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트러스 형태에 따른 스태거드트러스 골조시스템의 내진성능 평가 /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Staggered Truss System by the Shape of Truss
저자명 홍윤수(Yoon-Soo Hong) ; 유은종(Eun-Jong Yu) ; 나창순(Chang-Soon Rha)
발행사 한국전산구조공학회
수록사항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30 No.5 (2017-10)
페이지 시작페이지(397) 총페이지(8)
ISSN 1229-3059
주제분류 구조
주제어 스태거드트러스 ; 역량스펙트럼법 ; 성능점 ; 소성힌지 ; 내진성능수준//staggered truss ; capacity spectrum method ; performance point ; plastic hinge ; performance level
요약1 본 연구의 목적은 트러스의 형태를 바꿔가며 엇갈린 트러스(STF) 시스템의 내진성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예제 구조물은 10층의 철골조 사무실 건물이며, 시스템별로 각각 프랫트러스, 하우트러스, 와렌트러스, 케이트러스와 비렌딜트러스를 적용하였다. 중력하중, 풍하중, 지진하중을 고려한 구조해석을 실시하여 부재에 높은 DCR을 만족하는 단면을 산정한 후 고유주기, 밑면전단력과 층간변위를 산출하였다. 그 후, 역량스펙트럼법을 통해 1.2배의 설계지진(DE)과 최대고려지진(MCE)에 대한 성능점을 산정하고, STF 시스템의 항복여부 및 소성힌지의 분포를 파악하여 구조기준에서 제시한 목표성능수준을 만족하는지 살펴보았다. 평가 결과, 모든 시스템이 해당 목표성능수준을 만족하였으며, 시스템의 경제성 및 효율성을 따져보았을 때, PR10이나 VR10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eismic performance of Staggered Truss Frame(STF) system while changing a shape of truss. The model of this project is a office building of ten floors with Pratt, Howe, Warren, K and Vierendeel truss system applied on each model. Next step is to select the section of elements which satisfy the highest demand capacity ratio by structure design considering gravity load, earthquake load and wind load and then calculate natural period, base shear and story drifts. On the basis of these values, Capacity Spectrum Method(CSM) shows the plastic behavior of STF system such as performance point of Design Earthquake(DE) and Maximum Considered Earthquake(MCE), yield state, plastic hinge etc. to be compared with other truss systems. As a result, Vierendeel STF system especially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strength and stiffness to the corresponding earthquake and all the models for each truss shape fulfilled the target performance level.
소장처 한국전산구조공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트러스 형태에 따른 스태거드트러스 골조시스템의 구조특성에 관한 연구
나창순(Chang-Soon Rha) ; 홍윤수(Yoon-Soo Hong) ; 유은종(Eun-Jong Yu)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Vol.30 No.3 (201706)
비선형 동적해석을 통한 국내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성능 평가
백은림 ; 김정현 ; 이상호 - 한국구조물진단학회지 : Vol.20 No.3 (201605)
건축 비구조재의 내진설계요소 및 내진설계하중에 관한 고찰
최인섭(Choi, Insub) ; 이주희(Lee, Joo-Hee) ; 손정훈(Sohn, Jung-Hoon) ; 김준희(Kim, JunHe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ol.35 No.05 (201905)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구조디자인 측면에서 본 트러스의 구성요소와 역학적 거동특성
이주나(Lee, Jun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30 n.2 (201402)
비구조요소의 내진설계기준 비교
장극관(Chang, Kug-Kwan) ; 임영철(Lim, Young-Chul) ; 서대원(Seo, Dae-W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29 n.1 (201301)
비구조요소의 내진 설계를 위한 층응답스펙트럼 생성 기법
장성진(Sung-Jin Chang) ; 박동욱(Dong-Uk Park) ; 김재봉(Jae-Bong Kim)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Vol.23 No.1 (201901)
[특집] 건축물의 지하구조 내진설계
박홍근(Park, Hong-Guen) ; 김동관(Kim, Dong-Kwan)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3 No.05 (201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