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수변공간에서 장소성을 반영한 경관조명 연출특성 /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Lighting that Reflects the Placeness of the Waterfront
저자명 오경숙(OH Kyungsook) ; 이재규(LEE Jaekyu)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08 No.03 (2013-09)
페이지 시작페이지(117) 총페이지(10)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장소성 ; 수변공간 ; 경관조명//Placeness ; Waterfront space ; Landscape Lighting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수변공간에서의 경관조명은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며 관광자원으로서 주목받고 있지만 지역 고유의 정서와 미학적 가치의 부여는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변공간이라는 장소적 특수성을 반영한 경관조명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한 장소성 본질의 이해를 바탕으로 장소성의 구성요소와 생성 메커니즘을 재구성하고 수변공간에서의 경관조명연출요소와 표현양상을 도출하여 이를 분석의 틀로 국내외 우수사례를 분석함으로서 수변공간에서의 장소성을 반영한 경관조명 특성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결과)연구결과 수변공간에서 장소성을 반영한 경관조명의 연출특성은'첫째, 수변의 연속적 선형과 윤곽을 빛으로 드러낸다. 둘째, 역사성, 상징성, 정체성 있는 빛의 모뉴먼트를 창출한다. 셋째, 빛과 물과 지역특성이 어우러진 경험적 요소를 개발한다.'로 장소성을 강화, 발전, 재생성 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Landscape lighting at the waterfront is receiving new attention as a tourism resource. However, currently there is insufficient artistic value in the waterfront area, and the existing design does not reflect the unique character of the region.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describe a landscape lighting strategy that reflects the specific experience of being on the waterfront. (Method) Landscape lighting that reflects the placeness of the waterfront is to be studied by analyzing successful domestic and overseas cities. (Result) The case studies that are described have expressional tendencies and display factors that yield common production mechanisms and compositional factors. First, landscape lighting that reflects the placeness of the waterfront"reveals continuous lines and contours with light." Second, it creates light monuments that have historical, symbolic, and identity-related significance. Third, it develops experiential aspects married to regional characteristics, light, and water in order to reinforce, develop, and enhance a sense of place.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한국의 수변공간 도시재생사업 특성 연구
이유경(Lee, Yookyung) ; 이승호(Lee, Seungho) ; 조영태(Cho, Youngtae)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9 No.6(통권 제90호) (201812)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수변공간 활성화를 위한 도시계획 및 설계방향
권영상 ; 조민선 - 연구보고서(기본) : 2010 n.5 (201012)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내륙 수변공간 활성화를 위한 해외사례 분석
서유강(Seo, You-Kang) ; 권영상(Kwon, Young-Sang)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0 No.2(통권 제92호) (201904)
해외 수변공간 개발에서 나타나는 유형별 계획특성
김희철 ; 이한울 ; 안건혁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4 n.2(통권 제56호) (201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