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장소 브랜딩을 통한 공간의 브랜드 정체성 구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ace Brand Identity through Place Branding
저자명 이경화(Lee Kyung Hwa) ; 김주연(Kim Joo Yun)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08 No.04 (2013-12)
페이지 시작페이지(59) 총페이지(13)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장소 브랜딩 ; 장소성 ; 공간 브랜드 정체성//Place Branding ; Placeness ; Space Brand Identity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개성있고 다양한 브랜딩 패러다임에 따른 장소브랜딩은 차별화된 정체성 정립을 필요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장소 자산가치를 형성하는데 있어 궁극적으로 삶의 본질적 가치를 위한 공간의 브랜드 정체성 구축 특성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문헌과 선행 연구를 통해 장소 브랜딩과 관련된 주요 개념을 파악하고, 브랜드의 관점에서 장소 정체성의 범주와 개념을 분석한 후, 사례연구를 통해 공간의 브랜드 정체성 구축 특성을 도출한다. (결과) 장소 브랜딩을 통한 공간의 브랜드 정체성은 첫째, 공간 의미의 확장으로써 유산에 근거한 장소 자산, 의미의 재해석, 창의적 개념 개발을 통해 브랜드 가치를 생성한다. 둘째, 물리적 이미지 체험으로써 상징적 랜드마크, 용이한 접근성과 다양한 목적수용, 인간 중심의 포용적 디자인과 재생 개발로 순환적 브랜드 가치를 지속시킨다. 셋째, 사회간접자본의 사건으로써 축제의 교감과 차별화된 스토리텔링 수용, 다양한 활동의 교류를 통해 공간 브랜드 정체성은 확장된다. 넷째, 사회적 커뮤니티와 사회구조와의 소통, 그리고 일관성 있고 통합된 관리 과정을 통해 공간의 다양한 브랜드 정체성은 상호 융합되어 진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Within the various and unique branding paradigms of today, place branding requires a distinguished ident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building a space brand identity that ultimately values life and creates value for place assets. (Method)The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by analyzing case studies, identifying the major concepts related to place branding through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and studying the categories and concepts of place identity from the perspective of branding. (Result)Space brand identity in the context of place branding includes the following: first, it expands the meaning of space to encompass the creation of brand value through inherited capital, the interpretation of meaning, and the development of creative concepts. Second, the experience of the physical image of a space perpetuates circulatory value through symbolic landmarks, convenient accessibility, the fulfillment of various purposes, human-oriented tolerant designs, and reproductive development. Third, an identity is further expanded through festivals (as events that fall under the category of social overhead capital), distinguished storytelling, and the exchange of various activities. Fourth, the brand identity of a space is creat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surrounding social community and social structure, as well as through integrated management.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플레이스 브랜딩의 이미지와 아이덴티티로서의 건축
양지윤(Jiyun Yang) ; 김주연(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2 No.01 (20170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장소 브랜딩 관점의 아이코닉 건축 유형에 관한 연구
양지윤(Jiyun Y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3 No.03 (201806)
건축 공간의 경계 모호성과 투명성
고경호(KO Kyeongho) ; 김덕수(KIM Duk-S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07 No.01 (201203)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