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공공디자인 관점에서 가로경관 개선사업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구미시 문화로 디자인거리 조성사업’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User Satisfaction for the Streetscape improvement Project from a View of Public Design - Focused on the Mun Hwa-ro Design Street, Gumi
저자명 김영훈(Younghoon Kim) ; 이돈일(Donil Lee)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2 No.03 (2017-06)
페이지 시작페이지(223) 총페이지(10)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공공디자인 ; 지방자치단체 ; 가로경관 ; 디자인거리 ; 이용자 만족도//Public design ; Local government ; Streetscape ; Design street ; User's Satisfaction
요약1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공공디자인을 통한 도시 경쟁력 강화 및 지역의 가치를 높이는데 힘쓰고 있다. 특히 1995년 민선지방차지시대가 출범하면서 도시간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정주여건 개선 및 쾌적한 도시경관 확보를 위해 다양한 공공디자인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디자인거리 조성사업과 같이 한도시의 대표적 가로공간에 대한 통합 디자인 사업은 시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이루며 또한 많이 예산이 투입되고 있어 사업종료 이후 이에 대한 효과에 지방자치단체 입장에서는 민감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구미시에서 시행 완료한 문화로 디자인거리 조성사업의 경제적, 사회적 효용가치를 추정함으로써, 최근 문제점이 되고 있는 공공디자인 사업의 실효성에 대한 논란에 대한 근거기준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의 범위는 구미역사거리에서 금오산네거리까지의 문화로 560m 구간으로 국한하였으며, 조사대상은 문화로를 이용하는 일반 시민과 문화로에 면한 점포에서 상업활동을 하는 상인 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는 2장에서 선행연구 검토와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고, 3장에서는 본연구의 대상지에 대한 현황과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4장에서는 이러한 데이터를 가지고 종합적인 분석의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5장에서는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를 서술하였다. 특히 설문조사의 분석항목을 설정하여 연구자 주관에 의해 사업 수행시 중요하게 고려된 요소를 항목으로 추출한 후 이용자 및 상인 공통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두 집단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각 주체들이 느끼는 문화로 디자인거리 조성사업에 대한 만족수준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설문지 구성은 각 항목의 만족수준을 묻는 리커르트(Liketr) 척도로 이루어졌으며, 본 설문을 통해 얻어진 원 자료는 통계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가로공간 만족요인을 설명하는 인자를 추출하여 각 인자별 중요도와 만족도를 산출한 후 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는 대상지역의 가로를 구성하는 물리적 변인뿐만 아니라, 가로활성화에 영향을 주는 비 물리적인 변인들도 포함하는 이 연구의 포괄적인 접근방법은 공공디자인 개선사업 중 특히 가로환경개선사업을 통한 개선 대상이 되고 있는 물리적 시설물과 가로경관 요소에 장소적 특성 및 환경 심리적 요소도 가로 전체 만족도의 주요한 변인으로 보고 있다. (결론)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인 공공디자인사업에 대한 평가는 이 요소들이 전체 만족도에 차지하는 비중을 함께 고려할 때 보다 정확하게 판단 할 수 있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요약2 Local government has been striving to enhance the value of competitiveness through public design in the city. In particular, since the launching of the local self-government age in 1995, each local government promotes various public design projects for improving residential homes and urban landscapes. Distance during formation projects, such as limits on designs of street space for an integrated business design that closely relate to the lives of citizens, requires a large budget. The project after the end of this, but is sensitive, municipal governments forced to the effects of response. (Method) As a result, this study in design culture and street construction in Gumi-si shows economic and social utility are used to estimate values affected by recent problems. The purpose of public design is to draw the basis for criteria us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a project. Geumosan crossroads in the street to the history of Europe and America is the range of specific studies to 560 m section to scrutiny, using ordinary citizens and the munhwaro. A merchant who conducted business among the commercial activity is immune from stores in munhwaro. This study develops as follows: part two contains advanced research, reviews, and theoretical research. Part three presents a study on the status of sites used in this research and analysis. Part four introduces date collected and offer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results, along with implications of this study. Part five discusses limitations of this study. In particular, the analysis of survey items by setting the researchers, project implementation, by the charge of important factors taken into account a common questionnaire after extraction as users and merchants. To form. The survey for the two groups each design with a culture players feel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distance for analysis. This configuration is ask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each item on the questionnaire for the rikeoreuteu (liketr), as a way to measure survey data, according to the original data,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present study included physical variables that make up the street of the regions to be studies. The comprehensive approach to public improvement projects, particularly street design improvement projects, is subject to improvement through the physical facilities and at Streetscape - Focused on the elements characteristics in place. Psychological factors and conditions see as a variable overall satisfaction of the main street. (Conclusions) The aim of this project was to provide an assessment of public design projects and determine more precisely when to consider satisfaction within the realm of all factors together.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사람 중심 가로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 연구
임유경(Lim, Yookyoung) ; 성은영(Seong, Eunyoung) ; 임강륜(Lim, Kang Ryoon) - 연구보고서(기본) : 2015 No.06 (201510)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서울시 공공디자인가이드라인의 유니버설디자인 특성 분석
민병아(Min Byoung-A) ; 이수진(Lee Soo-Jin) ; 이연숙(Lee Yeun-Soo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8 (200908)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국내 특·광역시 경관, 도시디자인 및 공공디자인 정책 비교 연구
이정수 ; 윤성훈 ; 한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2(통권 제44호) (201104)
상업가로 활성화를 위한 도시설계 방안 연구
오성훈 ; 진현영 - 연구보고서(기본) : 2012 n.08 (201210)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도시 공공공간 개선방향 설정을 위한 개념 정립 및 현황 조사 연구
이상민 ; 차주영 ; 임유경 - 연구보고서(기본) : 2007 n.5 (200809)
보행공간 요소에 대한 보행자의 인지 및 보행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규리(Kim, Kyu-Ri) ; 이제선(Lee, Jea-Sun)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7 No.3(통권 제75호) (201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