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의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Design of a Fashion Flagship Store - With a focus on brand communication strategies -
저자명 김정은(Kim jung eun) ; 이정교(Lee Jung Kyo)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05 No.01 (2010-03)
페이지 시작페이지(95) 총페이지(12)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 ;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Fashion Flagship Store ; Brand Communication Strategy
요약1 정보기술의 발전과 소비자들의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상품의 구입 목적이 아닌 경우도 제품을 체험하고, 비교하며 구매로 이어지는 쇼핑의 다양성이 생겨났다. 따라서 최근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의 실내디자인은 일반적 상업공간의 연출에서 나아가 브랜드의 정체성을 공간에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감성적 요소들의 적용이 요구된다. 브랜드의 문화를 표현하며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확립하는데 필수적인 플래그쉽 스토어는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전략적 요소로서 일반적인 매장과 차별화되는 특징을 보인다. 즉,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소비 공간을 넘어서 체험공간, 문화공간을 포함하고 있으며, 사회적인 측면에서 소비자를 배려하는 문화적 가치를 지니는 열린 공간-공공 공간을 포함하고 있는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다. 체험·문화 마케팅을 적용한 플래그쉽 스토어는 단순히 제품 판매만이 목적이 아닌 문화 소비의 감각 경험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고 정의할 수 있다.
요약2 Advancements in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a higher income level for consumers led to increased diversity in shopping, whereby purchasing a product was no longer its sole purpose. Consumers began to make purchases for experiential and comparative purposes as well. The interior design of fashion flagship stores lately requires diverse emotional elements to implement brand identity in the space in addition to the common presentation of commercial space. Essential to expressing a brand culture and establishing a brand identity, flagship stores serve as one of the strategic elements of brand communication and have characteristics differentiated from general stores. That is, they today provide various programs, contain a space of experience and culture that goes beyond mere consumption, and have changed to open public spaces laced with cultural values considering customers in the social aspects. When experiential and cultural marketing is applied, flagship stores can offer sensory experiences of cultural consumption in addition to simple products.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브랜드 스케이핑을 적용한 플래그쉽 스토어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최형욱(CHOI Hyungwook) ; 김주연(KIM Jooyun) ; 안진근(AHN Jinke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08 No.04 (201312)
건축 공간의 경계 모호성과 투명성
고경호(KO Kyeongho) ; 김덕수(KIM Duk-S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07 No.01 (201203)
복합문화공간에 관한 연구
나선영(Sunyoung Ra)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2 No.02 (201704)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박수린(Soolin Park) ; 이정교(Jungkyo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3 No.06 (201812)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에 나타난 퍼놀로지(Funology) 공간 특성연구
오혜린(Oh, Hye-Lin) ; 김개천(Kim, Kai-Chun)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6 No.6(통권 125호) (201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