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고속도로휴게소 화장실 확장에 따른 감성적용 디자인 개발 / Development of Design Applying Futured-oriented Emotion toward Lavatory extension on Highway Rest Area
저자명 이범동(Boumdong Lee) ; 이종세(Jongse Yi) ; 김주연(Jooyun kim)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2 No.04 (2017-08)
페이지 시작페이지(199) 총페이지(10)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고속도로휴게소 화장실 ; 자율주행차량 ; 회전율 ; 공간의 확장성 ; 감성충전//Lavatory on the Highway Service Area ; Autonomous Ground Vehicle ; Turnover ; Emotional Charge ; Extensibility of Space
요약1 우리나라의 고속도로 휴게소는 2016년 한국도로공사 주관 ‘혁신화장실 개선사업’을 통해 낡은 화장실의 시설향상과 고객만족 이라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그러나 개선 후 자체적 설문조사 결과 좁은 공간으로 인한 불편함은 여전히 아쉬운 부분으로 남아 있고, 자율주행 자동자의 등장과 상용화라는 미래적 조건에 맞춰서 근본적인 혁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다. 자율주행 자동차가 상용화되면 기존 휴식의 행태 변화에 따른 편의공간의 비중은 축소될 것이며, 인간의 기본 욕구를 해소할 수 있는 화장실 공간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미래의 화장실은 고정적 구조와 면적에서 벗어난 물리적인 공간의 확장이 필요하며, 생리적 욕구해소만을 위한 공간이 아닌 인간의 다양한 감성적 욕구 충족을 위한 장소로써의 개념변화가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고속도로 휴게소 화장실의 현황을 파악하고, 미래적 가치로서 새로운 개념의 감성 중심적 화장실의 모델을 제안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갖는다. (연구방법) 첫째, 사회 환경적 변화에 따른 휴게소의 기능변화 예측을 기반으로 미래의 고속도로 휴게소 화장실 모습의 변화 가능성을 이론적 고찰을 통해 모색하였다. 둘째, 현재 화장실의 면적 산출 기준과 실제 적용여부, 적용한 기준의 타당성을 서울 만남의 광장 휴게소를 비롯한 4개소의 각기 다른 화장실을 통해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화장실 공간을 다섯 영역(Working, Waiting, Moving, Rest, Experience)으로 분류하고 기능적 공간과 감성적 공간의 적용비율을 분석하여 면적 적용률과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분석 결과 기존 화장실은 오래된 과거 면적산출기준의 적용으로 인한 공간의 협소함이 공통적 현상으로 도출되었으며, 감성적 공간의 적용 비율 또한 모두가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기준대비 적용된 공간의 면적이 넓을수록 감성적 공간의 적용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속도로 휴게소 화장실의 새로운 모델 제시는‘물리적 공간의 확장’과‘감성적 공간의 확장’의 개념으로 접근하였다. 2016년 개선된 화장실 4곳을 비교분석의 대상으로 설정하였고, 실제 증축 예정중인 경부고속도로 칠곡 휴게소 화장실을 콘셉트 화장실의 제시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결론) 미래의 고속도로 휴게소 화장실은 차와 운행 방법의 기술적 변화와 함께 휴게소 사용자의 패턴 변화에 따른 공간적 변화가 요구되어지며, 화장실 공간 또한 단순한 '해소'의 공간을 넘어 '비움'과 '채움'을 통한 감성적 재충전의 공간으로서, 시간이 연장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해야 함이 인식된다. 현대인의 감성 충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서비스공간으로서 본 연구의 디자인 제안이 다가올 시대의 고속도로 휴게소 화장실 공간 설계에 기본적 가이드라인으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요약2 In 2016, the Korea Highway Corporation achieved improvement of facilities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old lavatory through “The Innovative Lavatory Improvement Project.” Following a self-survey that revealed travelers’ desire to make use to the digital features of the space based on the idea of sharing experience and making memories especially,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space’s narrow physical footprint still remains as an unsatisfactory part after the improvement. In addition, there is an opinion that fundamental innovation is necessary in accordance with the future commercialization of an autonomous vehicle that will bring the needed change to existing rest area behavior. Therefore, the lavatory in the future needs to undergo expansion of the physical space outside the fixed structure and the area, and it is required to change the concept of the highway rest area (HRA) from being just a toilet area to a full-featured lavatory that can satisfy various human emotional desi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current situation of lavatories in HRAs of Korea, and as a futuristic value, to propose a new lavatory design applying emotional-centered adaptations. (Method) First, based on various predictions of the HRA due to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the possibility of the lavatory’s shape change in the future HRA was explored several years ago with theoretical consideration. Second, the current calculation standard of estimated area of lavatory and actual application was analyzed with four HRAs that have been remodeled since 2016, including the Man-Nam Square HRA. Lastly, the space of the lavatory was divided into five areas?working, waiting, moving, rest, experience?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pplied areas was examined after the application ratio in functional space and emotional space was analyzed. (Result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narrow space, according to application of the calculation standard in the old past area, represents a common phenomenon, and that despite the number of facilities with technical advances, and the application rate of emotional spaces was still low. However, the larger the area of applied space compared to the standard space, the higher proportion of the application of emotional space proportional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cept of a new lavatory design in HRAs was put forth with “expansion of physical space” and “expansion of emotional Space.” The proposed lavatory design is for the Chilgok Rest Area in the Gyeongbu HRA, which is scheduled for completion at the end of this year. (Conclusions) Future lavatory for HRAs is necessary to meet the spatial change requirements of the futuristic car and driving behavior. Also, the lavatory space should be recognized as a space of emotional recharging as well as technological recharging, through the technique of “emptying and filling emotion” beyond “physical relief.” The design proposal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change the lavatory in HRA into a special space that can be helpful to modern people for charging their emotions and also to be used as a basic guideline for the design of lavatories in HRAs for the future generation.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고속도로 복합휴게소 내 지역 밀착형 도입시설 연구
황미애(Hwang, Mi-Ae)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20권 1호 (201805)
[특집] 친환경 건축물의 개념 및 계획 방법
윤종호 - 건축환경설비(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지) : v.1 n.2 (200710)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SANAA의 건축에서 ‘분위기’의 개념과 구현방식
서정일(Seo Jeong-Il) ; 임리사(Lim Lis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10 (201010)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고속도로휴게소의 선택속성에 따른 지각된 가치가 재방문의향에 미치는 영향
복준영(Jun-Young Bok) - 퍼실리티매니지먼트(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 논문집) : Vol.12 No.2 (201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