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게슈탈트 지각법칙에 의한 공간디자인의 시지각적 연속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Visual-Perceptive Sequence by Gestalt laws
저자명 이영주(Lee Youngju) ; 이정교(Lee Joungkyo)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05 No.03 (2010-09)
페이지 시작페이지(47) 총페이지(10)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시지각 ; 연속성 ; 게슈탈트//Visual perception ; Sequence ; Gestalt
요약1 도시의 대형화로 인한 공간의 복잡화는 공간인지를 어렵게 하고 있어 시지각적 측면에서의 공간디자인 역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공간지각 기능을 높이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시지각적 연속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며, 특히 형태구성이론에 중심이 되는 게슈탈트 지각이론을 통해 접근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게슈탈트 지각법칙을 차용한 시지각적 분석을 중심으로 사례분석을 실시함으로서 공간에서 시지각적 연속성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공간의 형태를 이루는 물리적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사례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게슈탈트 지각법칙에 의한 물리적 구성요소의 공간연출은 리듬, 반복, 동세의 표현요소에 의해 하나의 형태패턴으로 지각됨으로서 연속성 있는 공간연출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서 게슈탈트 지각법칙에 의한 물리적 구성요소의 연출은 시지각적 연속성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지각요소로 판명되었으며, 공간체험자의 지각변화와 효율적인 공간인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요약2 As city is expanded, complexity of space disturbs space perception. Therefore, the priority is being given to the role of space design from the visual-perceptional aspect. Therefore, the study researched visual-perceptional sequence as a methodology to improve space perception function. Especially, the study approached the purpose through the Gestalt laws, which becomes the center of form constructing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visual-perceptional sequence in space by performing case analysis focused on visual-perceptional analysis using the Gestalt laws. For the purpose, the study performed case research, focusing on physical constructing factors, which organize the shape of space. As s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pace display of physical constructing factor depending on the Gestalt laws are perceived as one of shape patterns by expression skills such as rhythm, repetition and movement, resulting in giving effect to sequential space display. The study revealed that the display of physical constructing factor depending on the Gestalt laws are perceptional factor, which gives very important effect to visual-perceptional sequen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t gives effect to perceptional change and effective space perception of space experiencer.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건축 공간의 경계 모호성과 투명성
고경호(KO Kyeongho) ; 김덕수(KIM Duk-S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07 No.01 (201203)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형태에 있어서 표현의 게슈탈트적 접근에 관한 연구
이명호 ; 이현호 ; 이강혁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v.2 n.3 (198606)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특집] 건축가의 사회적 역활과 책임
박성태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41 n.1 (199701)
SANAA 건축의 경계와 프라이버시에 관한 연구
임진우(Lim, Jinwoo)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61호 (201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