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노인공동주거시설의 공용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노인 여가활동 유형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Community Space feature in the Senior Housing -focused on the Leisure Activity Type of Senior-
저자명 신동관(SHEEN Dongkwan) ; 한영호(HAN Youngho)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06 No.01 (2011-03)
페이지 시작페이지(31) 총페이지(11)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노인공동주거단지 ; 공용공간 ; 노인여가활동//Senior Housing ; Community Space ; Senior Leisure Activity
요약1 노인의 여가활동은 현대를 살아가는 노인이 겪고 있는 역할상실과 소외감으로 인한 정서적인 문제를 극복하는 해결책일 뿐만 아니라, 가정과 지역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새로운 역할을 부여하고, 자기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서 노인의 적극적이고 생산적인 여가활동은 개인적으로는 신체 및 정신건강,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사회적으로는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확립시키고, 노인의 지역사회 내 통합 등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무엇보다 노인의 여가활동은 노인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매우 크다. 노인들에게 동질성을 가지며 공동체 사회를 꾸준히 이어가는 문화가 필요하다. 공용공간은 이러한 활동에 대한 욕구를 노인의 특성에 맞춘 프로그램을 통해 노인의 활동을 지원할 수 있으며 특정 교육 프로그램 지원으로 인격에 대한 추구성에 대하여 충족 시켜 줄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공동주거시설 내 공용공간은 노인의 욕구와 생활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서 특성을 파악하고 선행연구조사 및 사례를 분석하여 공용공간 구성을 위한 기초조사를 하고자 한다.
요약2 The leisure activities of the aged provide not only positive mental attitudes on their feelings left out but provide opportunities of showing their special capacities as social members. In other words, the apartment house community inspires the aged for productive leisure activity with healthy lives both bodies and minds. And it improves the qualities of the aged lives with positive images of them to the societies. These benefits expect optimistic results for combination of the aged to the local societies Above all, the leisure activities of the aged are important for their satisfaction of social desires. It is necessary for the aged to have the lasting common social communities. The common silver society programs for elderly people can support and fulfill their activities and desires as well. Consequently, it is considered the community space as an important passage for the better lives and fulfilling their desires. On this thesis, it is investigated the preceding cases and examples for fundamental study of the community space.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논문] 노인의 특성을 반영한 단위세대 리모델링 제안
홍유석 ; 제해성 ; 권순정 -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 v.13 n.2(통권 27호) (200705)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한 건축 계획적 대응 방안 연구
김민석(Kim, Minseo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02 (202102)
[특집] 건축가의 사회적 역활과 책임
박성태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41 n.1 (199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