된 개인공간에 관한 연구 / TV드라마 주인공의 공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ersonal Space Reflecting an Individual’s Personality- Centered on the spaces of the protagonists in the TV dramas
저자명 김우현(Woohyun Kim) ; 이정교(Junggyo Lee)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2 No.03 (2017-06)
페이지 시작페이지(61) 총페이지(14)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성격 ; 개인공간 ; 경계 ; 개인화 ; 상징성//Personality ; Personal Space ; Boundary ; Personalize ; Symbolism
요약1 공유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사회 속에서 현대인들은 자의·타의로 인해 프라이버시를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 스스로에 대한 갈망이 높아지며, 자기 존중감을 고취시키고자 하려는 모습이 보인다. 이러한 노력은 소득 수준이 향상되고, 삶의 여유(경제, 시간, 마음)가 생기면서 ‘나’에 대한 갈증을 충족시킬 수 있는 공간을 소유하고자 하는 형태로 사회 속에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을 배경으로, 본 연구는 다양화 된 개인의 욕구(Needs)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공간해석 프로그램 및 방법으로 개인의 성격이 반영된 개인공간의 개념 및 필요성을 해석하고, 개인공간의 특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진행은 다음과 같다. (연구방법) 첫째, 개인공간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개인공간의 정의를 제시한다. 둘째, 개인공간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인공간의 특성 및 키워드(key word)를 도출하고, 각 특성에 대한 디자인 요소를 정의한다. 셋째, 성격심리학의 대표 학자들(울포트, 아이젠크 등)의 이론을 성격의 개념을 정의하는데 사용하며, ‘성격 5요인 이론’을 개인의 성격 분석 도구로 활용한다. 넷째, 상기 과정에서 도출한 개인공간의 특성과 ‘성격 5요인 이론’을 바탕으로 사례분석 모형을 제안한다. 다섯째, 개인공간을 규명하기 위하여, 최근 3년간 방영된 드라마 중 인물의 심리에 중점을 두고 있는 드라마 내 주인공의 개인공간을 사례로 선정하여 상기 분석 모형을 이용해 종합 분석한다. (결과) 개인공간은 ‘경계’, ‘개인화’, ‘상징성’ 세 가지의 특성을 가진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개인공간의 특성들은 모두 개인의 성격이 반영된 요소들로 공간에 표현됨을 사례분석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성격 5요인 중 가장 감정적인 요인인 ‘신경증’은 특히, 개인공간에서 ‘상징성’과 밀접한 관계를 보이며, 자아를 표현하는 상징물(오브제)로 공간에 두드러지게 표현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개인의 성격이 개인공간의 특성에 반영되어 시각화될 때, 개인공간과 개인(사용자)과의 개연성이 매우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개인공간을 디자인하고 구성하는 데에 있어 더욱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이를 통해, 개인공간의 특성에 공간 사용자의 성격이 중요한 인자로 적용되며, 개인공간 디자인에 핵심적 디자인 인자로 활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현대사회에서 개인공간이 특별한 개념과 경향으로 다양성을 갖고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향후 개인공간 특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더욱 다양한 콘텐츠로 진화되는 개인공간의 연구에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요약2 Today, the importance of public ownership is becoming an issue as more people report a lack of privacy in their surroundings. Having a private space set aside for relaxation can dramatically increase one’s happiness and sense of fulfillment. Based on this, the current study will analyze the concept of and need for personal spaces that reflect the individuality of the user, using a space analysis program and methodology addressing diversified personal needs. (Method) Firstly,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etical concept of “personal space” to suggest an appropriate definition for this term. Second,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this topic, seeks to determine the key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ersonal spaces, define design factors for each characteristic, and examine how people talk about such spaces. Next, the theories of major scholars in personality psychology, particularly Wolford and Aisen, are consulted in order to define the concept of personality, after which the “personality 5 factor theory” will be tested as a tool for analyzing each personality type. Fourth,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space and the personality 5 factor theory derived from the above process, this paper will suggest a case model for use by future scholars. Fifth, in order to identify personal space, limit drama that focuses on person's mind shown in the last 3 years and select by case of drama's main character's personal space, and proceed with a comprehensive analysis using the above framework. (Results) The authors concluded that personal space has three characteristics: boundary, personalization, and symbolism. Case analysis confirms that each characteristic is expressed in relation to personality factors. Among these thre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space, boundary came out to be the space user's 'openness' and 'extroversion', and symbolism reflects largely on 'neurosis' among the personality five factors. Lastly, we found out that an ideal personal space reflects the user’s personality while also balancing all three of the characteristics presented above. (Conclusions) From these results, the authors determined that the user's personality is the main design factor in creating a personal space. This indicates that contemporary personal spaces are diverse in both concept and design, depending on the individual. Finally, this study aims to serve as a guideline for future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ized spaces, even as these spaces are becoming more evolved and containing more diverse contents than ever before.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개인주거공간의 프라이버시와 공적공간관계에 관한 연구
신병윤(Shin Byang-Youn) ; 김광현(Kim Kwang-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7 (200907)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특집] 친환경 건축물의 개념 및 계획 방법
윤종호 - 건축환경설비(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지) : v.1 n.2 (200710)
인간의 공간형태에 있어서 환경심리에 관한 연구
임만택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v.6 n.6 (199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