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소통하는 주거공간 디자인을 위한 경계의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Boundary Characteristics for the Design of an Interactive Dwelling Space
저자명 변은영(BYEON Eunyeong) ; 김주연(KIM Jooyun) ; 하은경(HA Eunkyung)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07 No.03 (2012-09)
페이지 시작페이지(9) 총페이지(8)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주거공간 ; 소통. 경계//Dwelling Space ; Interact ; Boundary
요약1 이 논문은 거주성이 상실된 현대 사회에서 주거공간의 요구를 분석하고 거주성이 회복된 주거공간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시화, 산업화, 개인화는 주거공간을 단절시키고, 주거공간의 본질보다 경제적, 기능적 측면이 중시되며 본래적 거주성은 상실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거주성의 회복 방안으로 자연, 사회, 인간과의 소통 체계로서 주거공간을 지향한다. 주거공간에 대한 사회적 현황 분석과 담론의 해석을 통해 주거공간의 본 래적 의미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주거공간의 실현방안으로써 소통하는 경계를 인식, 영역, 관계의 확장이라는 세 가지 구조로 분석한다. 사례 분석을 통해 소통을 지향하는 경계의 구축 방법과 효과를 고찰함으로써, 소통하는 주거공간이 가변적이고 투명하며 이동가능한 양상으로 구축되고 자연, 인간, 사회와 소통을 유도하여 거주성의 회복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며, 인간의 존재 방식에 기반하면서도 현대 사회의 변화에 대응하는 주거공간의 방향성을 모색한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of a Dwelling space and to realize it in a modern society where the authentic meaning of a Dwelling is lost. A Dwelling space has been separated due to urban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personalization. As its economical and functional aspects have been emphasized, a Dwelling space has lost its authentic meaning. This study suggests that a Dwelling space should interact with nature, humans and society as a means of restoring its original concept. The authentic meaning of a Dwelling space is construed by analyzing social status and interpreting the discourse about what a dwelling space is from a modern perspective, and the structures of an interactive boundary, as ways of realizing Dwelling space, are analyzed in three ways: the expansion of cognition, area and relation. The construction method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active oriented boundary are considered through case studies. The interactive Dwelling space is constructed on a flexible, transparent and movable basis, and contributes to restoring the authentic Dwelling by inducing interaction with nature, humans and society. This study finds a way to achieve the directionality of a Dwelling space which is based on the way of being of humans and corresponds to the changes of today's modern society.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건축 공간의 경계 모호성과 투명성
고경호(KO Kyeongho) ; 김덕수(KIM Duk-S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07 No.01 (201203)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현대건축의 타자적 경계공간에 관한 연구
최순섭(Choi Soon-Sub) ; 김형준(Kim Hyoung-Jun) ; 전영훈(Jeon Young-Hoon) ; 김광현(Kim Kwang-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4 (200604)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SANAA의 건축에서 ‘분위기’의 개념과 구현방식
서정일(Seo Jeong-Il) ; 임리사(Lim Lis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10 (201010)
1인가구를 위한 소형집합주거 공간계획에 나타난 주요특성 및 선호
김미경 ; 장은혜 ; 송애희 ; 유진 ; 최지은 -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0 v.2(추계) (20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